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메카노바이오기술 기반 난치성 시신경 질환 치료 및 모니터링을 위한 자가발전 생체 흡수형 시스템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4-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원
연구책임자 이지연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시신경 복원의 해결을 위한 기능성 나노구조체 하이브리드 맥압 기반 자가발전 복합 전기자극 지지체 및 모니터링 통합 시스템 개발과 이를 기반으로 결손 시신경 장거리 유도 재생 매커니즘을 확립 하는데 있음. 천연재료 실크 단백질 성형을 통해 향상된 압전효과 및 물성을 활용하여 맥압기반 자가발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전기자극과 함께 외인성 신경영양인자와 과산화 억제 나노구조체를 통해 시신경 장거리 유도재생 매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함. 또한, 염증반응 억제 나노구조체 합성 및 나노지형도 조절 기술을 활용해 유연한 염증 억제 기능성 복합지지체 제조기술을 확립하고자 함. 궁극적으로 외부 물리력에 의한 시신경 손상 및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손상된 시각시스템 외 불가능으로 여겨진 척수 또는 기타 중추신경계 (CNS) 손상 영역에 대한 해결을 목표로 함. ○ 전체 내용 ① 전기자극 및 외인성 신경영양인자를 통한 결손 시신경의 장거리 재생과 패터닝된 나노구조체를 이용한 효과적인 시신경 유도재생 매커니즘 연구 ■ 전기자극 조건 및 외인성 신경영양인자 방출에 따른 시신경 장거리 재생 연구 ● 다양한 시신경 주위 환경 제공에 따른 최적 조건 확립 및 시신경 축삭 재생 및 모양 변화 추적 평가 ● 복합 전기자극에 의한 손상 시신경의 장거리 재생 활성화에 미치는 메커니즘 규명 ■ 최적의 나노구조체 조사 및 지지체로의 응용에 따른 손상 시신경 네트워크 유도재생 연구 ● 최적의 나노구조체 제조 및 시신경 유도재생 능력 평가 ② 시신경 활성화 및 재생 매커니즘 파악을 위한 중추신경계 신경세포 활용 환경모사 플랫폼 제작 ■ 외부환경 자극에 따른 신경세포 활성 및 재생 조사 가능한 2D in vitro platform 제조 ● hippocampal neuron cell 기반의 신경네트워크 형성 및 이를 통한 분석 ■ 중추신경계 미세환경 모사를 위한 3D in vitro platform 제조 및 이를 기반으로 한 ex-vivo 분석 플랫폼 제작 ● 3D neural spheroid 및 microfluidics 기반의 중추신경계 미세구조 모사 플랫폼 제작 및 이를 통한 분석 ● 시신경 ex-vivo/organotypic 분석 플랫폼 구축 및 이를 통한 분석 ③ 천연 단백질 성형 공법기반 맥락막 부착 최적화 유연한 생체흡수형 자가발전 전기자극 지지체 및 맥압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천연 단백질 성형에 따른 강화된 압전효과를 통해 배터리 없이 맥압 모니터링 가능한 체내 이식형 센서 개발 ■ 압전효과 기반으로 맥압을 전기자극으로 전환하여 손상된 시신경 재생을 활성하는 초소형 지지체 제조 ■ 맥압 모사 장비 개발을 통한 실 모니터링 평가 및 동물모델 내 센서 성능과의 비교평가 ○ 1단계 ◎ 연구 목표 ① 전기자극 및 생체 내 미세환경에 따른 결손 시신경의 활성화 및 재생을 위한 매커니즘 파악이 가능한 중추신경계 신경세포 기반 미세환경모사 플랫폼의 제작 ② 2D neural network 플랫폼을 활용한 전기자극에 따른 신경세포의 활성화와 재생 평가 및 이를 통한 매커니즘 파악 ③ 유연한 얇은 박막 형태의 압전성 천연단백질 기반 지지체 제작과 이의 단백질 성형 공정을 통한 전기자극 지지체 및 맥압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의 활용 가능성 평가 ◎ 연구 내용 ① 1단계 1차년도 (2021년) ■ 전기자극에 따른 CNS NC 영향 확인 ● 중추신경계 신경세포의 추출 및 이의 최적화를 위한 실험 진행 ● 다른 조건의 전기자극에 따른 신경세포의 활성화 확인 ■ In vitro 실험 진행을 위한 RGC 추출 관련 자료 조사 ● RGC isolation 관련 추출 방법 및 이에 따른 세포 수득률 및 기타 특이점에 대한 조사 진행 ■ 생분해성 자가발전 모니터링 센서 및 복합 전기자극 지지체 제조를 위한 재료 관련 자료 조사 ● 다양한 압전효과를 지닌 재료 조사 ● 압전효과를 지니기 위한 물질의 구조적 특징 조사 ② 1단계 2차년도 (2022년) ■ 전기자극을 통한 CNS NC의 정량 및 정성적 재생 능력 확인 ● 세포 자극을 위한 최소한의 전압 하에서의 frequency 변화에 따른 세포 활성도의 CCK-8 assay를 통한 평가 ● 전기자극 후 세포의 morphology 관찰 및 이에 따른 세포로의 영향 평가 ■ 다양한 전기자극 조건에 따른 CNS NC에서 발현되는 영양인자의 평가/CNS NC에 영향 미치는 인자 종류 및 이의 메커니즘 조사 ● 활성신경세포로부터의 neurotransmitter 방출 실험 ● 활성신경세포로부터의 neurotophic factor 방출 실험 ■ 다양한 조건 및 방법 하에서의 RGC 추출 실험 ● 고순도 RGC를 추출하기 위한 FC isolation 방법에 따른 추출실험 진행 ■ 생분해성 자가발전 모니터링 센서 및 복합 전기자극 지지체 제조를 위한 재료 선정 및 평가 ● 압전효과를 갖는 생분해성 물질의 선정 및 이의 평가 ③ 1단계 2차년도 (2023년) ■ 2D neural network 배양기반 neural spheroid를 통한 3차원 신경 미세환경 모사 최적화 ● Primary neuron cell 기반의 Neuronal spheroid 제조 최적화 및 평가 ● Neuronal spheroid의 microfluidics로의 적용을 위한 gel 최적화 및 생물학적 평가 ■ 모니터링 센서 및 미세 전기자극 지지체 부 제작을 위한 압전성 천연단백질 성형 및 이의 평가 ● 압전성 천연단백질의 물성 및 압전효과 향상을 위한 성형 및 이를 통한 지지체 제조 ● 천연단백질 기반 압전성 지지체의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 전기자극 지지체 및 모니터링 센서로의 활용을 위한 압전효과 기능성 평가 ○ 2단계 ◎ 연구 목표 ① 2D neural network에서 scale-up 한 중추신경계 신경세포 기반의 Neuronal spheroid 활용 미세유체칩 및 Ex-vivo/In-vivo의 생리학·구조학적 미세환경 모사 플랫폼 최적화 ②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신경세포의 활성화 평가 및 이를 통한 재생 매커니즘 규명 ③ 나노/마이크로 구조학적 변화에 따른 압전성능 증대화를 통한 전기자극 지지체 및 맥압모니터링 시스템의 성능 증대 및 신경의 장거리 재생 및 유도 재생 가능성 평가 ◎ 연구 내용 ① 2단계 1차년도-2차년도 (2024-2025년) ■ 전기자극 기반의 시신경 전기자극 지지체 효능 평가 ● 모니터링 센서 및 전기자극 지지체 통합시스템 제작 최적화 ● In-vitro상에서 복합 전기자극 지지체의 신경세포로의 전기자극 평가 ● 3D neuronal spheorid on a chip을 통한 신경계 미세환경 구현 최적화 및 이의 활용을 통한 제조된 지지체의 생물학적 평가 ■ 시신경 손상 안구를 활용한 Ex-vivo에서의 모니터링 시스템 구동 평가 ● 시신경 손상 안구 모사를 위한 Ex-vivo 모델 설계 ● 임상 응용 가능한 비침습적 방법으로 맥락막에 이식된 센서의 안압에 따른 구동 정확성 평가 ■ 시신경압착 동물모델에서의 생물학적 평가 ● 물리적 압착 및 바이러스 주입에 의한 시신경 손상 동물모델의 모델링 ● 모델의 복합 전기자극 및 후처리 조건에 따른 행동분석 평가 (ex. 눈 운동반사, 대광반사. 시각절벽인지, looming response behavior analysis 등) ● 생물학적 분석기법 (ex. Bio-TEM, retina 면역염색, H&E 조직 염색, MTS 등) 및 이식된 센서의 맥압 모니터링 결과를 통한 생물학적 안정도 평가 □ 연구성과 ○ 1단계(2021-2023년) ● 정성적 성과 ·전기자극에 따른 CNS NC로의 영향 확인 ·In vitro 실험 진행을 위한 RGC 추출 자료조사 ·압전성 재료 자료조사 ·전기자극을 통한 CNS NC 정량 및 정성적 재생능력 확인 ·전기자극 조건에 따른 NC에서 발현되는 영양인자 평가 ·NC에 영향 미치는 인자 종류 및 이의 메카니즘 조사 ·RGC isolation 최적화 ·모니터링 센서 및 복합 전기자극지지체의 제조를 위한 재료 선정 및 평가 ·Neural spheroid 기반 3차원 신경 미세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40000593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