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산림관리 모델 고도화 및 활용으로 국가 단위의 리스크 감소와 미래 산림경영 계획 수립 지원 - 산림자원·경영 활동자료 통합 및 현행화를 시행하고 모델 내 입력 자료, 기준선 최신화를 통한 산림관리모델 고도화로 미래 산림경영 정책 및 기본수립 계획에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리스크 평가 방법론 구축을 통한 신기후체제 대응의 우선 대책 지역을 선정하고, 관리모델 전략을 적용하여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마련함. K Forest 측면의 지속가능한 산림경영과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DGs),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기여함 전체 내용 ○ 산림은 국제적으로 공인된 유일한 육상생태계의 탄소흡수원으로써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바이오매스 형태로 저장하면서 기후변화 영향 저감과 완화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다른 생태계와 마찬가지로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음. 따라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통하여 노령화로 인한 연간생장량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 감소를 줄이고 기후변화에 대응한 적절한 수종갱신을 통하여 온실가스 감축 전략 및 K Forest 연계된 관리방안을 모색함 ○ 산림자원·경영 활동 자료 통합 및 현행화 - 파편화된 산림활동자료(임상도, 국가산림자원조사, 국유림 경영정도 DB, 사유림 경영정보 DB, 보호지역 등)를 통합함 - 최근 개정된 7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및 CMIP6 SSP 기후변화 자료를 모델 내 현행화 및 적용함 - 통합 및 개정된 입력자료들을 기반으로 동적생장모델 입력값 보완 및 고도화함 ○ 동적산림생장모델을 활용한 관리모델 고도화 - 고려대학교에서 개발한 동적생장모델(KO-G-Dynamic)내 주요 수종 중 상수리 수종 추가함 (임분 수확표 기준 참고) - 신기후체제에 따른 미래의 산림변화(축적, 생장량, 이산화탄소흡수량)를 모의함 - 관리모형 내 법정벌채 및 재조림, 간벌 면적 조절, 강도, 종류에 따른 알고리즘을 추가함 ○ 리스크평가 방법론 개발 - IPCC AR6 컨셉에 따른 산림생장 및 관리부문 리스크 평가 방법론을 구축함 - 현재 및 신기후체제에 도래될 산림 기작기반의 리스크를 시공간적으로 평가함 -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 안과 정책적 측면의 기여 방안을 제시함 연구개발성과 ○ 한국의 생태·환경을 반영한 동적생장모형 내에 다양한 관리 방법을 반영할 수 있는 산림관리모형을 고도화함 ○ IPCC AR6 컨셉과 모형의 기작에 기반한 산림부문 리스크 평가 방법론 구축함 ○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NDC 및 탄소중립 등의 정책에 지원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을 제시함 ○ 논문(비SCI1편) 게재, 소프트웨어 1건 등록, 최종보고서 제출, 학회 포스터 발표 2건, 인력양성 석사 졸업 1건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산림관리모델을 이용하여 산림경영 정책 및 계획 수립에 필요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음 ○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 방식을 도출하고 해당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환경 및 사회적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음 ○ 리스크 평가방법론을 통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 지역에 따른 적응 우선 순위를 선정할 수 있음. 이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역자지단체의 산림경영 정책 수립뿐만 아니라 나아가 국가 단위의 적응 정책을 수립하는데 지원 ○ 신기후체제가 도래함에 따라 산림부문의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시공간적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임상 변화 예측과 리스크 지점을 도출하는데 효과적임 ○ 시공간 산림활동자료 DB의 통합을 통해 모델 내 자료 최신화를 할 수 있으며, 이는 산림경영계획의 과학적 근거자료를 마련할 수 있음.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산림관리 시나리오를 추가하여 실질적으로 현업에서 활용되는 현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상적이 관리시나리오 체계마련이 가능함 ○ 신기후체제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활동 시나리오는 산림경영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국제적 이슈인 NDC, SDGs 달성에도 기여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