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 3차원 샌드프린팅 주재료와 출력물에 대한 재료과학적 특성 분석 및 풍화특성 연구 • 3차원 샌드프린팅을 이용한 문화유산의 비접촉식 복원·복제기술 개발과 보존과학적 검증체계 구축 • 샌드프린팅 결과물의 문화유산 현장 적용을 위한 원칙 설정과 미관적 및 기능적 복원·복제 방법론 설정 • 문화유산 유형별 비접촉식 복원·복제 방법의 확대적용 및 방안 도출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샌드프린팅 출력물의 재료과학적 특성 규명 • 샌드프린팅 소재는 균 157㎛의 입도를 가지는 세립의 석영이 주구성광물 • 샌드프린팅 출력물의 물성은 강화처리 전 30.80%의 흡수율과 40.07%의 공극률을 가지며, 강화처리 후에 13.74%의 흡수율과 18.85%의 공극률을 나타냄 • 샌드프린팅 출력물은 신선한 사암과 비교하여 낮은 물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석재의 기능을 대체하기 보다 복원·복제 재료료서 활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 ∎ 3차원 디지털 기록-모델링-프린팅-목업 체계 확립 • 3차원 프린팅으로 출력된 디자인 목업은 외형 디자인 검토 및 치수 검증에 이용될 수 있고, 조립 오류 시 수정-재출력 과정을 거쳐 디자인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음 • 복제 모델링 시뮬레이션과 프린팅은 디자인 목업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단계 ∎ 비접촉식 거푸집 제작 과정 정립 • 3차원 스캐닝, 복셀 모델링, 가상 보존처리, 불리언 모델링, 샌드프린팅을 통한 거푸집 재현은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재료와 기술을 반영한 복제 방법 • 유물의 디지털화가 보편화되고 있고, 3차원 프린팅이 복원 및 복제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시점에서 첨단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방법론 개발은 매우 중요 • 디지털 거푸집 모델링 기반의 샌드프린팅은 주조가 필요하거나 지속적인 복제품 제작이 필요한 금속 유물에 높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측 ∎ 문화유산 복원·복제를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 • 비접촉식 방식을 이용한 유물 복원·복제 기술은 문화유산의 이차적 손상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유물에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복제를 위해 제작한 디지털 모델은 지속적으로 샌드프린팅으로 출력이 가능하여 원형 DB 구축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지속적 재사용 가능 • 샌드프린팅 결과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내구성과 안정성을 확보한다면, 문화 유산의 복제와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3차원 스캐닝 및 샌드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문화유산 복원·복제의 전통적 한계 해결 • 문화유산의 이차적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전통적 접촉식 복원·복제 방식을 비접촉식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 • 비접촉식 복원·복제는 문화유산 보존·활용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만족시키는데 최선의 선택 • 전통과학기술과 현대첨단기술을 융합함으로써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및 독창성 확보 • 현장적용성이 높은 방법과 과학기술적 이론을 정립하여 복원·복제의 방법론 정립 • 연구 결과의 국제적 확산을 통해 국외 문화유산 보존사업의 참여 및 교류 기회 확대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