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안심먹거리 생산·유통관리를 위한 사용자 맞춤형 식품위해 검출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식품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I. 사업의 목적 및 필요성 ㅇ (사업목적) 식품의 생산에서 소비까지 전주기적 식품안전 확보 필요성에 따라 생산자, 관리자, 소비자 맞춤형 식품위해물질 검출기술 (3OS) 개발 - One-Stop 검출기술: 생산현장 활용 식품 시료전처리 기술기반 식중독균 검출기술 - On-Shipping 검출기술: 유통 젓 식품 포장지 훼손유무를 실시간 판별할 수 있는 비파괴 검출기술 - On-Site 검출기술: 위생 및 생산 관리자나 소비자 활용을 위한 휴대형 현장 간편 식품위해요소 검출기술 ㅇ (필요성) 다양한 위해물질에 의한 먹거리 안전사고가 연평균 5천건 이상 2%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국민 불안이 가젓되고 있음 - 식품안전관리에 대한 관점이 소비에서 생산 (Fork to Farm)의 관점으로 패러다임이 변화되고 있으나 변화하는 패러다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 - 미국, 유럽, 일본, 젓국 등 세계적으로 식량안보 강화 및 식품안전문제 대처를 위해 정부 발의를 통한 국제식품안전협회 (GFSI)를 설립하고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식품안전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관련 정책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 - 현재까지 개발된 식품안전 기술은 생산자 기반의 관리/감독을 위한 정밀분석, 고감도분석 및 통합관리를 위한 정보화기술개발에 집젓되어 있어서,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합한 사용자 활용에 적합한 능동적 식품안전 기술 개발이 필요 II. 사업의 내용 및 범위 ㅇ (사업개요) 3OS (One-Stop, On-Shipping, On-Site) 검출기술 개발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식품안전 신속/간편 검출기술 및 식품안전관리 기술개발, 이를 통한 식자재 먹거리 안전 확보 및 집단급식 식중독 사고 예방 ㅇ (사업범위) 1차생산물 농축산물, 수산물 등을 대상으로 식중독 세균 13종, 노로바이러스 및 잔류항생제 3계열을 현장에서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table-top형 One-Stop 검출 자동화 장치, 휴대형 On-Site 간편 검출 장치 및 생산-유통에서 식품 포장지 훼손 실시간 비파괴 On-Shipping 검사 장치 개발 - 검출대상 식품위해물질: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 비브리오 콜레라,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장출혈성대장균(EHEC), 바실러스 세레우스, 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여시나아 엔테로콜리티카, 캠필로박터 제주니,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제스,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세균 13종, 바이러스 1종), 잔류항생제 3계열 (테트라사이클린계, 퀴놀론계, 페니실린계) 및 진공포장, 가스치환포장 대상 식품 - 대상 식품: 채소류, 유제품, 돈육 등 농축산물, 굴, 조개, 생선 등 어패류, 김밥, 만두 등 가공식품 ㅇ (사업구성) 부처별로 구분하여 총 3개의 세부사업으로 구성되며 공용기술을 바탕으로 부처별 활용 가능한 응용기술로 개발. 이후 응용기술의 적용대상 식품과 오염대상원을 확대하여 3개 부처 기술 공용 활용 가능 - 농림축산식품부: 식중독균 One-Stop 검출 자동화 기술개발 및 실증시험 - 해양수산부: 식중독균 및 항생제 On-Site 간편 검출기술 개발 및 실증시험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 포장지 훼손 실시간 검사용 On-Shipping 장치 및 식품안전관리 실증시험 III. 사업 투자계획 ㅇ 1단계(2018~2020년), 2단계(2021~2022년), 3단계(2023~2024년)로 구분하여, 7년간 총 315억원 규모의 투자계획(안) 마련 ㅇ 부처별 '18년 신규사업의 재원은 본 기획보고서의 기술로드맵에서 확정된 예산을 활용하여 확보할 예정 IV. 사업 결과 활용계획 ㅇ 기술공급 주관부처에서 개발된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하여 관련 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농업진흥청,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국립수산과학원,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관련기업 등에 기술을 공급하고 이후 교육부, 국방부 등으로 기술을 확대시킴. 기존 수행사업인 '고부가가치 식품기술사업' 및 '통합식품정보망 구축' 등과 본 사업인 사용자 맞춤형 식품위해 검출 기술개발사업과 연계하여 국가차원의 식품안전 체계구축에 활용 ㅇ (One-Stop 검출기술개발) 현장검출용 융합장치를 활용한 농축산물, 수산물 실증시험 및 통합안정정보망 연계하여 국가식품안전망 확대로 안심 먹거리 확보에 기여 - One-Stop 검출기술은 집단급식소, 대형 시설 등에서 식품안전 관리를 통한 신공공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공구매를 통해 사업화 성과를 유도할 수 있음 ㅇ (On-Shipping 추적기술개발) 유통 추적 및 포장훼손을 인식할 수 있는 태그 및 리더 시스템 및 비파괴 분광 분석 시스템은 식품 생산 및 유통 업체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음 - On-Shipping 추적 기술은 민간 구매를 통해 사업화 성과가 가능하며, 식품산업 뿐 아니라 포장훼손 추적이 필요한 관련 산업에서도 수요가 높을 것으로 예상 ㅇ (On-Site 검사기술개발) 현장 실시간 어패류 전용 식품위해 감지용 검사 키트, 잔류항생제 검출 키트, 해수 상시 모니터링 현장형 시스템 제품 개발을 통해 관련 부처 관계자 및 수산업 관계자 현장 활용이 가능 - On-Site 검사 기술은 관리자의 경우 공공구매를 통해 상용화된 키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양식업자 등의 생산자는 민간 구매를 통해 사업화 성과를 유도할 수 있음 ㅇ (IoT기반 데이터 관리) 3OS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개별 IoT기반 단말기를 통해 검출된 데이터를 농식품부 개발 식품안전관리시스템에 전송되며 식약처와의 공조를 통해 통합식품안전정보망과 연계하여 실증사업 시 식약처 통합관리 추진 V. 기대성과 및 파급효과 ㅇ (기술적) 식품안전사고는 현장의 환경과 생산특성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출하전이나 배식전 검사가 필요하나 식품시료 처리로 인해 발생하는 12 ~ 48 이상의 시간으로 현재까지 현장에서 검사할 방법이 없었음 -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사업으로 현장의 비전문가 수준에서도 식품안전을 확인하고 판별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 - 세계적으로 식품에서 식중독균 검사까지 가장 빠른 시간이 10 3 cfu/mL 8시간 수준으로 현장적용이 어려운 반면, 본 사업의 성공적 수행은 10 cfu/mL 2시간 수준까지 자동화된 검사 기술 제공으로 세계기술 선도 가능 ㅇ (사회적) 농축수산 식품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에 이어지는 식품안전-품질관리 시스템 활성화로 국민에게 신뢰받는 안전한 먹거리 공급 - 안전, 고품질 농축수산 식품에 대한 국민 신뢰성 향상 및 관련 산업활성화를 도모하며 식품안전사고 사전예방, 신기술 상용화에 따른 농축수산물 원산지 검정기술의 해외 기술이전 및 제품수출 등 해외시장 진출 효과도 기대됨 - 식품의 생산에서 유통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 가능성이 있는 식품 위해 요소를 다양한 방면으로 검출하고 IoT 기반으로 한 실시간 정보 교류 시스템 도입을 통해 최종 소비 단계의 식품안전확보 방법과 기술을 공급하여 식품안전 신뢰향상 및 국민건강 증진 ㅇ (경제적) 식품 불량 유통 및 소비에 따라 발생되는 기업 및 소비자의 경제적 손실이 국가적 손실로 이어짐에 따라 식품위해 요소를 초기에 차단하여 매년 1조원 수준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및 매년 7.4% 성장을 바탕으로 2034년 3,762억불 규모의 세계시장 규모형성 (출처:요약본 p.3)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1742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