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어황예측 능력 향상을 통한 어업능률 향상으로 수산물의 계획생산 지원 및 합리적인 어업관리를 위한 수산자원 관리정책 지원 □ 연구개발 성과 ○ 연근해 주요 11개 어종, 12개 어업에 대한 어획동향 모니터링 ○ 어종별 어황변동 원인 분석 및 어황정보(주/월간) 제공 ○ 대형선망 기타어류 재분류를 통한 어획통계 정확도 및 TAC 실효성 제고 ○ 어업과 해양포유류의 분포 및 혼획관계 연구 ○ 공간통계모형을 활용한 살오징어, 고등어, 참조기 어황예측모형 구축 ○ 살오징어, 고등어 난자치어조사 결과를 활용한 개체기반모델 수립 ○ 개체기반모형 활용 산란장 추정 및 가입변동 예측모형 구축 ○ 부어류의 서식지 모델 개발(살오징어, 고등어) ○ 자원조사(저층트롤)결과를 활용한 서식지 모형 개발 ○ 중기 해양환경 예측모형 개발 및 물리-생태 접합모형 구축 ○ 한반도 주변 미래 해양환경변동 전망분석 및 어황예측 연구 ○ 연근해 152척의 어선에 대해 전자어획보고시스템 시범적용 □ 연구개발 성과의 활용계획 ○ 종합적인 자원관리를 위한 정확한 자원동향 및 수준파악 가능 ○ 국가주도형 연구개발추진으로 급격한 지구환경변화에 대한 어업자원 생물의 환경변화 대응정보를 이용, 중·장기적 자원이용에 관한 과학적 근거마련 ○ 유용한 어황정보 제공을 통해 어획능률향상 및 어업생산증대 효과 기대 ○ 국가적 연구기반조성을 통한 어업인의 안정적 어업생산도모 및 자원 회복을 기대 ○ 주요 어업자원평가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 ○ 어업간 조정 및 수산자원 보호를 위한 과학적 근거 확보 및 제공 ○ 지구환경변화에 대한 해양생물의 환경적응에 대한 근거자료 제시 (출처 : 요약문 8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