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대표적인 바이오연료는 바이오디젤과 에탄올이다 . 에탄올은 디젤연료에 섞어 쓰기가 쉽지 않다 . 그러나 바이오디젤은 에탄올과 디젤에 각각 잘 혼합되며 바이오디젤을 사용하면 에탄올과 디젤을 함께 혼합할 수 있어 이 3 원 혼합연료를 디젤 엔진에 쓸 수 있다 . 본문은 이런 바이오디젤과 화석 디젤연료와 혼합연료 , 그리고 에탄올 , 바이오디젤 및 디젤연료의 3 원 혼합연료의 배출 성적에 대한 보고서이다 . ○ 이러한 혼합 연료는 모두 화석 디젤연료에 비하여 CO, 매연 및 미세먼지의 배출을 줄이지만 NOx 와 CO 2 의 배출은 증가된다는 것이 본문의 결론이다 . 연료 중에 포함된 산소로 연소의 질이 완전연소에 가까워져 CO 2 가 , 그리고 연소실의 온도가 올라 NOx 발생이 많아지는 것이다 . ○ NOx 는 연료에 함유된 성분이 화학반응을 거쳐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 산화제로 투입된 공기 중 질소와 산소가 결합한 것이다 . 연소실 온도가 높을수록 NOx 배출이 커지기 때문에 잉여 공기로 그 온도를 억제하기도 한다 . NOx 는 지상 오존의 전구물질이며 산성화의 원인 중 하나이다 . 바이오매스는 황의 함량이 매우 적어 SOx 배출은 무시할 만 하다 . ○ 본문에서 취급한 1 세대 바이오디젤은 곡물이 원료임으로 지구상 빈민에게 식량난을 일으키는 등 도덕적 문제가 크다 . 비 - 식용 기름이 원료인 2 세대 바이오디젤도 식량에 대하여 토지와 자원 ( 물 , 비료 , 살충제 등 ) 을 경쟁함으로 도덕성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 따라서 미세조류 , 균류 등을 원료로 하는 3 세대 바이오디젤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 ○ 우리나라의 미세조류에서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 연구는 포항공과대학의 조병훈 , 차형준등이 그 제조 기술 연구 결과에 대해 논문을 발표한 바 있고 생명공학연구원의 오희목이 이 주제에 대한 세계적인 연구경향과 전망을 종합하여 발표한 논문 등이 있다 . 반드시 미세조류만이 아닌 일반적인 지질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은 에너지기술연구소의 이진석이 발표한 “ 화학촉매에 의한 바이오디젤생산 ” 이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