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 통증 전달 신경회로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관련 통증유전자 탐색(TRP 이온통로)을 통하여 관련 단백질을 발굴하고 이들의 통증정보 처리 망 내에서의 발현,분포 및 조절 과정을 규명하고 시험관 및 동물 통증모델에서 통증 관련 생체신호전달기전의 기능 평가ㆍ제어기술을 구축 ○ 말초 및 중추신경계 내 dexmedetomidine에 의한 TRP 이온통로의 억제성 신호기전을 바탕으로 dexmedetomidine의 적응증을 만성 통증 까지 확장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행동과학적 접근 (통증 모델의 개발) ▶ 신경병증성 통증모델의 개발 및 dexmedetomidine에 의한 통증 억제성 확인 ▶ 체성감각 염증성 통증모델의 개발 및 dexmedetomidine에 의한 통증 억제성 확인 (2) 만성통증 유발의 신호전달을 담당하는 통증감각신경세포 확인 ▶ 통증감각 신경세포 확인 (3) 통증감각 신경세포 내 mRNAs와 단백질의 발현 및 분포 확인 ▶ 통증신경세포 내 통증수용체인 TRP이온통로의 발현 및 분포 확인(mRNA 수준) ▶ 염증성/신경병증성 동물모델의 말초신경절 (DRG) 내 dexmedetomidie의 수용체인 a2-adrenoceptor 과 TRP이온통로들과의 동시발현 확인 (mRNA 수준) (4) 분자생물학적 및 전기생리학적 방법의 협력적 연구 시도 ▶ DiI-염색 통증감각 신경세포에서 통증 수용체 (TRPV1, TRPA1) 기능성 확인 (전기생리학적 기법) ▶ DiI-염색 통증감각 신경세포에서 dexmedetomidine에 의해 특이적으로 통증 TRP 이온통로의 기능적 억제 확인 (5) 척수 절편 내 시냅스 가소성 기작 연구 ▶ 통증신호전달로 내 신경병증성 작용의 중추 척수 절편 시냅스가소성 기전 연구 ▶ 척수 절편에 TRPV1의 작용제인 캡사이신의 처리를 통해 임의적 TRPV1 활성에 의한 중추 흥분성 시냅스 후 전류(sEPSC)에 대해 dexmedetomidine을 통한 억제성 연구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신경병증성 통증을 포함한 만성통증 진통제(소염, 마약성 진통제)들은 통증전달로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부작용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바, 보다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으며 강력한 진통제의 개발을 위해 새로운 개념의 진통제표적발굴이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에서, 본 연구를 통해 실질적 말초 및 중추 신경계 내 TRP 이온통로들의 기능적 제어를 통한 신경 병증성 통증 맞춤형 통증기전 신약 개발 가능성 제시 • 신경병증성 통증 질환과 관련한 의생명과학, 약학·약리학연구, 임상의학에 있어 dexmedetomidine에 의한 통증제어기술 관련 기초 의학적 이론 제공 및 임상학적 실제 신약개발 분야에 실질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신경병증성 통증의 특이적 타겟-생체신호 전달기전을 응용한 새로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고부가가치의 의료시잘 창출 • 신경병증성 통증 환자에 대한 제어기술을 국내기술로 해결하여 의료 및 건강관리 비용 절감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