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1. 최신 모니터링 기술 접목을 통한 서식환경 정보 탐지 기술 개발 2. 서식공간 및 조류, 포유류, 어류별 서식정보 탐지기술 최적화 및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3. 최신 모니터링 기술을 활용한 종 및 서식환경 조사, 분석체계 구축 ○ 전체 내용 • 실시간 위치추적을 통한 도시생물종 조사기술 개발 • eDNA 분석을 통한 도시 생물종 조사기술 개발 • 종/서식지 조사정보 활용기술 및 건강도, 취약성 평가기술 개발 - 종/서식지 분석 DB 개발 - 신기술 활용한 종 조사 및 분석 가이드라인 ○ 1년차 □ 목표 1. 해당 생태계의 보전 복원 관리에 중요한 연구 대상종 선정 2. 연구 대상 종 문헌 데이터수집 3. 연구대상지 선정 4. 최신 모니터링 방법론 사례조사 5. 조사데이터 활용을 위한 데이터 구축 기법 연구 6. 대상지 주요 종 현장조사 7. 최신 생물종 모니터링 기법 적용 가능성 테스트 □ 내용 1-1. 도시 육상 생태계종 다양성, 서식환경 특성 분석을 위한 주요 포유류, 조류(깃대종, 교란종 등) 종 선정 1-2. 도시 생태하천 및 습지의 보전 복원 관리에 중요한 주요 생물종 선정 2-1. 연구대상 포유류, 조류의 행동특성 및 서식특성 선행 연구 2-2. 도시 생태하천 및 습지 연구 대상종 유전자 지도/마커 데이터 수집 3-1 최신 모니터링 기법개발을 위한 연구대상지 선정 4-1. 위치추적 기법을 위한 태그제품 조사, 추적 방법론 사례분석 4-2. eDNA 기법을 활용한 종 및 서식환경 조사 관련 사례연구 5-1. 연구 대상 종 관련 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 수집 및 서식특성 기초분석 6-1. 전문조사 인력을 활용한 선정된 연구 대상지 내 종 조사 및 서식환경에 대한 현장조사 실시 6-2. 포유류(GPS), 조류(VHF) 중 각 1종 선정 및 추적 실시, 데이터 수집 7-1. 수조/저수지 등 제어된 실험환경에서 eDNA 검출여부 테스트 ○ 2년차 □ 목표 1. 도시생태계 건강성 정의 및 평가방안 마련 2. 도시 육상종 조사 기술 개발 및 시민참여형 도시생태계 홍보 3. eDNA를 활용한 데이터 구축 및 모니터링 효율성 분석 4. 전문조사인력을 활용한 대상지 종 조사 및 서식환경 조사 □ 내용 1-1. 건강성 정의, 평가지표 및 가중치 설정, 시범적용 2-1. 도시생태계 육상종 탐지기술 보완 및 고도화 2-2. 리빙랩을 통한 시민체감형 도시생태계 건강성 유지 실현 3-1. 제어된 실험환경에서 eDNA 검출여부테스트 3-2. eDNA 메타바코딩을 통한 도시 하천, 저수지 어류 종 분석 3-3. eDNA를 활용한 도시공원 내 생물종 분포 분석 4-1. 기존 종 조사방법에 따른 육상 및 육수생태계 조사, eDNA 조사기법과 비교 ○ 3년차 □ 목표 1. 도시생태계 건강성/취약성 평가도구 개발 2. 데이터 수집 Ⅱ 3. 시민 참여형 리빙랩 기반 도시생태계 건강성 모니터링 4. 종 조사 및 기술 검증 및 실용화 5. 인공지능을 이용한 도시생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 6. 분석 모델 구축 방안 수립 및 실용화 계획 마련 □ 내용 1-1. 종 관점의 도시생태계 취약성 개념화 1-2. 도시생태계 건강성/취약성 지표 평가 자동화 도구 분석 및 개발 2-1. 도시생태계 육상생물종 탐지 기술 고도화 2-2. eDNA를 활용한 어류 분포 분석 3-1. 리빙랩 행사 기획 및 운영 3-2. 시민이 체감하는 도시생태계 건강성/취약성 수준 분석 4-1. 대상지 주요 생물종, 서식지역 및 취약지역 현장조사 4-2. eDNA 현장수집 장치 개발 5-1. 야생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주야간 겸용의 무인센서 카메라 개발 5-2. 영상내 야생동물의 종 동정과 개체 인식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6-1. 도시생태계 생물 종/서식지 조사/분석체계 개발 6-2. 도시생태계 평가 기술실용화 전략 설정 6-3. 실용화 기술 활용 가이드라인 초안 구성 ○ 4년차 □ 목표 1. 도시생태계의 육∙수상 생물종 모니터링 및 패턴분석 기술 2. 도시생태계 관리·기술실용화를 위한 시민참여 방안 개발 3. 전문조사 인력을 통한 연구 성과제품 개발 및 실용화 검증 4. 종 관점의 도시생태계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 작성 □ 내용 1-1. eDNA를 활용한 도시생태계의 수상종(대상종) 서식여부 및 서식특성 도출 기술 실용화 1-2. 도시생태계 육상 표적종 프라이머 고도화 1-3. 목표종 패턴분석 기법 고도화(단국대) 1-4. 카메라 트래핑 영상 분석을 위한 종 분류 딥러닝 모델 구축 2-1. 시민참여 기반 인공새집 모니터링 지속방안 및 데이터 분석 2-2. 시민과 함께하는 멸종위기종 분포 현황 모니터링 2-3. 시민 참여형 수집 데이터의 도시생태계 관리에 활용 가능범위 검토 3-1. 전문조사 인력을 활용한 종 조사 및 기술 검증 및 실용화 3-2. 무인센서카메라의 제품생산과 모니터링 시스템의 공공활용 3-3. 개발한 도시생태계 모니터링 제품 및 기술의 시장성 확보를 위한 해외교류 4-1. 도시생태계 건강성 및 종 정보 관리 방안 4-2. 각 개발 기술∙제품별 가이드라인 작성 ○ 해당 연도 (3년차) □ 목표 1. 도시생태계 건강성/취약성 평가도구 개발 2. 도시생태계 육상생물종/육수생물종 탐지기술 고도화 3. 시민참여형 리빙랩 기반 도시생태계 건강성 모니터링 4. 종 조사 및 기술 검증 및 실용화 5. 인공지능을 이용한 도시생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 6. 분석 모델 및 개발 기술의 실용화 계획 마련 □ 내용 1-1. 도시생태계 건강성/취약성 개념 검토 1-2. 건강성 평가도구 소프트웨어 개발 2-1. 육상생물종 탐지 기술 고도화(eDNA, 위치추적, 서식가능 모델) 2-2. 육수생물종 탐지 기술 고도화(eDNA 샘플링방법, 현장적용 테스트) 3-1. 리빙랩 행사 기획 및 운영 3-2. 리빙랩을 통한 종 출현 분석 3-3. 시민이 체감하는 도시생태계 건강지역/취약지역 파악 4-1. 대상지 주요 생물종, 서식지역 및 취약지역 현장조사 4-2. eDNA 현장수집 장치 개발 5-1. 야생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주야간 겸용의 무인센서 카메라 개발 5-2. 영상 내 야생동물의 종 동정과 개체 인식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5-3. 딥러닝을 이용한 동물 출현 이미지 분류 프로그램 구현 6-1. 관련 시장 현황 및 실용화 전략 마련 6-2. 실용화 기술 활용 가이드라인 초안 구성(도시생태계 관리 체계) □ 연구개발성과 - 최신 모니터링 기술 접목을 통한 서식환경 정보 탐지 기술 개발 - 서식공간 및 조류, 포유류, 어류별 서식정보 탐지기술 최적화 및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 최신 모니터링 기술을 활용한 종 및 서식환경 조사, 분석체계 구축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환경 DNA, 고정밀 위치센서 등 자연환경조사와 최신 IT기술의 융합을 통한 도시 생태계 모니터링 기술 고도화 - 개발사업 영향평가 시 단순 생물종 출현정보에 따른 평가를 탈피하여 서식지 가치판단에 대한 평 가로 활용하여 자연생태분야 환경영향평가 표준화 및 신뢰성 향상 - 도시 생태계 주요 기능 평가에 대한 관리도구 개발을 통해 스마트 그린 시티 계획선도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자연마당, 생태보전협력금 사업 등 환경부 주요 자연보전 정책 및 사업의 도시 생태계 기능 증진 역할에 대한 정성 정량적 효과를 제시함으로써 사업 추진의 필요성 및 중요성 확보 - 도시 생태계 조사의 표준화 및 신뢰성 향상을 통해 양질의 종, 서식지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분석한 종/서식지 건강성/취약성 분석을 통해서 도시 건강성 향상을 위한 운영관리 효율화 및 도시 생태계에 맞는 조사 시 재원 절감으로 지자체의 부담 경감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