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나노물질을 활용한 목질계 폐바이오매스의 수소발효 효율 향상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3-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창원대학교
연구책임자 이종근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 최종목표 나노물질의 촉매 반응 및 효소 안정화 효과를 적용한 목질계 폐바이오매스의 바이오 수소 생산 효율 향상 ■ 세부 연구목표 ① 나노물질 촉매반응 기반의 목질계 폐바이오매스 전처리 기술 최적화 - 기존 목질계 바이오매스 전처리 기술 대비 나노물질 촉매 반응의 전처리 효율 비교 - 바이오수소 생산에 최적화 된 나노물질 촉매반응 전처리 기술 확보 ② 효소 고정을 통한 나노자임 합성 및 수소발효 적용 - 상용화된 셀룰라아제 효소와 나노물질 혼합을 통한 나노자임 합성 - 회분식 수소발효 실험을 통한 합성된 나노자임의 최적 적용조건 도출 ③ 연속식 반응조 운전을 통한 바이오수소 생산 효율 향상 및 최적화 - 실험실 규모의 연속식 혐기성 수소발효 반응조 장기 운전 - 나노자임 투입에 따른 수소발효 관련 미생물 군집 변화 분석 - 바이오수소 생산 공정 설계 인자 도출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금속산화물과 실리카코팅금속산화물이 표면에 셀룰라아제 효소를 고정하는 각각의 메커니즘 차이로 인해 나노물질 농도 당 단백질 농도와 총 단백질 농도를 기반으로 산정된 효소 고정 효율에 차이를 보였으며, 실리카코팅금속산화물의 복합적인 효소 고정 메커니즘 (공유결합+물리적결합)이 나노자임을 합성하는데 보다 유리한 것으로 확인됨. - 나노자임이 적용된 회분식 수소발효 반응조에서 나노자임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반응조 운전 조건에 따라 최소 21.2% (by vol.)에서 최대 69.6% (by vol.)까지 수소 생산 수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함. - 나노자임이 적용된 회분식 중온 수소발효 조건에서는 나노입자의 분산력을 이용하여 전처리된 바이오매스의 수소발효에 비해 약간 높은 수소 생산 효율을 보였지만(6.2-13.7% by vol.), 고온 수소발효 조건에서는 반대의 경향을 나타냄. 이는 나노자임의 안정적인 셀룰라아제 효소 활성 유지와 고온에서 야기될 수 있는 단백질 변성으로 인한 효소 활성 저하에 대한 취약함을 동시에 보여주는 결과로 판단됨. - 회분식 수소발효 반응조 운전 결과와 마찬가지로 나노자임을 적용한 반응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평균 18.6% (by vol.) 수준의 수소 생산 수율 증가가 관찰됨. - 나노물질의 분산력을 이용한 기질 전처리 시 반응조 내 당 (sugar) 분해와 관련된 미생물이 우점하는 결과로부터 리그노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가 효과적으로 파괴되어 전처리 효과를 얻은 것을 짐작할 수 있음. - 나노자임 투입 시 나노자임 지지체로 활용된 중금속에 저항성을 갖는 미생물이 반응조 운전기간 지속에 따라 꾸준히 증가한 결과로부터, 나노자임의 투입이 미생물의 활성에 스트레스 물질로 작용할 수 있는 우려가 존재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최근 관심이 높은 CO<sub>2</sub>-free ‘그린수소’ 공급 확대와 관련하여 국내에서 공급이 용이한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하는 청정 바이오수소 생산과 해당 포트폴리오 수립에 활용될 수 있는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장기적으로는 완전한 CO<sub>2</sub>-free 수소 생산체계를 지향하는 현 시류에 적극 부합함으로써 수소경제 이행 추진의 실현 가능성을 고양하는 방향점을 제시할 수 있음. ■ 수소발효를 비롯해 미생물의 대사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바이오에너지 생산 공정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해당 연구분야의 집중이 필요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1082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