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 생태수문학 초기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식생의 물 이용가능성이 강우에 의한 토양수분 변동에 의해 주로 좌우되는 건조지역에서의 생태계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지하수위의 영향은 무시될 수 있었으나, - 습윤 지역에서는 식생과 기후를 연결하는 토양수분의 해석에서 지하수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 습윤 지역의 생태수문학 이론의 정립을 위해서는 강우 및 지하수위에 따른 토양수분의 변동성과 식생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해석기법을 마련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가 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기온, 이슬점 등 기상변수와 강우의 상관관계 탐색 - 기온 및 이슬점에 대한 여름철 극한 강우의 민감도 분석 - 기온 전망으로부터 극한 강우의 비정상성 해석 - 기온 및 이슬점을 활용한 극한 강우의 비정상성 해석의 불확실성 분석 - 기후 및 지형정보로부터 극한 강우의 공간분포의 불확실성 분석 - 열섬 현상의 추계학적 해석 ○ 생태수문학적 이론의 가뭄에의 적용성 고찰 - 생태학적 가뭄 분석을 위한 식생건강성지수의 고찰 - 식생 증발산을 이용한 가뭄 분석 - 식생 증발산 기반의 가뭄지수와 강우 기반의 가뭄지수의 코퓰러 결합 - 기계학습기법을 이용한 식생 증발산 기반의 가뭄 분석 - 식생 증발산 및 강우 정보를 활용한 식생의 가뭄 취약성 해석 모형 개발 - 식생 가뭄 위험도 평가 소프트웨어 개발 ○ 기후-토양-식생-지하수위의 생태수문학적 해석모형 개발 - 비선형동역학을 이용한 지하수위와 식생 상호작용 해석 - 토양 및 식생정보를 반영한 추계학적 수문 분할 모델 개발 - 수문곡선으로부터 지하수 유출 분리를 위한 화학적 방법 고찰 - 토양 및 식생 정보를 반영한 수문 분할 모형 개발 및 불확실성 분석 - 지형적으로 고립된 습지의 생태수문학적 해석을 위한 수문 분할 모형의 적용 - 습윤 지역의 기후-토양-식생-지하수위 상호작용을 반영한 개념적 생태수문모형 개발 - 전지구 토양수분 자료를 활용하여 미계측 유역의 유출 해석을 위한 생태수문모형의 적용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생태수문학은 국내에서는 생소한 분야로서 새로운 연구 분야를 창출하는데 그 의의가 있음. - 하천 및 습지 복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여 생태수리학 분야는 상대적으로 많은 발전이 있어왔으나, 궁극적으로는 생태수문학 분야의 발전이 뒷받침되어야 유역 차원에서의 하천 및 습지 복원에 대한 영향 평가가 가능함. - 홍수방어를 위한 천변저류지 조성,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LID 기법의 도입, 생태적으로 건전한 도시환경구축을 위한 물순환선도도시 사업 등과 같은 유역차원의 치수 및 물 환경 정책에 생태수문학적 해석도구 제시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