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Ⅱ. 연구내용 및 결과 1. 연구과제의 개요 저탄소도시는 기후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다양한 사회·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시의 형태로,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녹지공간, 수변공간, 옥상녹화 등의 생태조경공간을 조성함으로써 탄소흡수원을 확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김홍주, 2009; 김원주 등, 2010). '저탄소경관'은 장기적인 측면에서 탄소 저장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재료, 식재와 같이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된 경관을 의미하며, 저탄소도시를 실현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기대되고 있다(Zhang and Sui, 2012). 저탄소경관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경관을 구성하는 자원별로 탄소흐름에 대한 인과순환관계를 파악하고, 탄소의 흡수와 저장량을 높일 수 있는 디자인요소를 활용하여 설계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저탄소경관 구성자원이 갖는 탄소 저장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을 활용하여 저탄소경관 디자인요소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세부목적은 첫째, 저탄소경관 구성자원을 탐색한다. 둘째, 구성자원 별로 인과지도를 작성하여 시뮬레이션 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변수를 선정한다. 셋째, 저탄소경관 디자인요소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형을 정립하여 대상지에 적용 가능한 저탄소경관 디자인요소를 개발한다.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 저탄소경관에 대한 국내외 연구 현황 '저탄소도시'는 2008년 정부가 국가비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제시한 이후 본격적으로 등장하였으며(고재경 등, 2011), 이후 저탄소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실천적인 방안으로써 '저탄소경관'의 개념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Zhang and Sui, 2010; Beringer et al., 2011; Zhou et al., 2011). 국내에서는 도시 단위에서 저탄소 실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요소들을 탐색하는 등 에너지 관리 및 정책 분야에서 탄소저감에 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김연지, 2010; 박종철과 김정연, 2010), 환경생태분야에서는 탄소 흡수량 또는 저장량을 측정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강동환 등, 2008; 황상일 등, 2009; 박은진과 강규이, 2010; 안근영 등, 2011; 정명일 등, 2013, 한미경 등, 2014; 조현길과 박혜미, 2015). 관련 연구들은 과거에는 대부분 가로수, 도시공원, 산림 등의 수목 등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최근에는 옥상과 같은 인공지반 및 수변공간에 적용 가능한 수종선정 관련 연구와(안근영 등, 2011; 정명일 등, 2013) 수변공간의 식재밀도 및 식재패턴에 따른 탄소 흡수량의 변화(조현길과 박혜미, 2015)까지 연구의 내용적, 공간적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그러나 저탄소경관과 관련된 앞선 연구들은 특정 시점을 대상으로 수종별 탄소 저장량을 분석한 개체 중심의 단순 실험연구들이 주로 수행되고 있으며, 실제 대상지에서의 탄소흐름 시스템을 파악하고 이에 적용시키기 위한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에서는, 저탄소도시의 실현을 위해 경관이 가지고 있는 환경관리 기능이나 에너지저감 기능 등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는 거시적 측면에서의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아니라(AONB, 2012; Nakagoshi and Mabuhay, 2014), '도시경관의 혁신적인 디자인과 평가(Urban Landscape Innovative Design and Its Evaluation)' 및 '저탄소정원(Low Carbon Garden)'의 설계와 관련된 연구를 통해 저탄소경관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여 대상지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Rui-qing and Yang, 2015; Shi et al. 2015; Yan and Zhang, 2015). 국내외 연구동향을 종합하였을 때, 국내에서도 실제 대상지에 적용할 수 있는 저탄소경관 디자인요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탄소 저장량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장기적인 측면에서 대상지의 탄소 저장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저탄소경관 디자인요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출처 : 본문 5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