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과업의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UN해양법 발효와 함께 과거 수심측량 결과의 보정과 해도의 기준면 결정 등에 이용되는 조석기준면은 국가 해양영토의 공간적 크기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새롭게 조명되고 있으며, 2) 특히,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해양사고 급증에 따른 연안에 대한 취약성 지도의 보급, 전세계 해도의 통일된 기준 마련 등 국내·외에서 조석기준면(Tidal Datum Level)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분석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3)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조석기준면 결정 방법과 국제수로기구(IHO)의 새로운 방법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자료처리 체계를 수립하고, 국제기준의 적용에 따른 문제점을 검토하여 적용방안마련 및 장기 관측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조석기준면의 대한 재고찰 하며, 4) 국제수로기구(IHO) 산하의 조석 및 해수면 워킹그룹(Tidal & Water Level Working Gruop)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한 우리나라 역할 마련 및 조석 전문가 양성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주요과업의 내용 1) 조석 자료처리 체계 수립 ㅇ 조석 결측자료의 보완(간) 방법의 대한 연구 ㅇ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모델 및 모형 적용방안 ㅇ 준거타원체를 기준으로한 시간종속적인 조석, 조류, 해류의 신뢰성 있는 공간적 예보 방안 마련 ㅇ 장기 해수면 관측에 의한 측지학적 수준측량의 외적 검토 자료제공 2) 우리나라 조석기준면의 대한 재고찰 ㅇ 장기관측된(18.6년 이상) 조위관측소의 조석기준면, 조화상수 재산정 및 기존성과 비교분석을 위한 체계조사 ㅇ 국제 조석기준면(LAT, HAT)의 결정 방법과 우리나라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ㅇ 국제수로기구(IHO) 산하의 조석 및 해수면 작업그룹의 활동내역 분석 - 워킹그룹 참여의 역할(Role) 마련 및 조석 전문가 양성을 위한 방안마련 ㅇ 영국 등 해양 선진국의 조석 및 해양자료의 처리·분석·관리(영국 BODC의 Edserplo 개발자 초청활용) 및 공유체계에 대한 분석과 적용 가능성 파악 3) 한반도 해역의 공간적 조석DB 및 기준면 결정체계 수립 ㅇ 한반도주변해역(관할해역)의 MSSH(Mean Sea Surface Height)분포에 대한 연구와 도서기준면 이전방법에 대한 연구 ㅇ 한반도 해역의 특성에 맞는 전지구적 통합수직기준체계 제안 연구 ㅇ 해양공간정보의 연속적 자료표현에 대한 연구 및 동향 파악 4) 해양과 육상의 공간정보 연계방안 ㅇ 새로운 IHO 수직기준체계에 부응하기 위한 신 수로측량체계의 대한 연구 - 지구타원체와 각 해역의 평균해수면(MSL)간의 차이를 계산한 후에 조석 모델링을 통한 평균해수면과 각 수직기준면간의 차이를 계산 - TBM과 BM의 연관 관계 분석 기대효과 ㅇ 국제적인 동향 파악과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조석기준면의 수준을 국제 수준에 맞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 ㅇ 해양관측업무의 일관성 유지를 위한 체계적 관리 방안 마련 ㅇ 해양공간정보의 연속적 자료표현으로 다양한 분야의 활용 ㅇ 조석기준면, 조화상수 재산정 및 기존성과 비교분석통한 정확성 확보 ㅇ 조석 자료처리 체계 수립통한 무결측 데이터 확보 (출처 : 요약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