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폐경 여성 성호르몬 저하에 의한 중추신경계의 변화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뇌영상 평가기술 개발: 국부 뇌용적, 철 함유량 변화 측정 기술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3-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원광대학교
연구책임자 김태훈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1. 폐경 후 성호르몬 저하에 의한 중추신경계의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뇌영상 평가기술 개발(국부 뇌용적, 철 함유량 변화 측정 기술)하고 더불어 폐경기 여성의 대뇌 표준판 뇌영상 제작하여 최적화한 다음, 2. 폐경전과 폐경후 여성에서 혈중 성호르몬 농도와 뇌영상 분석을 통하여 자연 노화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고 궁극적으로 폐경기 성호르몬 의존적 국부 뇌용적 및 철 함유량의 변화를 신경해부학적 측면에서 규명하고자 함 ◼ 전체 내용 [1차년도] 폐경기 전·후 여성을 대상으로 국부 뇌용적과 철 함유량 변화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뇌영상 평가기술 개발 ○ 폐경기 혈중 성호르몬 농도 평가항목 선정 및 수집 ○ 국부 뇌용적 변화 평가방법 개발: 고해상도 MRI 영상데이터 획득, 복셀기반 형태분석법 ○ 철 함유량 평가방법 개발: 대뇌 철 함유량 영상 획득, mDIXON MRI 분석 방법 [2 차년도] 개발한 뇌영상 평가 기술을 표준화 및 최적화하고 폐경기 전후 나타난 국부 뇌용적/ 철 함유량 변화 중 자연 노화의 영향 정량 평가 ○폐경 전 ․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인 대뇌 표준판(Korean brain template) 영상 제작 ○ 국부 뇌용적와 철 함유량 평가방법 이용하여 폐경 전 ․ 후 여성의 차이점 비교 ○ 대뇌표준판을 이용하여 폐경 여성에서 나타난 뇌용적과 철함유량 변화 중 자연 노화(aging)의 영향 정량평가 [3차년도] 폐경 여성에서 뇌용적과 철 함유량 변화와 성호르몬 농도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성호르몬 저하에 따른 신경해부학적 ․ 생리기능학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평가 ○ 폐경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 농도의 변화를 내분비학적 ․ 생리 기능학적 평가 ○ 폐경 전 ․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인 대뇌표준판 영상 최종 품질 평가 ○ 폐경 이후 국부 뇌용적 및 철 함유량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혈중 성호르몬 농도와의 상관성을 생리기능학적 ․ 신경해부학적 측면에서 총체적으로 규명 □ 연구개발성과 [1차년도 연구성과] 폐경기 전·후 여성을 대상으로 국부 뇌용적과 철 함유량 변화를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뇌영상 평가기술 개발 ○ 폐경기여성 혈중 성호르몬 농도 평가항목 선정 및 수집 - 원내 산부인과와 협업 실시 - 혈중 성호르몬 평가항목: Anti-mullerian hormone (AMH); Estradiol; Testosterone; Progesterone;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luteinizing hormone (LH) 선정 / 수집 ○ 국부 뇌용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뇌영상 획득 및 분석방법 개발: SPM12 기반 Voxel-based Morphometry 분석 방법 구현 ○ 철 함유량 반영 뇌영상 획득 및 분석 방법 개발: SPM12 기반 SWI 영상 분석 방법 구현 완료 [2차년도 연구성과] 개발한 뇌영상 평가 기술을 표준화 및 최적화하고 폐경기 전후 나타난 국부 뇌용적/ 철 함유량 변화 중 자연 노화의 영향 정량 평가 ○ 폐경기여성 혈중 성호르몬 농도 평가항목 선정/수집: 원내 산부인과를 내원한 총 69명 여성대상자에서 데이터 수집 완료 ○ 폐경 전 ․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인 대뇌 표준판 영상 제작(연구비 지출을 통한 전향적 획득 데이터 총 수) - 폐경전 여성: 획득 데이터 수 총 23명 - 폐경여성 (비호르몬 치료군): 획득 데이터 수 총 26명 - 폐경여성 (호르몬 치료군): 획득 데이터 수 총 20명 ○ 뇌영상 기반 국부 뇌용적과 철 함유량 평가방법 이용하여 폐경 전 ․ 후 여성의 차이점 정량평가: 한국인 뇌MRI영상을 이용하여 국부 해부학적 영역별 분석 프로토콜 및 정량 평가방법 개발 (국내학술발표 1건) ○ 폐경 전 ․ 후 여성에서 나타난 뇌용적 변화 중 자연 노화(aging)의 영향 평가: Age-dependent 뇌용적 변화 부위 확인 [3차년도 연구성과] 폐경 여성에서 뇌용적과 철 함유량 변화와 성호르몬 농도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성호르몬 저하에 따른 신경해부학적 ․ 생리기능학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평가 ○ 폐경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 농도의 변화를 내분비 ․ 생리기능학적 평가: SCI 논문 발표, 국제학술대회 발표 실시 - 폐경전 여성과 폐경 여성 간 뇌용적 변화 비교 - 폐경전 여성 (평균 연령 40세)과 폐경 여성 (평균연령 57세) 간 잠재적인 연령 차이 존재함 - 폐경여성 대상 비호르몬 치료군과 호르몬 치료군 변화 중요 ○ 폐경 전 ․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인 대뇌 표준판 영상 최종 품질 평가 후 표준판 영상 제작 완료 (기준 부합데이터 확인) - 폐경전 여성: 최종 선별 23명 (평균연령 40.4 ± 6.5세) - 폐경여성 (비호르몬 치료군): 총 26명 중 최종선별 21명 (평균 56.6 ± 3.8세) - 폐경여성 (호르몬 치료군): 최종선별 20명 (평균 57.2 ± 4.2세) ○ 폐경기 여성의 혈중 성호르몬 농도와 뇌용적 / 산화적 스트레스 변화 간 연관성 규명: 기구축한 분석 방법 활용하여 뇌용적 및 철 함유량 변화 영역 규명 (SCI 논문 발표) ○ 폐경전 여성과 폐경후 여성에서 뇌영상 변화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혈중 성호르몬 농도 의존성 규명: 최종적으로 참가대상자를 동일한 연령대의 비호르몬 치료군(평균 56.6세 ± 3.8세)과 호르몬 치료군(평균 57.2세 ± 4.2세)으로 각각 모집하여 의존성 규명 (Scientific Report 저널 SCI논문 발표, 국제학술대회 4건 발표)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폐경 이후 인지기능 감퇴와 성부전 등의 성적 기능 변화 등 뇌기능 변화를 신경 해부학적 측면으로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 지식으로 이용 - 신경영상의학 기반으로 폐경 여성에서 난소퇴축-에스트로겐 저하로 인한 국부 뇌용적과 철 함유량 변화를 정량 평가 방법을 개발하여 원천기술을 확보하여 기술 수요 기관에 적극 제공 - 성호르몬 의존 부위를 규명함으로서 폐경기 증상 완화를 위한 호르몬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정량적인 지표로 활용하며 나아가 호르몬 치료 효과를 신경해부학적인 측면에서 평가하는데 이용 - 호르몬 보충요법 등에 의한 치유과정과 예후판정에 있어서 국부적인 중추신경계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개발 기술을 적극 활용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0619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