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4. 결론 (연구결과 종합) □ 본 연구는 바이오 기술 및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바이오 분야 파급효과 분석프레임 워크를 설계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음 〇 바이오 분야는 제품개발 소요기간이 길며,사업화 성공할 확률이 다른 기술 분야에 낮은 점을 반영하여 분석 프레임워크를 설계함 〇 국내외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 사례에서 시사점을 발굴하여 파급효과 분석프레임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함 □ 도출된 바이오 분야 파급효과 분석프레임을 신약개발 분야에 적용하여 분석하고,분석 결과로부터 정부 R D 투자전략 재정립 및 관련 사업 조정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함 〇 바이오 분야 內 신약개발 R D사업에 대한 지원 비중이 높은 만큼 전략적 투자가 되고 있는지,효율성(생산성)은 어떤지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대표적인 분야임 〇 과학기술적 파급효과 분석결과,SCI논문 및 국내특허의 질적 가치,특허 성과의 활용성 등이 부처,사업,신약개발단계 등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임 〇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결과,현재 정부의 신약개발 전체에 대한 예상매출액 산출과정으로부터 현재 R D 투자포트폴리오 조정에 대한 방향성 및 조정요소에 대한 근거 제공이 가능했음 〇 사회적 파급효과 분석결과,정부의 지원이 없는 경우를 가정하여 비교한 결과 신약 개발에 대한 정부지원이 국민 삶의 질,지식증진,제도 및 인프라적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남 (시사점) □ 본 연구는 기존의 바이오 분야에 대한 파급효과 분석이 全無한 상황에서 분석프레임을 새롭게 설정하여 지금까지의 실질적인 R D 투자효과성 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한 것에서 의의가 있음 □ 또한,파급효과 중 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관점을 수립하고 이를 시범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바이오 분야 R D투자의 경제적 가치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것이 새로움 □ 향후,신약 분야에 대한 추가적인 심층분석 및 나머지 바이오 분야에 대해서도 파급 효과 분석을 확대하여 바이오 분야의 파급효과를 통한 R D 투자의 효과성,효율성 시각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