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장내 마이크로바이오타 조절과 화학치료의 효과와 독성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6-02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김용규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분석자서문 장내 마이크로바이오타는 약효 촉진, 항암 효과의 무력화, 독성 조절 등의 방식으로 화학치료 약에 대한 숙주의 반응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내 마이크로바이오타는 개인화된 항암 치료 요법을 개발하는 데 매우 중요해지고 있으며, 화학치료에 사용되는 약이 박테리아에 의해 대사화되는 과정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장내 박테리아는 항암 치료에 사용되는 약들을 운반(Translocation), 면역제어(Immunomodulation), 물질대사(Metabolism), 효소분해(Enzymatic degradation), 다양성 및 생태적 변이 감소(Reduced diversity and ecological variation)로 이루어진 lsquo;TIMER rsquo; 체제를 통해 조절하기 때문에, 현재 화학치료에 사용되는 약의 독성은 감소시키고 약효는 증가시킬 수 있는 최적의 타깃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보고서에서는 항암 치료에서 pharmacomicrobiomics의 영향과 임상실험에서 마이크로바이오타가 항암제의 효과를 조절하기 위해 어떻게 조절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1]. 2.목차 1. 서론 2. 전좌(Translocation)와 면역제어 3. 미생물의 효소분해와 물질대사 4. 다양성 감소와 생태학적 차이 5. lsquo;Pharmacomicrobiomics rsquo;와 항암 치료 5.1. 표현형 실험(phenome trials)과 종양학 5.2. 생체 지표로서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오타 6. 마이크로바이오타를 통한 화학치료 최적화 6.1. 식이요법 6.2.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 신바이오틱스(synbiotics) 6.3. 항생제(antibiotics), 생태학(ecology), 합성 엔지니어링(synthetic engineering) 7. 결론 References 1. Alexander, J. L. et al. (2017) Gut microbiota modulation of chemotherapy efficacy and toxicity.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Doi:10.1038/ nrgastro.2017.20 2. Teillant, A., Gandra, S., Barter, D., Morgan, D. J. Laxminarayan, R. (2015) Potential burden of antibiotic resistance on surgery and cancer chemotherapy antibiotic prophylaxis in the USA: a literature review and modelling study. Lancet Infect. Dis. 15:1429 ndash;1437. 3. Viaud, S. et al. (2013) The intestinal microbiota modulates the anticancer immune effects of cyclophosphamide. Science 342:971 ndash;976. 4. Daillere, R. et al. (2016) Enterococcus hirae and Barnesiella intestinihominis facilitate cyclophosphamide-induced therapeutic immunomodulatory effects. Immunity 45:931 ndash;943. 5. illa, A. Sonis, S. T. (2015) Mucositis: pathobiology and management. Curr. Opin. Oncol. 27:159 ndash;164. 6. Lin, X. B. et al. (2014) The role of intestinal microbiota in development of irinotecan toxicity and in toxicity reduction through dietary fibres in rats. PLoS ONE 9:e83644 . 7. Nakayama, H. et al. (1997) Intestinal anaerobic bacteria hydrolyse sorivudine, producing the high blood concentration of 5-(E)-(2-bromovinyl)uracil that increases the level and toxicity of 5-fluorouracil. Pharmacogenetics 7: 35 ndash;43 . 8. Diasio, R. B. (1998) Sorivudine and 5-fluorouracil; a clinically significant drug-drug interaction due to inhibition of dihydropyrimidine dehydrogenase. Br. J. Clin. Pharmacol. 46:1 ndash;4 . 9. Fijlstra, M. et al. (2015) Substantial decreases in the number and diversity of microbiota during chemotherapy-induced gastrointestinal mucositis in a rat model.Support. Care Cancer 23:1513 ndash;1522. 10. Montassier, E. et al. (2015) Chemotherapy-driven dysbiosis in the intestinal microbiome. Aliment. Pharmacol. Ther. 42:515 ndash;528. ※ 이 자료의 분석은 EMBL의 김용규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57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