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분석자 서문 비만(obesity)은 최소 0.8년에서 최대 7년까지 기대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흡연 다음으로 질병으로 인한 사망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두 번째 요인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현재 미국에서는 비만의 점진적인 확산뿐만 아니라, 전당뇨(prediabetes)와 제2형 당뇨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소아 청소년에서 이런 질환들의 발병에 대한 정보와 비만이 당뇨로 진전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당뇨 전 단계에서 조기 검출하는 방법들에 대한 정보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 분석문에서는 소아 청소년의 전당뇨와 제2형 당뇨의 병리생리학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세포 기능에 대한 생체 표지자가 정상적인 내당능 상태에서 전당뇨 및 제2형 당뇨로 진전되는 환자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소개하고자 한다[1]. 2. 목차 1. 개요 2. 소아 청소년기 전당뇨의 유병률 3. 변경된 포도당 대사의 병리생리학 4. 인슐린 분비의 역할 5. 인슐린 저항성의 역할 6. 포도당 효과성 7. 위장관 유래 인크레틴과 글루카곤의 역할 8. 지방 유래 호르몬과 사이토카인의 역할 9. 전당뇨 및 제2형 당뇨로의 진전 10. 소아 전당뇨의 유전적 표지자 11. 분석자 결론 및 전망 References 1. Weiss R, Santoro N, Giannini C, Galderisi A, Umano GR, Caprio S. Prediabetes in youths: mechanisms and biomarkers. Lancet Child Adolesc Health 2017; http://dx.doi.org/10.1016/ S2352-4642(17)30044-5. 2. Sinha R, Fisch G, Teague B, et al. Prevalence of impaired glucose tolerance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marked obesity. N Engl J Med 2002; 346: 802 ndash;10. 3 Craig ME, Jefferies C, Dabelea D, et al. ISPAD Clinical Practice Consensus Guidelines 2014. Definition, epidemiology,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 Diabetes 2014; 15 (suppl 20): 4 ndash;17. 4. Smyth S, Heron A. Diabetes and obesity: the twin epidemics. Nat Med 2006; 12: 75 ndash;80. 5. Al Amiri E, Abdullatif M, Abdulle A, et al. The prevalence, risk factors, and screening measure for prediabetes and diabetes among Emirati overweight/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BMC Public Health 2015; 15: 1298. 6. Baranowski T, Cooper DM, Harrell J, et al. Presence of diabetes risk factors in a large US eighth-grade cohort. Diabetes Care 2006; 29: 212 ndash;17. 7. Bacha F, Lee S, Gungor N, Arslanian SA. From pre-diabetes to type 2 diabetes in obese youth: path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long the spectrum of glucose dysregulation. Diabetes Care 2010; 33: 2225 ndash;31. 8. Narasimhan S, Weinstock RS. Youth-onset type 2 diabetes mellitus: lessons learned from the TODAY study. Mayo Clin Proc 2014; 89: 806 ndash;16. 9. Weiss R, Taksali SE, Tamborlane WV, Burgert TS, Savoye M, Caprio S. Predictors of changes in glucose tolerance status in obese youth. Diabetes Care 2005; 28: 902 ndash;09. 10. Yeckel CW, Weiss R, Dziura J, et al. Validation of insulin sensitivity indices from oral glucose tolerance test parameters in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J Clin Endocrinol Metab 2004; 89: 1096 ndash;101. ※ 이 자료의 분석은 서울의과학연구소의 이상후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