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분석자 서문 인간의 신경과학에 대한 연구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신경과학 연구 및 진단은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를 사용한 비침습적 방법을 이용하여 인간 두뇌의 공간적으로 국소화된 신호 및 조직 특성을 측정한다. 진단 판독의 지속적인 발전은 치료 방법 선택 및 진단 틀을 구축함으로써 건강한 사회로의 목표를 지원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분석물에서는 MRI를 사용한 뇌의 판독 회로에서 중요한 구조와 반응을 확인하고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개개인의 판독 어려움을 진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판독 회로의 기능적 및 구조적 측정에 대한 내용을 확인하고자 한다. 2. 목차 1. 서론 2. 신경 회로의 개요 2.1 시각 판독 회로의 해부학 2.2 시각 판독 회로의 구성 2.3 전두(Dorsal) 및 선조(frontal) 판독 회로 3. 행동 진단 3.1. 시각적 인코딩(Visual Encoding) 3.2. 청신경(Auditory) 인코딩 3.3. 심리적 모델 4. 피질 읽기 회로 응답량 결정 4.1. 집단 수용 필드(field) 4.2. 시야 4.3. 회로 잡음 4.4. 특정 회로 모델 4.5 조직 특성 평가 5. 데이터 및 전산 관리 6. 결론 본 보고서는 판독 장애를 특징짓는 진단 도구의 개발을 장려하는 것이다. 이해할 수 있는 회로와 도구를 논의하지만 초기 단계에서 우리는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특히 독서 손상이 핵심 독서 경로 외부의 신경 과정(잘못된 신호를 전달하거나 학습과 발달 과정의 시기가 일치하지 않는 등)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20년이 넘는 연구 결과로 많은 회로 판독이 실제 성공을 거두었다. 이러한 연구는 뇌 영역을 식별하고 정성적 모델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둔 것이다. 향후 20년 동안 기본 연구보다 해부학적 및 정량적 특이성을 갖춘 진단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작업이 추가될 수 있다. 신경 회로 모델을 정량적 신경 영상, 전산 모델링, 정보과학 도구와 결합하면 과학적 발견이 읽고 쓰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사회적 목표를 지원하는 응용 신경과학 진단으로 이끌 것이다. References 1. Wandell BA Le RK. Diagnosing the Neural Circuitry of Reading. Neuron. 96, 298-311 (2017). 2. Nassi JJ Callaway EM. Parallel processing strategies of the primate visual system. Nat. Rev. Neurosci. 10, 360-72 (2009). 3. Wandell BA et al. Visual field maps in human cortex. Neuron 56, 366-83 (2007). 4. Sereno MI et al. Borders of multiple visual areas in humans revealed by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ience 268, 889-93(1995). 5. Ben-Shachar M et al. White matter pathways in reading. Curr. Opin. Neurobiol. 17, 258-70 (2007). 6. Markov NT et al. Cortical high-density counterstream architectures. Science 342, 1238406 (2013). 7. DiCarlo JJ et al. How does the brain solve visual object recognition? Neuron 73, 415-34 (2012). 8. Yamins DL DiCarlo JJ. Using goal-driven deep learning models to understand sensory cortex. Nat. Neurosci. 19, 356-65 (2016). 9. Sherman SM. Thalamus plays a central role in ongoing cortical functioning. Nat. Neurosci. 19, 533-41 (2016). 10. Sincich LC et al. Bypassing V1: a direct geniculate input to area MT. Nat. Neurosci. 7, 1123-28 (2004). ※ 이 자료의 분석은 충남대학교의 이혜미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