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해양바이오 기반 청정 기능성·산업소재 대량생산 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1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IV 연구개발 결과 □ 정성적 연구성과 1. 유용 생명자원 확보 및 특성 분석 ○ 신규 화학무기독립영양 해양미생물자원 확보 - 대양 및 연안 등 다양한 해양환경으로부터 10주의 신규 화학무기독립영양 미생물자원 확보 - Sulfur oxidizing bacteria (SOB) 3주, sulfate-reducing bacteria (SRB) 1주, acetogen 3주, methanogen 2주, Sphaerochaeta 1주 등을 포함하며 계통분류학적으로 다양한 그룹에 위치함. ○ 고염 성장 미생물 분리 - 고염농축수, 젓갈류(오징어/낙지/꼴뚜기 젓갈), 김치 및 제주연안에서 수집한 생물시료, 제주 암반 (지하 110m 해수층) 등으로부터 58종의 고염 성장 미생물 분리 및 분자동정 ○ 화학무기독립영양미생물 3종의 가스전환 특성 비교 - 고온성 세균인 Moorella thermoacetica CLWD1, Terrisporobacter mayombi HAWD5와 중온성 세균인 Clostridium sp. AWRP의 가스전환속도 비교 - 가스전환 속도와 산물의 양을 비교하여 AWRP strain을 모델 미생물로 선정 2. 비광합성 해양·극한 미생물 기반 가스전환 플랫폼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 화학무기독립영양 미생물을 활용한 가스전환 기술 개발 - 해양과기원 분리/보유 균주인 Clostridium sp. AWRP의 배지 개선을 통해 가스전환/산물 생산 개선 - 가스전환 반응기 운전 조건(가스공급, ORP 모니터링, 교반 등) 개선을 통해 최대 균체량 OD<sub>600</sub> ~ 5.0 수준으로 확보 - 일산화탄소로부터 약 9 g/L의 에탄올(Clostridium sp. AWRP 이용), 이산화탄소로부터 약 20 g/L의 아세트산(Acetobacterium woodii 이용) 생산 - 향후 균주 개량을 위한 유전자 조작 toolbox 구축 및 개량 균주 1주 제작 3. 농축 고염분수 활용 기능성 해양생물원료 대량생산 및 산업소재 개발 ○ 고염 조건하에 미세조류 배양 연구 (10ml, 2L, 1ton 급 배양) - 고염분수를 활용한 미세조류 3종(Tetraselmis sp.. Dunaliella salina, Spirulina maxima)의 배양 연구 - 고염분수에서 Tetraselmis sp.와 Dunaliella salina의 각각 44.5g/m2/d, 46.3g/m2/d 생산성 달성 - 미세조류-미생물 하이브리드 배양: 미세조류 배양액 내 탄소원으로 미생물이 바이오에탄올 생산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한 실험군의 미세조류 최대성장치가 1.66배 및 2.17배 더 높게 나타남. ○ 고염 배양 해양생물의 기능성 탐색 - 고염에서 배양된 Tetraselmis sp.의 열수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농도의존적으로 높게 나타남 - 고염에서 배양된 Tetraselmis sp.의 70% 주정추출물에서 유방암 억제 53%(200ug/ml), 64%의 NO생성 억제(200ug/ml) 효능을 나타냈으며 MAPKs의 인산화를 통해 iNOS, 염증성 cytokines를 감소시켜 항염증 효능을 나타냄 - 고염에서 배양된 Tetraselmis sp.의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57%의 NO생성 억제(50ug/ml) 효능과 MAPKs의 인산화를 통해 iNOS, 염증성 cytokines를 감소시켜 항염증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 - 고염 성장 미생물 중 7종에 대해 배양상등액의 항산화 활성(DPPH, H2O2 assay)을 탐색하였고 활성이 우수한 3종(S6516, S7366, S1131)에 대해 배양시간에 따른 활성을 확인 ○ 고염 발효 해양생물의 기능성 탐색 - 해조류 2종 (Ishige okamurae, Ecklonia cava) 및 미세조류 1종 (Spirulina maxima)을 고염분수를 이용해 발효시킨 결과 I. okamurae 및 S. maxima는 미생물 발효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고, E. cava의 경우는 발효와 상관없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음. ○ 미세조류 유래 펙틴의 동물실험 - 지브라피쉬를 이용한 펙틴의 창상치유 효과 확인 - 펙틴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제작 및 쥐의 창상치유 효과 확인 4. 수층공간이용 복합생물 자원개발 ○ 양식자원 위해성인자 환경모니터링 병원체목록 조사 - 2018년 이래 지속적으로 양식장 주변 해수와 양식생물의 바이러스 감염 조사 중 - 2018년에 비해 2019년에 phage가 더 높은 비율로 출현함 - 주변 해수와 가리비를 비교 한 결과 가리비의 위 내용물에서 Virus비율이 더 높은 비율을 차지 함.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지속적인 해역위생안전 모니터링이 필요 함. ○ 해역 수층별 수질환경 조사 - 수심 –30m 이하에서 7~9월 냉수성생물이 연중 서식할 수 있는 수온약층이 뚜렷하게 형성되는 것과 수심 –35m 이하에서 빈산소 수괴가 형성됨을 밝힘. ○ 수층공간에 따른 양식자원생물의 먹이생물 분포 - 주요 먹이생물은 녹조류는 Bathycoccus prasinos(22.4%), Micromonas pusilla(6.9%), Micromonas sp.(1.3%), 규조류는 Coscinodiscophyceae (2.7%) 임. - 계절별로는 겨울철에는 수심에 관계없이 녹조류가 높은 분포를 보인 반면, 여름철에는 20m 이하에서 규조류 및 녹조류가 높은 빈도로 출현하여, 효율적인 양식자원의 개발을 위해서 정확한 수층공간을 활용해야 한다고 판단됨. ○ 양식어장 부착(위협) 생물 저감방안 - 양식어장 대상생물의 성장, 작업, 상품성, 경영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양식위협생물 제어방안을 찾기 위하여 부착생물 모니터링을 수행함. ○ 양식.자원 복합단지 조성 및 비즈니스 해양공원 모델개발 - 상기 조사내용을 종합판정하여 환경에 따른 어장 조성 및 수층공간이용 비단가리비를 성공적으로 생산함 □ 정량적 연구성과 (출처 : 요약문 6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10002177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