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본 연구과제는 ① 기억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기억흔적세포 및 상위제어 회로를 표지하여 기억발현을 제어하는 세포생리학적 기작을 밝히며, ② 다중 흔적 세포를 동시에 영상화하고 활성을 제어하여, 개별 기억의 조절양식을 규정하는 신경회로 및 연결성 변화를 규명하고자 함.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기억의 조절 및 개별기억의 상호 작용에 대한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최초로 제시하여, 신경과학 특히 기억제어 연구의 독창적 실험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기존 기억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여 새로운 수준의 신경과학적 발전을 가능하게하는 다음과 같은 연구성과를 기대함: ① 살아있는 뇌조직에서 면역조직 화학염색단계 없이 다중 기억흔적을 동시에 추적하고 연결성을 분석하는 기술을 처음으로 구현함. ② 상이한 valence를 가진 기억의 생리학적/생물학적 표상(representation)을 분석하여, 생물학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 ③ 기억의 간섭과 왜곡 현상 등 인지심리학적 관찰을 세포생물학적으로 해석하는 새로운 시도임. ④ 지금까지 밝혀진 바 없는 기억소거 작용의 생물학적 기작을 제시함. □ 연구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생리학, 생화학, 광유전학, 행동분석을 포함한 통합적 연구를 바탕으로, 심리학적 고찰에서 유래된 질문을 생물학적으로 설명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임. 이러한 지식은 신경과학 뿐 아니라 심리학, 공학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신경정신과 질환의 치료의 기반지식으로 활용될 것으로 확신함. ① 도출된 연구성과는 지금까지 불가능하였던 살아있는 신경조직에서 다중 기억신호의 영상화하는 시초가 될 것이므로, 많은 후속연구를 양산해 낼 수 있을 것임. 특히 신경과학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연구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으로 사료됨. ② 편도체 신경회로에서 감정기억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신경세포를 동시에 표지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생리학적 분석이 용이한 뇌절편 상에서 연구가 가능하도록 하여 과잉공포를 포함한 이상행동을 신경생물학적으로 규명하는 연구를 촉발할 수 있을 것임. ③ 동물행동을 제어하는 신경회로의 구성요소의 역동적 상호조절현상을 규명하므로, 인지심리학 그리고 공학 특히 인공지능 분야 연구에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임. ④ 조현병,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중독 등 여러 신경정신과 질환은 기억발현에 이상을 보이는 바, 본 연구결과는 발병 메커니즘에 기반한 임상치료법 개발을 위한 과학적 기초를 제공할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