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암에서 DDX3의 두 얼굴 : 종양 유발 유전자인가, 억제 유전자인가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2-13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임창임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분석자 서문 DEAD-box RNA helicase 3(DDX3)는 DEAD-box 단백질 계에 속하며 매우 잘 보존되어 있는 RNA 헬리카제(helicase)이다. DEAD-box 단백질 계는 ATP 가수분해 효소(ATPase)와 헬리카제(RNA 풀기효소) 활성을 띠며, RNA 대사 조절, RNA 결합 단백질의 활성인자 또는 분자적 샤페론으로서 다른 단백질이나 RNA와 결합한다. DDX3는 바이러스 조작, 스트레스 반응, 저산소증, 방사선 반응, 세포 사멸 등에서 작용하며, 암의 발생과 진행과도 관련이 있다. DDX3는 서로 다른 암 유형에서 이중적인 역할을 하며, 암이 진행되는 동안 종양 유발 유전자 또는 반대로 종양 억제 유전자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분석에서는 유방암, 폐암 등 다양한 유형의 암에서의 이중적인 DDX3 역할을 조명함으로써 이중적인 생물학적 효과를 일으키는 조절 기전을 알아보고 또한 DDX3를 매개로 하는 암 전이 과정에 중요한 신호 경로인 Wnt/ beta;-catenin과 EMT 관련 경로에서 DDX3의 기능을 조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암 발생 과정에서 DDX3의 이중적 역할을 바로 이해하고 관련된 신호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이를 표적으로 정밀의학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1]. 2. 목차 1. 서론 2. 암 발생 과정에서 DDX3의 두 얼굴 -유방암(breast cancer) -폐 암(lung cancer): -대장 암(colon cancer) -간 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구강 편평 세포 암(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유잉 육종(Ewing sarcoma): -신경교종 (Glioblastoma multiforme): -담낭 암 (Gallbladder carcinoma) -DDX3가 관여하는 중요 신호 전달 과정 3. 결론 및 전망 References 3. 원문정보 Luqing Zhao, Yitao Mao, Jianhua Zhou, Yuelong Zhao, Ya Cao, Xiang Chen./Multifunctional DDX3: dual roles in various cancer development and its related signaling pathways/American journal of cancer research/2016;6(2):387-402. ※ 이 자료의 분석은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의 임창임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38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