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첨단 바이오의약품(면역 항암제)의 3D 인체 모사 융합 플랫폼 기반 유효성 비임상 평가법 구축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3-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책임자 최낙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사업 개요 ◯ 사업명 - 첨단바이오의약품(면역항암제) 인체 모사 기반 유효성 비임상 평가 기술개발사업 ◯ 총 사업비 - (사업비) 486억 원 - (정부지원연구개발비) 477억 원 보건복지부 28,620백만 원(6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5,264백만 원(32%) 식품의약품안전처(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3,816백만 원(8%) - (기관부담연구개발비) 9억 원 ◯ 사업 기간 - 2024년~2028년(5년) ※ 1단계' 3년(2024~2026)' +' 2단계' 2년(2027~2028) □ 문제 정의 ◯ 첨단 바이오의약품의 항암 면역 치료 유효성 평가법 부재 - 혈액암에 대한 CAR-T 치료제의 성공적인 임상적 효능이 검증되었으나, 고형암에서는 아직 연구 단계에서 제한적인 효능만 보고 - 첨단 바이오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의 임상 시험 건수는 늘고 있지만, 적합한 비임상 평가법이 없음 - 첨단 바이오의약품의 항암 면역 치료 효능 확인과 적용에 대한 임상적 미충족 수요가 대단히 높음 □ 문제 해결 이슈 ◯ 첨단 바이오의약품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는 비임상 평가법 구축 □ 사업 목표 ◯ 첨단 바이오의약품 중 면역 항암제를 대상으로 암 조직 특이적 면역 체계가 내재된 3D 인체 모사 융합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유효성 비임상 평가 기술과 평가 방법(SOP)을 개발 □ 사업 지원 범위 □ 성과 목표 ◯ 첨단 바이오의약품 면역 항암제의 유효성 비임상 평가에서 현재 gold standard인 humanized patient-derived xenograft (huPDX) 대비, - 기간 60% 단축(5년 → 2년) - 비용 50% 절감(1~2개 물질 테스트 기준 최소 2억 원 → 1억 원) - 비동물 평가 모델 수립 성공률 50% 이상 향상(대장암 기준 ~50% → 90% 이상) □ 성과 지표 ◯ 첨단 바이오의약품 면역 항암제(바이오의약품 병용 치료제 포함) + 타겟 암종에 대하여 유효성 비임상 평가법(SOP) 구축 2건 이상 ◯ 면역 항암제(기존 바이오의약품 대상)의 3D 인체 모사 융합 플랫폼(면역 오가노이드, 혈관/림프/면역계가 집적된 생체 조직 칩, 또는 면역 오가노이드-온-칩) 기반 유효성 비임상 평가 모델 개발 2건 이상 ◯ (학문적 성과) JCR 분야별 상위 10% 이내 또는 mrnIF 90 이상 SCI(E) 논문 48편 이상 ◯ (기술적 성과) K-PEG A2 등급(상위 22.5%) 이상 특허 등록 4건 이상 □ 사업 추진의 필요성 ◯ (임상적 미충족 수요 증대) 혈액암에 대한 면역 항암제 성공으로 첨단 바이오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의 임상 시험 건수는 늘고 있으나 비임상-임상 상관 관계가 거의 없고 적합한 비임상 평가법도 없어 이에 대한 수요가 대단히 높음 - 비임상 시험에 사용되는 humanized mouse가 너무 고가 ※ Humanized'mouse' 1마리당' 200~400만'원 - 비임상-임상 시험의 과학적 증거 기반 상관 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어 글로벌 제약사들도 비임상 시험을 최소화하거나 아예 건너뛰려는 추세 ◯ (동물 실험 한계) 인체 세포, 단백질(항체), 펩타이드, 유전자 등을 직접 투여하는 첨단 바이오의약품 또는 바이오의약품 특성상 기존 동물 실험 중심의 비임상 시험 체계를 그대로 적용하기에 부적합 - 특히, 인체 내 면역 체계와 상호 작용을 통해 효능과 부작용이 발현되는 첨단 바이오의약품의 경우, 비임상과 임상 시험 간 유의성이 더 낮을 것으로 예상 - ’17 미국 기준 신약 1개당 개발 비용 평균은 약 3.5조 원($26억)이고, 이 평균 비용의 대부분은 최종적으로 승인에 실패한 약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으로 추정 ※ Tufts' Center' for' the' Study' of' Drug' Development’s' (CSDD)' regular' assessment' of' drug' development' costs ◯ (글로벌 규제 대응) EU, 미국 등에서 동물 실험 금지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대체 기술 개발을 통해 규제 변화에 선제 대응 필요 - (유럽) 화장품 동물 실험 금지(‘04) 및 판매 금지(’13) - (미국) 환경청(EPA)은 2035년까지 포유 동물 실험 중단 계획 발표(’19) ◯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 급성장) 환자 맞춤형으로 희귀·난치 질환 완치 등이 가능한 3세대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기대감으로 급격한 시장 성장 추세 - ’30 $2,980억 규모로 연평균 약 22% 성장 예상 - 글로벌 면역 항암제 시장 규모는 ’20 $746억으로, 연 평균 11.8% 성장하여 ’27에는 $1,595억에 이를것으로 전망 □ 정부 지원의 필요성 ◯ (전략 기술) 급성장 중인 첨단 바이오의약품의 비임상 시험 적합도를 높일 수 있는 핵심 융합 기술로서 국가 주도로 전략적 육성 필요 - 핵심 기술의 비중이 높아 글로벌 시장 선점 효과가 매우 크며, 국내 연구 활성화를 넘어 글로벌 기술 선도 가능 ※ 타' 국가와' 기술' 격차가' 크지' 않으며,' 모방' 전략이' 적합하지' 않은' 기술로' 뒤처질' 경우,'동물'자원의'종속화와'동일'상황'반복'예상 - 환자 맞춤형 종양 혈관 모델 구축 기술을 통해 환자 맞춤형 면역 항암제 개발 가속화 ◯ (장기적 연구 개발 투자 지원) 향후 많은 수요가 예상되는 분야이나, 당장은 수요가 적고 투자 결과의 성공 여부를 예측하기 어려워 민간 투자를 유도하기 어려운 상황 - 첨단바이오의약품 비임상평가법 개발 분야는 아직 연구 시작단계로 단기 수익성 보장되지 않아 선제적 개발이 필요한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민간 투자가 원활하지 않은 상황 - 환자 면역 체계에 맞춘 첨단 바이오의약품 산업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로서 국가 주도의 지원 필요 ※ 첨단재생바이오법' 제8조(산업진흥' 및' 연구개발' 촉진' 등)에' 따라' 재생의료' 산업의' 진흥을'위해'관련'산업'육성과'투자'확대에'노력하고,'신기술에'전략적'지원 □ 다부처 추진 타당성(기존 단일 부처 추진 대비 시너지 효과) ◯ Technology-to-bed bridge 생태계 구축 - ‘첨단 바이오의약품에 적합한 차세대 비임상 시험법’은 요소 기술들의 과학 기술 학문적 성숙도는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나, 최종적으로 임상 현장에 쓰이기 위해 ‘technology-to-bed bridge’ 생태계 구축, 국제 표준에 맞춘 규제 과학적 접근도 함께 고려되어야 하므로 다부처 협력이 필수 ※ ‘12~’22' 미국' Tissue' Chip' Project도' NIH를' 중심으로' FDA,' DARPA' 등' 다부처' 협력을'통해'학-연-병-산'공동'사업을'진행한'사례가'있음 - 차세대 비임상시험법 관련 원천기술의 개발·고도화-기술 실증(표준화·실용화)-시험법 마련 및 적용 검토 등의 체계적·연속적 지원을 위해 연구 개발 기획 및 사업 추진 시 다부처 협력이 필수 ◯ Technology-to-bed bridge 생태계 구축에 있어서 현재 3가지 공백 요소와 이를 매꿀 수 있는 주관/협력 부처 역할 ◯ 환자 맞춤형 첨단 바이오의약품 면역 항암제 개발 전주기에 활용 - 신약 개발 전주기(기초 연구-비임상-임상 시험-품목 허가-판매)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커버할 수 있는 영역들 사이 간극을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부처간 협력으로 매꾸는 것이 가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 연구부터 비임상 가장 초기 앞단까지 - 보건복지부: 기초 연구의 끝단부터 임상까지 - 식품의약품안전처: 비임상 중반부터 임상 시험 심사, 품목 허가까지 □ 사업 내용 ◯ 첨단 바이오의약품(면역 항암제)의 3D 인체 모사 융합 플랫폼 기반 유효성 비임상 평가법 구축 - 대상: 면역 항암제 중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반드시 포함* *바이오의약품과 병용까지는 허용 - 세부 목표: 3D 인체 모사 기술* 기반 유효성 평가법(SOP) 개발 *새로 개발하는 3D 인체 모사 융합 플랫폼 또는 현재 활용 가능 기술 - 무형 성과물 창출 ※ (무형' 성과물)' 3D' 인체' 암' 미세환경' 모사' 융합' 플랫폼' 기반' 면역' 항암제의' 유효성' 분석'기술 ※ (무형' 성과물)' 면역' 항암제' 종류에' 따른' 비임상' 평가' 기술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30000360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