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Ⅰ. 서론 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는 고용-복지서비스 통합적 전달체계 내에서 어떤 정체성을 유지할 것인가와 구체적으로 “새일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세부적인 연구목적과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적 고용・복지플러스센터가 갖는 현재 모형에 대한 적절성을 여성취업지원기관의 입장에서 검토하고자 하였다. 둘째,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입주한 새일센터는 그 안에서 고유한 기능과 역할을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체성의 문제와 새로운 역할 모형에 대해 고민하고자 하였다.셋째, 이질적인 입주 기관들 간의 서비스 중복과 연계의 문제를 어떻게 최적화할 수 있는가를 분석하여 새일센터의 새로운 고객과 서비스의 정체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넷째, 새일센터 내부 프로세스 작동에 대한 문제점 분석으로, 새일센터가 그동안 추진해왔던 내부 프로세스는 고용・복지플러스센터라는 공공 고용서비스 공간에서 잘 작동되고 있는지, 만일 작동되지 못한다면 구체적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거버넌스 문제에 대한 분석으로,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기관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진 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거버넌스체계가 어떻게 작동하고 있으며,이 과정에서 새일센터는 어떤 문제들에 노출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개선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내 새일센터의 역할과 기능 정비를 위한 새로운 모형과 여성취업지원기관의 정체성과 향후 변화해야 할 새로운 서비스다각화를 위한 정책 과제 발굴이 필요하다. 나. 연구내용 □ 2장에서는 고용-복지서비스 전달체계 통합과 관련한 국내외 현황 및 우리나라에서 고용-복지 통합적 전달체계 개편 방향에서 겪게 되는 여성취업 지원기관으로서 새일센터 정체성과 향후 역할 정립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 3장에서는 현재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내 입주한 새일센터 이용자들의 이용실태 및 성과에 대한 평가를 통해 공공 고용서비스기관 입주 모형으로 새일센터의 정체성과 문제점, 그리고 새로운 기능과 역할 정비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4장에서는 고용・복지플러스센터 내 새일센터 이해관계자들을 중심으로 각 기관별 고유서비스의 내용과 상호 연계 방식의 실태 및 기관 내 상호협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5장에서는 앞서 언급한 연구내용의 결과 분석을 통해 단일 법인격을 갖지 못한 채 물리적・지리적 통합을 하고 있는 고용・복지플러스센터 안에서 향후 새일센터의 역할과 기능의 재정비 및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고용과 복지의 통합 전달체계의 거버넌스 구조 속에서 새일센터가 갖게 되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 연구방법 □ 문헌연구 □ 설문지를 활용한 실태조사 표집 전체 규모는 양 센터 모두 250명씩 500명으로 설정했다. 연간 이용자에 대한 리스트를 확보하기 매우 어려워, 정확한 표집틀에 입각한 확률표집은 거의 불가능한 상태에서 각 유형별 센터에 대해 일정 수의 이용자를 할당하여 표집하는 임의 할당 방식을 선택하였다. 우선 일반 새일센터 이용자 표집 방법은 전국 17개 시도 127개 새일센터(고용・복지플러스센터 비입주)각각에 대해 센터당 2명씩을 목표 표본으로 설정해 표집했고, 고용플러스센터 내 새일센터 이용 여성에 대한 표집 방법은 2015년 2월 기준 전국 10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