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리스크 기반 산림관리 모형 고도화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04-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고려대학교
연구책임자 홍민아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 목표 ○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산림관리 모델 고도화 및 활용으로 국가 단위의 리스크 감소와 미래 산림경영 계획 수립 지원 - 산림자원·경영 활동자료 통합 및 현행화를 시행하고 모델 내 입력 자료, 기준선 최신화를 통한 산림관리모델 고도화로 미래 산림경영 정책 및 기본수립 계획에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리스크 평가 방법론 구축을 통한 신기후체제 대응의 우선 대책 지역을 선정하고, 관리모델 전략을 적용하여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마련함. K Forest 측면의 지속가능한 산림경영과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SDGs),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기여함 전체 내용 ○ 산림은 국제적으로 공인된 유일한 육상생태계의 탄소흡수원으로써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바이오매스 형태로 저장하면서 기후변화 영향 저감과 완화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다른 생태계와 마찬가지로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음. 따라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을 통하여 노령화로 인한 연간생장량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 감소를 줄이고 기후변화에 대응한 적절한 수종갱신을 통하여 온실가스 감축 전략 및 K Forest 연계된 관리방안을 모색함 ○ 산림자원·경영 활동 자료 통합 및 현행화 - 파편화된 산림활동자료(임상도, 국가산림자원조사, 국유림 경영정도 DB, 사유림 경영정보 DB, 보호지역 등)를 통합함 - 최근 개정된 7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 및 CMIP6 SSP 기후변화 자료를 모델 내 현행화 및 적용함 - 통합 및 개정된 입력자료들을 기반으로 동적생장모델 입력값 보완 및 고도화함 ○ 동적산림생장모델을 활용한 관리모델 고도화 - 고려대학교에서 개발한 동적생장모델(KO-G-Dynamic)내 주요 수종 중 상수리 수종 추가함 (임분 수확표 기준 참고) - 신기후체제에 따른 미래의 산림변화(축적, 생장량, 이산화탄소흡수량)를 모의함 - 관리모형 내 법정벌채 및 재조림, 간벌 면적 조절, 강도, 종류에 따른 알고리즘을 추가함 ○ 리스크평가 방법론 개발 - IPCC AR6 컨셉에 따른 산림생장 및 관리부문 리스크 평가 방법론을 구축함 - 현재 및 신기후체제에 도래될 산림 기작기반의 리스크를 시공간적으로 평가함 -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 안과 정책적 측면의 기여 방안을 제시함 연구개발성과 ○ 한국의 생태·환경을 반영한 동적생장모형 내에 다양한 관리 방법을 반영할 수 있는 산림관리모형을 고도화함 ○ IPCC AR6 컨셉과 모형의 기작에 기반한 산림부문 리스크 평가 방법론 구축함 ○ 신기후체제 대응을 위한 NDC 및 탄소중립 등의 정책에 지원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을 제시함 ○ 논문(비SCI1편) 게재, 소프트웨어 1건 등록, 최종보고서 제출, 학회 포스터 발표 2건, 인력양성 석사 졸업 1건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산림관리모델을 이용하여 산림경영 정책 및 계획 수립에 필요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음 ○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 방식을 도출하고 해당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환경 및 사회적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음 ○ 리스크 평가방법론을 통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 지역에 따른 적응 우선 순위를 선정할 수 있음. 이는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역자지단체의 산림경영 정책 수립뿐만 아니라 나아가 국가 단위의 적응 정책을 수립하는데 지원 ○ 신기후체제가 도래함에 따라 산림부문의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시공간적 분석을 통하여 효과적인 임상 변화 예측과 리스크 지점을 도출하는데 효과적임 ○ 시공간 산림활동자료 DB의 통합을 통해 모델 내 자료 최신화를 할 수 있으며, 이는 산림경영계획의 과학적 근거자료를 마련할 수 있음.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산림관리 시나리오를 추가하여 실질적으로 현업에서 활용되는 현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상적이 관리시나리오 체계마련이 가능함 ○ 신기후체제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활동 시나리오는 산림경영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국제적 이슈인 NDC, SDGs 달성에도 기여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0442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