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분석자 서문 조직 유착(tissue adhesion)은 일반적으로 수술 후에 손상된 조직이 회복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통증과 염증반응, 운동장애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히알루론산, 키토산, 젤라틴 등 다양한 생체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유착방지막(anti-adhesion barrier)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리뷰 논문은 하이드로젤(hydrogel), 필름, 마이크로 입자, 전기방사섬유(electrospun fiber)와 같이 현재까지 개발되어온 유착방지막들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생리활성 약물들을 봉입함으로써 장기의 유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려는 최근의 연구 동향에 대해서도 자세히 소개하고 있어 관련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1]. 2. 목차 1. 서론 2. 유착성 질환 2.1. 힘줄 유착 2.2. 경막 외 유착 2.3. 심낭 유착 2.4. 자궁 내 유착 2.5. 복막 유착 3. 유착 방지를 위한 생체재료 3.1. 히알루론산 및 유도체 3.2. 키토산 및 파생상품 3.3. 트레할로오스(Trehalose) 3.4. 풀루란(Pullulan) 3.5. 인지질(Phospholipids) 3.6. 젤라틴(Gelatin) 3.7. 팽창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 ePTFE) 3.8. 기타 합성고분자 3.9. 생체재료 선택을 위한 고려 사항 4. 유착을 방지하기 위한 특정 의약 구조 4.1. 전기방사섬유막 4.2. 하이드로겔 4.3. 필름 4.4. 마이크로스피어 5. 유착 방지 약물의 도입 6. 결론, 향후 전망 및 분석자 논평 유착의 예방을 위한 현재의 접근법은 주로 염증의 억제, 다른 조직과의 상처 접촉 방지, 피브린 침착 방지, 피브린의 용해 및 흡수 촉진 및 섬유아세포의 증식 억제에 의존해왔다. 생체재료는 상처가 다른 조직에 부착되는 것을 막는 물리적 장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어떤 경우에는 실제로 염증을 억제함으로써 접착을 막는 데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물질과 약물을 결합하는 기능성 생체재료를 설계하는 것이 유착의 형성을 예방하는 데 더 효과적 일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 리뷰는 생체 물질의 설계를 안내하기 위해 몇 가지 주요 유착 질환 및 관련 병리학적 메커니즘에 대한 포괄적 요약을 제공하였다. 본 리뷰 논문은 다양한 후보 물질 외에도 각 물질의 특정한 구조와 골격이 많은 지면을 할애하였으며 마지막 절에는 항유착을 위한 후보 약물들을 소개하였다. 신제품 개발에 대한 이러한 총체적인 접근은 질병 치료 및 기능 회복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현재, 임상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항유착 제품은 여전히 간단하고 제한적이다. 그러나 생체재료, 정밀공학 구조 및 신약에 대한 연구의 발달은 조직 유착 방지에 새로운 접근법을 수립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아울러 항유착 활성을 갖는 약물을 생체재료 및 특정 의약 구조에 편리하게 결합시키는 방법 역시 요구된다. References 1. W. Wu, R. Cheng, J. das Neves, J. Tang, J. Xiao, Q. Ni, X. Liu, G. Pan, D. Li, W. Cui, B. Sarmento, Advances in biomaterials for preventing tissue adhesion, J Control Release 261 (2017) 318-336. 2. D. Robertson, G. Lefebvre, C. Clinical Practice Gynaecology, Adhesion prevention in gynaecological surgery, J Obstet Gynaecol Can 32(6) (2010) 598-602. 3. T.J. Koob, A.P. Summers, Tendon--bridging the gap, Comp Biochem Physiol A Mol Integr Physiol 133(4) (2002) 905-9. 4. S. Hayashi, M. Fujii, T. Takayama, Prevention of postoperative small bowel obstruction in gastric cancer, Surg Today 45(11) (2015) 1352-9. 5. H.K. Sheldon, M.L. Gainsbury, M.R. Cassidy, D.I. Chu, A.F. Stucchi, J.M. Becker, A sprayable hyaluronate/carboxymethylcellulose adhesion barrier exhibits regional adhesion reduction efficacy and does not impair intestinal healing, J Gastrointest Surg 16(2) (2012) 325-33. 6. N.R. Umesh K. Parida, B.K. Bindhani, Advances in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04(12) (2013) 1118-1127. 7. H.C. ZHANG Shu, CAO Yongcheng, An experimental study on prevention of postlaminectomy adhesion by the use of chitosan membran, CHINESE JOURNAL OF EXPERIMENTAL SURGERY 9 (1999) 145-148. 8. A. Ohata, N. Tamura, K. Iwata, N. Abe, K. Doi, Y. Saito, M. Katoh, H. Nojima, Trehalose solution protects mesothelium and reduces bowel adhesions, J Surg Res 191(1) (2014) 224-30. 9. S. Bang, E. Lee, Y.G. Ko, W.I. Kim, O.H. Kwon, Injectable pullulan hydrogel for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tissue adhesion, Int J Biol Macromol 87 (2016) 155-62. 10. K. Fotiadis, E. Filidou, K. Arvanitidis, V. Valatas, G. Stavrou, G. Basdanis, V. Paspaliaris, G. Kolios, K. Kotzampassi, Intraperitoneal application of phospholipids for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adhesions: a possible role of myofibroblasts, J Surg Res 197(2) (2015) 291-300. ※ 이 자료의 분석은 Emory University의 안현희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