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고고학적 유적 및 퇴적물에 기록된 잔류자화를 이용하여 과거 7000년 동안 한반도에서의 지구자기장 방향의 고영년변화를 연구하고 고고지자기 연대측정에 필요한 표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함. 기 보고된 국내외 고고지자기 방향 자료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수행하고 자료를 선별하였으며, 연구 기간에 걸쳐 새로 발굴된 고고학적 유적에 대하여 고고지자기 자료를 추가하였음. 또한, 퇴적물 코어로부터 획득한 준연속적인 고영년변화 자료를 분석한 후 고고지자기 자료와 함께 종합적인 해석을 통하여 고영년변화 모델을 제시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국내외 고고지자기 자료에 대한 검증: 전문 학술지에 발표된 한반도 내의 고고지자기 자료를 수집하고, 국제적으로 공인된 신뢰도 기준을 적용하여 검증하였음. 그 결과 75개 지점의 고고지자기 방향 자료가 설별되었음. GEOMAGIA database에 등재된 충주 기준 반경 1000 km 이내의 해외 자료를 수집하여 신뢰성 검증을 수행한 결과, 일본 69개와 중국 12개의 자료가 통과하였음. - 하성/호성 퇴적물 코어로부터 준 연속적인 영년변화 기록 복원: 낙동강 유역에서 채취한 퇴적물 코어(ND-1)에 대한 고지자기 방향 연구를 통해 기원전 약 3400년 이후의 준 연속적인 고영년변화 기록을 복원하였으며 전 지구적 지자기 예측 모델인 CALS10K.2와 유사한 변화 경향을 보여 신뢰도가 높은 자료로 평가되었음. 또한 제주도 하논 호성 티적물 코어(HN-1)에 대한 고지자기 방향 연구를 통해 기원전 5000년 이전의 시기에 대한 고영년변화 자료를 자료를 수집하였음. - 고고지자기 방향 자료의 추가: 여러 고고학적 유적 발굴기관들의 협조를 얻어 8개 지역 25개 지점에 대한 고고지자기 연구가 수행되어 추가 자료를 성공적으로 축적하였음. - 한반도 고영년변화 분석 및 표준 영년변화 곡선 제시: 이전 과제의 결과의 성과물인 ‘한반도의 2000년간 고영년변화 모델(KPSV_v1.0)’을 바탕으로 이번 연구를 통하여 획득한 자료들을 추가하여 해상도를 향상시켰으며, 기원전 청동기 시대까지 연대 구간이 확장되었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추가된 고고지자기 자료를 이용하여 지난 2000년간의 한반도 영년변화 곡선의 해상도를 증가시키고, 그에 따라 고고지자기 연대측정 방법의 정밀도를 향상시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또한, 퇴적물 코어 자료를 이용하여 준연속적인 영년변화 자료를 축적하여 표준 영년변화 곡선 범위 확장의 기틀을 마련함. - 퇴적물 코어로부터 획득한 자기 파라미터 자료로 이후 추가적으로 획득하는 자료와 종합하여 현재까지 이용하지 않은 지시자를 이용하여 더 심층적인 영년변화와 비쌍극자기장 분석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 연구개발결과를 국제 전문학술지에 게제하고 GEOMAGIA database에 등록하여 전지구적 지자기 예측 모델의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정확도와 해상도 향상에 기여하고, 전 지구적인 지구 자기장 변화 특성 및 여러 지구과학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