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Dexmedetomidine에 의한 TRP 이온통로의 기능적 조절기전 연구를 통한 신경병증성 통증의 제어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4-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가천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 통증 전달 신경회로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관련 통증유전자 탐색(TRP 이온통로)을 통하여 관련 단백질을 발굴하고 이들의 통증정보 처리 망 내에서의 발현,분포 및 조절 과정을 규명하고 시험관 및 동물 통증모델에서 통증 관련 생체신호전달기전의 기능 평가ㆍ제어기술을 구축 ○ 말초 및 중추신경계 내 dexmedetomidine에 의한 TRP 이온통로의 억제성 신호기전을 바탕으로 dexmedetomidine의 적응증을 만성 통증 까지 확장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행동과학적 접근 (통증 모델의 개발) ▶ 신경병증성 통증모델의 개발 및 dexmedetomidine에 의한 통증 억제성 확인 ▶ 체성감각 염증성 통증모델의 개발 및 dexmedetomidine에 의한 통증 억제성 확인 (2) 만성통증 유발의 신호전달을 담당하는 통증감각신경세포 확인 ▶ 통증감각 신경세포 확인 (3) 통증감각 신경세포 내 mRNAs와 단백질의 발현 및 분포 확인 ▶ 통증신경세포 내 통증수용체인 TRP이온통로의 발현 및 분포 확인(mRNA 수준) ▶ 염증성/신경병증성 동물모델의 말초신경절 (DRG) 내 dexmedetomidie의 수용체인 a2-adrenoceptor 과 TRP이온통로들과의 동시발현 확인 (mRNA 수준) (4) 분자생물학적 및 전기생리학적 방법의 협력적 연구 시도 ▶ DiI-염색 통증감각 신경세포에서 통증 수용체 (TRPV1, TRPA1) 기능성 확인 (전기생리학적 기법) ▶ DiI-염색 통증감각 신경세포에서 dexmedetomidine에 의해 특이적으로 통증 TRP 이온통로의 기능적 억제 확인 (5) 척수 절편 내 시냅스 가소성 기작 연구 ▶ 통증신호전달로 내 신경병증성 작용의 중추 척수 절편 시냅스가소성 기전 연구 ▶ 척수 절편에 TRPV1의 작용제인 캡사이신의 처리를 통해 임의적 TRPV1 활성에 의한 중추 흥분성 시냅스 후 전류(sEPSC)에 대해 dexmedetomidine을 통한 억제성 연구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신경병증성 통증을 포함한 만성통증 진통제(소염, 마약성 진통제)들은 통증전달로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부작용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바, 보다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으며 강력한 진통제의 개발을 위해 새로운 개념의 진통제표적발굴이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를 통해 실질적 말초 및 중추 신경계 내 TRP 이온통로들의 기능적 제어를 통한 신경 병증성 통증 맞춤형 통증기전 신약 개발 가능성 제시 • 신경병증성 통증 질환과 관련한 의생명과학, 약학·약리학연구, 임상의학에 있어 dexmedetomidine에 의한 통증제어기술 관련 기초 의학적 이론 제공 및 임상학적 실제 신약개발 분야에 실질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신경병증성 통증의 특이적 타겟-생체신호 전달기전을 응용한 새로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고부가가치의 의료시잘 창출 •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 대한 제어기술을 국내기술로 해결하여 의료 및 건강관리 비용 절감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10000158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