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천연물 유래 PCSK9-LDLR 결합억제, PCSK9 발현억제 및 LDLR 발현 증대를 나타내는 화합물을 발굴하여 LDL uptake 증가를 확인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 가능성을 가진 화합물을 발굴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목표: 활성 시료 4종으로부터 화학성분의 분리 정제 및 화학구조 규명 -노각나무(15종), 낙지다리(39종), 부처손(5종), 곰보배추(19종), 후박 (8종), 삼지구엽초(22종), 벌개미취(22종), 캄보디아 식물(31종) 등 총 8종의 식물로부터 161종의 화학성분을 분리 정제 및 화학구조 규명을 완료함. 목표: PCSK9-LDLR binding inhibition 효과 및 PCSK9 합성억제 또는 LDLR 합성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들까지 확장하여 실험 -노각나무와 곰보배추 유래 화합물에 대한 PCSK9-LDLR 결합 억제효과 평가에서 유의성 있는 화합물은 확인되지 않음. PCSK9 발현 억제 화합물들을 확인하였음. 목표: LDL uptake, cholesterol uptake 실시 -낙지다리 유래 화합물 1종의 LDL uptake 증가 효과 확인 -망고스틴 유래 화합물 1종의 LDL, cholesterol uptake 증가 효과 확인 목표:흡수 및 조직분포 평가 -PCSK9 발현억제 효과가 알려진 moracin C의 조직분포 특성 실험으로 간에서 6시간까지 T(조직내 농도)/P(혈장내 농도) 값이 10 이상을 유지하는 특성을 관찰함. 목표: 동물모델에서 효능 검증 -선행연구결과 재분석 및 간조직 검경 추가연구를 진행하여 schisandrin C의 효과 평가 결과 지방간 완화 효과 및 지방축적억제 효과를 확인함. 또한 새로운 transcriptome 분석으로 CD36, PPARr, CYP7A1, CYP7B1 유전자 발현 조절이 동물실험효과와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음. -Metformin을 양성대조군으로 활용하기 위해 고지방식이 동물모델에 활용한 실험을 완료함. -활성 화합물인 alpha mangostin에 의한 HepG2 세포의 유전자 발현분석을 RNA sequenc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활성화합물에 의한 콜레스테롤 및 지질 대사 관련 유전자들의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음. 추가적인 연구에서도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이 활성 화합물의 효과에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됨. -부처손과 낙지다리에서 유래된 화합물의 경우 RNA sequencing 대신 String database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간세포에 초점을 맞춘 콜레스테롤 또는 LDLR 대사 관련 유전자들을 선별하여 분석하였음. 그 결과 새로운 유전자의 관련성이 확인되었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콜레스테롤 조절기작으로서 PCSK9, LDLR의 관련성을 이용한 천연물 특허 가능성에 대한 자문을 받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계획을 설정할 예정임. -활성분획물과 활성분획물에 함유된 화학성분에 대한 활성 성분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AI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를 추진할 예정임. -후속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화합물 정보를 구축할 예정임.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에 천연물 유래 화합물들이 관여할 수 있으며, 이들의 효과적인 동물실험 모델에서의 검증을 위한 방법으로 기존 신약개발 과정에서 사용되던 방법론인 약물조직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진행하는 것이 향후 효능평가의 실패를 낮출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함. -단일 타겟을 목적으로 화합물을 발굴하더라도 화합물에 의해 조절 될 수 있는 다양한 타겟에 대한 검토를 통해 콜레스테롤 조절과 관련된 유전자들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