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Ⅰ. 사업추진 배경 및 필요성 □ 코로나19 등 신종 감염병의 주기적인 발생과 대유행으로 전 세게 인류의 보건 및 생존을 위협 ㅇ 현재 코로나19는 백신이 개발되었음에도 지속적인 변이주 발생과 빠른 전파, 돌파감염 등으로 인해 방역과 대응이 매우 어려운 상황 □ 방역현장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여 현장에 신속하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특정부처에서 추진하기 어려워 범부처 공동대응과 협력이 필요 * 2016년 제2차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 추진전략에 방역연계 감염병 연구의 범부처 협력연구의 필요성이 인정되어 2017년 7개 부처 투자로 재단법인 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 설립 (2018.04) □ (재)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은 방역현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방역 전주기 현장의 문제해결을 위한 R&D 사업을 추진하고(’18년~’22년)있으며, 코로나19로 제기된 주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범부처 감염병 방역체계 고도화 연구개발사업」 기획 2. 코로나19로 제기된 방역 단계별 주요 문제 □ (감시) 신변종 감염병 감시체계의 부처 간 단절 및 신기술 적용 미흡 ㅇ 국내외 Next 신종 감염병 발생과 신변종 감염병 병원체를 모니터링하는 다양한 감시체계 필요. Disease-X는 인수공통 감염병일 가능성이 높으나 현재 우리나라는 부처별 법정소관 감염병에 대한 감시체계만 운영 - 해외 감염병 정보를 자동수집하고 국내 유입을 감시·예측하기 위해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목적에 대한 기술의 적용 연구 필요 - 원헬스 관점의 지속가능하고 접근성이 높은 새로운 감시체계 개발 필요 □ (확산·예측) 확진자 경로, 중재방안에 효과적인 예측과 차단 수단 부족으로 경제적 출혈을 감내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노동력 중심의 역학조사를 시행 중. 코로나19 복기 및 새로운 기술기반의 예측 모델과 효과적 대응 필요 ㅇ 확진자 수 증가 예측 외에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정책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예측 모델과 역학조사 데이터의 활용 방안 고도화 필요 ㅇ 확진자 수의 폭발적 증가에 대비한 효과적이고 개인 역량 의존도가 낮은 신기술 적용 자동화 역학조사방법 개발 필요 □ (진단) 현재 현장용 진단기기/기술은 신뢰도가 낮은 것이 많아 감염 현장사용이 제한적이고, 의심환자 구분의 신속성 부족으로 격리기간 등 사회적 비용이 증가, 현장의 신속진단-정보 연계시스템과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표준품 등 필요 □ (생활방역) 펜데믹 상황에서 일상/사회적인 공간에서의 생활방역이 중요한 상황에서 통제 외에 효과적인 방법이 부재하고, 집단감염 사태 등이 발생되고, 시중에 개발·생산되는 항바이러스 제품의 유효성·검증체계는 부족 ㅇ 고위험 바이러스를 대체할 유사바이러스 실험물질 개발 필요 ㅇ 항바이러스 성능 평가방법 개발을 통한 개발된 제품의 효과 입증방법 필요 3. 다부처사업의 필요성 및 당위성 □ 개발된 기술이 방역 현장에 도달시키기 위해서는 각 부처의 소관 임무를 연계하여 정보제공, 인프라 제공, 규정 및 지침, 현장 피드백 등 필수 Ⅱ. 사업목표 및 추진 내용 1. 사업의 비전 및 목표 □ COVID-19가 남겨놓은 현장의 애로사항과 수요를 기반으로 미래 방역체계 구현에 필요한 빠른 감시, 지능적 예측·차단, 신속 진단, 효능이 입증된 방역물품 개발·검증 기반 고도화 2. 사업의 성과 목표·지표 □ 사업의 단계별 성과목표·지표 체계 3. 사업추진 내용 및 예산 □ NEXT 펜데믹 대비 관점에서 방역 전주기 단계별 방역 현장의 수요를 기반으로 감시, 예측·차단, 진단, 방역물품 검증 기반 지원을 위한 7대 중점기술 11개 과제 추진 ㅇ 신변종 감염병 출현에 대한 위기 대비 상시화를 위해 감시체계 다양화, 해외 유입-국내 확산경로 예측·차단 프로그램 연계 개발 ㅇ Out-Break 상황이 전개될 경우 신속한 초고속 진단기술개발과 현장의 실시간 활용, 방역제품의 효능 및 안전성 검증 기반 개발 □ 총 ’23~’27년(5년), 총 480억원(국비 460억원, 민간 20억원) ㅇ 부처별 고유 세부사업 내 내역사업 단위로 편성 예정 - 부처별 예산은 내역사업 단위로 구분하여 편성하되, 세부과제는 단일부처의 예산이 아닌 범부처 예산을 통합하여 사업단에서 운영 - 과제는 실증단계 포함과제는 3+2(3+1), 2+2 구조 단위로 편성 Ⅲ. 사업 추진방법 1. 사업추진체계 □ 동 연구개발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하여 1기 사업에서 구축한 (재)방역연계범부처감염병연구개발사업단을 통해 8개 부처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형태의 부처협업사업 관리체계 운영 2. 사업추진전략 ㅇ (전략1) 국가 인프라 활용을 통한 원활한 연구지원 ㅇ (전략2) 개발기술 현장적용을 위한 장벽 해소 ㅇ (전략3) 현장부처-연구자간 소통강화 Ⅳ. 성과활용 및 기대효과 1. 성과활용 방안 □ 국내·외 신·종 감염병 감시체계 고도화 ㅇ 해외 감염병 발생·유입 감시, 인-수 전파·변이 병원체 감시, 하수기반의 병원체 감시, 검사기반 민·관 협력 병원체 감시 등 과학적 활용가능성을 검증하고, 소관부처 영역에서 실증, 감시체계 확대모델로 활용 □ 코로나19 데이터 기반 예측 기반 지능화 ㅇ 단계적 일상회복 및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추적감시 효율화 및 대응을 위한 지침·가이드 마련으로 정책적 근거 및 기반 시스템으로 활용 - (확산·차단) 현장역학 조사 방법 고도화를 통한 추적감시 효율화 - (사회적 거리두기) 위드코로나 상황 등 새로운 상황에 맞는 감염병 대응지침·상황별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결정을 위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 □ 신속 진단개발 플랫폼 구축 ㅇ 현장/활용 공간별 최적화된 진단 시스템(검체 채취, 진단, 결과 활용)에 대한 객관적인 성능과 현장 실증을 통하여 다양한 현장 상황에서 사용 (지침 반영) ㅇ 개발된 표준품은 적시에 진단제/진단기기에 대한 정확도 평가·허가를 위한 프로토콜 및 개발 가이드 등으로 지원정책으로 활용(개발자 분양 포함) □ 생활방역물품 효능 및 안전성 검증기반 확립 ㅇ 항바이러스 제품에 대한 효능·안전성 검사시스템 확립, 성능·사용지침을 통한 효과적 일상 방역 대응으로 연결(국가 인증시스템 연계) - (평가 표준화) 다양한 바이러스 제거 제품을 대상으로 항바이러스 효능검증, 제품 사용의 안전성 검증 평가 가이드라인 마련 - (인허가 및 사용지침) 식품의약품안전처(의료기기), 환경부(소독제) 및 산업통상자원부의 친환경 등 제품 인허가·인증·표준화 근거로 활용 2. 기대효과 □ 사회·경제적 기대효과 ㅇ (해외 유입 감시) 해외 감염병의 신속한 감시를 통해 사전에 능동적인 방역준비에 기여 가능 - 초동대응 시간 단축 및 각 국내 유입경로의 모니터링 강화 및 해외여행객들에 대한 조기 위험 경고 등을 통해 사회적 비용 저감 ㅇ (국내 감시) 국내 감염병 환자 발생에 대한 신속한 감시와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전파 경로 등 사전적 차단 활동에 기여하고, 무증상, 집단감염, 원인불명 등 진단비용 최소화 가능 ㅇ (확산예측·차단) 감염병 확산의 노동 손실, 경제활동 위축, 사회 불안 등 사회적 비용의 절감과 효과적 방역 의사결정에 기여 ㅇ (진단) 국내 K-진단기술의 수출 및 신속한 현장 진단을 통해 진단검사시간 단축과 신속한 결과 확인을 통한 환자 분류 등 제2차 확산피해 저감 ㅇ (방역물품) 방역제품을 통해 궁극적으로 효과적인 지역/일상 공간 내 확산을 차단하고, 관련 분야의 내수시장 확보를 통한 국내 산업 성장 및 신산업 창출에 따른 글로벌 시장 진출 활로 개척 □ 과학·기술적 기대효과 ㅇ (감시) 고도화된 감시 시스템을 통한 데이터의 축적과 표준적 활용기반을 통하여 새로 올 위협에 대응이 가능한 기술 및 응용개발 확장 ㅇ (확산·예측) 융·복합 새로운 모델에 대한 과학기술적 성능 입증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생성 가능 ㅇ (진단) 현존하는 진단기술 보다 뛰어난 세계 TOP 수준의 진단기술 확보를 통한 국가 경쟁력 확보 및 결과 활용 시스템 결합 등 정보의 2차적(방역 및 연구) 활용 가능 기반 마련 ㅇ (방역물품) 국가 표준 및 지표, 지침 등 확립을 통한 향후 개발될 다양한 기술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효능검증 가능 (출처 : 요약본 5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