초록 |
□ 연구개요 비알콜성 지방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을 극복하는 전통 한의약 처방을 축적된 원전(原典) 데이터에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하여 발굴하고, 유효성과 안정성을 환원적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두 갈래(two track) 최종 목표인 신약재창출(drug repositioning) 및 임상시험용신약(investigational new drug, IND) 진입을 위한 사전 연구 달성.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한의약 분야에서 네트워크 파마콜로지(network pharmacology)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하여 후보군 처방(herbal prescription)을 발굴하고, 비알콜성 지방간염을 분자 수준에서 치료하는 논리를 증명하여 연구기간 중 2편의 SCI(E) 논문을 발표함. 1. 발굴된 후보 한의약 처방은 한방 소화제 소체환(SCH)임 2. 정성적 연구개발의 성과로 SCH의 NASH 개선효과를 증명함 3. 정량적 연구개발의 성과로 SCH의 NASH 개선효과를 2 편의 전문 학술지에 게재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1. 네트워크 약리학을 기반으로 하는 한의약 분야 신약재발굴 가능성 재고 신약재창출 (Drug repositioning 또는 Drug repurposing)은 기존에 허가를 받았거나 개발이 중단된 약물을 새로운 적응증 또는 타겟을 목표로 하여 신약으로 개발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신약재창출을 통한 신약 개발은 기존의 임상 및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 기간이 비교적 짧고, 안전하며, 개발 비용이 낮아 많은 제약회사에서 다양한 후보약물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최신의 약리학 데이터베이스, 메타 분석, 네트워크 약리학 이론 및 분석도구, 타겟 단백질 구조 분석 및 도킹 시뮬레이션을 통해 신약 개발의 성공 가능성은 과거의 HTS (High-throughput screening) 방식에 비해 더욱 높아짐 2. 기저질환 대사증후군 개선을 통한 관련 질환 광범위적 적응 처방의 발굴 3. 보험 한의약 제제의 적응증 확대 해소 이바지 2010년부터 KCD에 근거하여 한양방이 동일한 질병코드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보험한약제제 사용 시 적응상병 및 분류기호 대조표를 참조하여 기재하도록 하였으나, 고전 한의학 의서의 효능주치 및 방해(方解)를 기반으로 현대적 질환명으로 해석하고 있어 기존 한의병명 및 변증명의 적응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므로 한의약의 현대화 및 과학화를 위해서는 한약 제제의 적응증에 대한 최신 기술을 이용한 고찰이 필요하며 약리학적인 관점으로 근거를 확보해야 할 필요에 대한 근거 연구로 활용 가치가 높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