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해양수산 미래비전 수립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4-09-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책임자 김종덕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Chapter 01 2030 해양수산 미래전망 1. 글로벌 트렌드 예측 1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인구구조의 고령화 □ 전 세계 인구는 2014년 72.4억명에서 2030년에는 약 15% 증가한 83억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 (연평균 증가율 0.86%) - 2030년 최대 인구보유 국가는 인도(약 15억명)로 예상(UN) □ 고령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노동력 감소, 복지비용 증가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 - 전체 인구에서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2013년 25%에서 2030년 20%로 하락할 전망 - 특히, 동아시아는 출산율 저하로 인한 인구감소 등 인구 패턴의 변화로 인해 경제성장 저해가 우려 2 식량, 물, 에너지 등 자원부족 현상 심화 □ (식량) 2030년 식량 수요는 현재보다 35%∼70% 이상 증가하고, 곡물을 포함한 식량가격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 - 2030년까지 세계 곡물 수요는 연평균 1%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FAO) * 세계 밀 소비량 : ('10년) 640백만톤 → ('30년) 770백만톤(연평균 0.9% 증가) □ (수자원) 연간 물 수요량은 2013년 4조 9천억㎥에서 2030년 6조 9천억㎥로 증가하여, 현재 공급량을 40% 초과할 것으로 예측(FAO) □ (에너지) 2030년까지 세계 에너지 수요는 약 50% 증가하는 반면, 육상자원 공급은 지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 - 현재 매장량을 기준으로 석유는 55년, 천연가스는 60~65년, 석탄은 140년 동안 소비가 가능할 것으로 예측 3 글로벌 경제지형 변화 □ 2030년에는 중국이 미국을 능가하는 세계 최고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것이며, 유럽, 일본, 러시아의 경제는 완만한 쇠퇴가 전망 - 또한, 인도가 일본을 제치고 세계 3위의 경제강국으로 성장 예상(OECD) * 2014년 국가별 GDP 규모 비교 : 미국 > 중국 > 일본 □ 2030년 세계무역규모는 전 세계 GDP의 33%에 해당되는 103조 달러로 전망되며, 기업경영의 세계화에 따라 무역 개방화 추세가 더욱 심화될 전망(Standard Chartered) - 아시아, 중동, 북아프리카, 중남미 등 신흥 경제권간의 남남무역 (south-south trade)의 비중이 1990년 7%, 2010년 18%에서 2030년에는 40%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첨단 과학기술 보급이 더욱 확산되고, IT · BT · NT 등 신기술간 융·복합을 통해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이 형성 - 그간 정보통신기술이 세계화의 진전과 결합되어 기술혁신을 주도하였으나, 앞으로는 생명과학기술이 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측(PWC) 4 국제협력 강화와 개인의 권리 확대 □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전에 따라 국제 이슈에 대한 국가간 협력이 강화되고, 다양한 비국가적 네트워크의 영향력이 더욱 확대 - SNS 등 모바일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개인의 사회참여 니즈가 확대됨에 따라 개인의 영향력 또한 증대될 것으로 예상 * 인구 10명당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수 : ('12년) 3.5명 → ('30년) 6~7명 참고 - 글로벌 메가트렌드 분석 사례 ■ 주요 선진국이 바라본 미래트렌드(기재부, '12) • 선진국들은 장기 전략보고서에서 ① 글로벌 경제, ② 인구구조 변화, ③ 기후변화·에너지 고갈 등을 핵심 미래트렌드로 제시 * EU, 영국, 싱가포르, 핀란드, 아일랜드, 일본, 호주 등 - (글로벌화) 세계 경제질서가 중국·인도를 중심으로 재편되는 한편,글로벌 경제시스템의 불안정성 증대 - (인구) 개도국 인구는 증가하는 한편, 선진국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생산인구 감소와 복지재정 문제 등 증대 - (기후변화·에너지) 식량·자원 문제 대두 및 대체에너지 투자 증가 ■ 미래비전 2040(KDI, '10) • 인구구조의 고령화, 기술변화의 가속화, 기후변화 및 자원부족, 세계경제 지형의 변화, 정치환경의 다원화, 여가·문화의 가치 증대 등 ■ 과학기술 미래비전(KISTEP, '10) • 환경오염과 자원문제 심화, 지식기반사회 진전과 글로벌화, 인구구조 변화, 과학기술 융합 가속화, 새로운 안보이슈 등장 등 ■ Megatrends(독일, '08) • 인구변동, 개인주의, 건강문제의 급부상, 여성의 부상, 문화적 다양성, 새로운 유형의 이동성, 디지털 생활유형, 유비쿼터스 정보, 테크놀로지 컨버전스, 세계화 2.0, 지식기반 경제, 자연으로부터 배우는 시대(생물학), 비즈니스 에코시스템, 새로운 소비패턴, 기후변화와 환경적 영향, 에너지와 자원의 역습, 국제안전 위협 가중 등 ■ UN 미래보고서 2040('13) • Aging(고령화), Bio(바이오혁명), Climate change(기후변화), Digitalization(디지털화), Education revolution(교육혁명), Future(미래예측), Globality (세계통합), Health welfare(의료기술 발전과 복지예산 급증), Individualization(개인화), Jobless(일자리 소멸, 1인기업 시대) 등 * 온라인 공개 강의 활성화, 무료 대학 교육 급성장 등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60001149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