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분석자서문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 바이오연료의 개발은 에너지 안보와 농촌 개발의 일환으로 진행되어왔다. 특히 Jatropha는 아프리카 전역에서 가장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바이오연료 기질이지만, Jatropha를 둘러싼 수많은 이슈와 갈등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일부 Jatropha 프로젝트가 성공을 거두긴 했지만, 훨씬 많은 수의 프로젝트들이 실패하거나 심각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실패한 프로젝트들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향후 정책 수립과 이행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 연구, 현장 방문, 전문가 인터뷰 등을 통해 가나 Jatropha 프로젝트 실패의 주요 원인을 분석하였다. 가나의 실패 사례는 아프리카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국내 바이오연료 기술의 보급 확산을 추진하는 정책결정자, 기업, 전문가들도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목차 1. 서론 2. 가나 바이오연료의 발전 3. 가나의 바이오연료 프로젝트 3.1. 소규모 프로젝트 3.2. 대규모 프로젝트 4. 가나의 바이오연료 영향 5. 가나 Jatropha 프로젝트 실패 원인 5.1. 유전의 발견 5.2. 시민사회의 반대 5.3. 부족사회 단체와 지역 엘리트의 부정적인 개입 5.4. 미흡한 비즈니스 계획, 약속 미이행, 불공정한 보상 5.5. 주정부와 역할과 기관의 장애물 6. 가나 Jatropha 프로젝트 실패 요인의 통합적 고찰 6.1. 이해당사자 간의 역할 6.2. 지역별 영향 7. 결론 References 1. Ahmed, A., Campion, B.B, Gasparatos, A., Biofuel development in Ghana : policies of expansion and drivers of failure in the jatropha sector,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70, 133-149, 2017. 2. World Bank. Rising global interest in farmland: can it yield sustainable and equitable benefits? World Bank, Washington, D.C., USA; 2011. 3. International Energy Agency. Energy Poverty: How to make modern energy access universal? Special early excerpt of the World Energy Outlook 2010 for the UN General Assembly on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Paris, France; 2010. 4. German L, Schoneveld G, Mwangi E. Contemporary processes of large-scale land acquisition in Sub-Saharan Africa: legal deficiency or elite capture of the rule of law?. World Dev 2013;48:1 ndash;18. 5. De Schutter O. How not to think of land-grabbing: three critiques of large-scale investments in farmland. J Peasant Stud 2011;38:249 ndash;79. 6. De Schutter O. The green rush: the global race for farmland and the rights of land users. Harv Int Law J 2011;52(2):503 ndash;59. 7. Laviola, B.G., Rodrigues, E. V., Teodoro, P. E., Peixoto, L., Bhering, L. L., Biometric and biotechnology strategies in Jatropha genetic breeding for biodiesel production,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76, 894-904, 2017. 8. Gasparatos A, von Maltitz GP, Johnson FX, Lee L, Mathai M, Puppim de Oliveira JA, et al. Biofuels in sub-Sahara Africa: drivers, impacts and priority policy areas. Renew Sustain Energy Rev 2015;45:879 ndash;901. 9. Brew-Hammond A. Bioenergy for accelerated agro-industrial development in Ghana. Keynote address delivered on behalf of Ghana energy minister for energy at the bioenergy markets West Africa conference, Accra; 2009. 10. Energy Commission. Ghana bio-fuels policy. Policy recommendations. Final Draft, 2005, Accra, Ghana, 2005. ※ 이 자료의 분석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정엠마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