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신기후 체제하에서 농업분야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기술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국립농업과학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제1세부과제 > 본 연구는 토양 칼럼에 벼를 재배하면서 바이오차 팰렛처리에 따른 침출수 및 토양 중의 작물 양분 이동 동태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칼럼 실험을 위한 시험구 처리는 돈분퇴비처리구를 대조구, 100% 돈분퇴비 팰렛구, 바이오차 팰렛 그리고 완효성 비료 처리구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로서, 침출수 중의 NH<sub>4</sub>-N의 농도는 이양 후 35일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NO<sub>3</sub>-N의 농도는 이양 후 63-98일 사이에 가장 높게 관측되었다. 침출수 중의 돈분 팰렛 및 바이오차 팰렛 처리구에서 PO<sub>4</sub>-P의 농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침출수 중의 K의 함량이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보이지만, 완효성 비료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토양의 깊이별 NH<sub>4</sub>-N의 농도는 40-60cm사이가 가장 높게 났으며, 돈분팰렛 처리구를 제외하고 처리구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또한 토양 깊이가 깊을수록 NH<sub>4</sub>-N의 농도가 높게 관측되었다. 반면에 PO<sub>4</sub>-P의 농도는 완효성 비료 처리구를 제외하고 토양 깊이가 깊을수록 낮게 나타났다. 대조구에서 PO<sub>4</sub>-P의 농도가 가장 높았다. 토양중의 가리의 이동 패턴은 대조구와 돈분 퇴비 팰렛구, 그리고 바이오차 팰렛구와 완효성 비료 처리구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벼 재배시 바이오차 팰렛을 사용함으로써 식물 양분 이동에 의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다. 본 연구는 토마토 재배 시 바이오차 펠렛형 완효성 비료의 적정 시용량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토양의 질소 Balance를 보면 바이오차 펠렛 N 40% 처리구에서 80.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탄소 Balance는 N 50% 처리구에서 80.8%로 가장 큰 값을 보였다. P<sub>2</sub>O<sub>5</sub> 농도는 전체적으로 대조구에서 2.7 g kg<sup>-1</sup>으로 가장 큰 값을 보였고, 바이오차 펠렛 N 50% 처리구에서 1.5 g kg<sup>-1</sup>으로 나타났다. Mehlich Ⅲ 추출성 K 농도는 전체 생육 기간 동안 대조구에서 가장 큰 값을 보였고, 처리 10일 정점으로 토마토 재배 기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과실의 총 중량은 대조구와 바이오차 펠렛 N 50% 처리구 사이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공시 토양에서 토마토 재배 시 바이오차 펠렛 완효성 비료의 적정 시용량은 질소 기준 시비량의 절반인 N 50% 처리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밭에서 바이오차 펠렛 사용에 따른 옥수수 재배 시 바이오차 펠렛의 적정 시용비율을 구명하고, 탄소격리량을 산정하는 것이다. 바이오차 펠렛은 N 40%, N 40%(0.07M MgO), N 60%로 구분하여 처리하였으며, 대조구의 비료 시용량은 15.8-3.0-6.3 kg/10a<sup>-1</sup> (N-P-K)으로 처리하였다. 토양 중 NH<sub>4</sub>-N 및 NO<sub>3</sub>-N함량 변화에서 토양 중의 질소 함량은 대조구가 처리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P<sub>2</sub>O<sub>5</sub> 함량 변화에서 전 작기에 걸쳐 대조구가 처리구에 비해 높았지만, K<sub>2</sub>O의 함량은 정식 후 21일과 51일에 높게 나타났다. 유거수 중의 NH<sub>4</sub>-N 및 NO<sub>3</sub>-N 함량 변화는 대조구가 처리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관측이 되었으며, PO<sub>4</sub>-P 및 SiO<sub>2</sub> 함량 변화에서는 처리 간에 큰 차이(p>0.05)가 없었다. 바이오차 팰렛 처리에 따른 토양 탄소격리량에서는 대조구(60.4 kg 10a<sup>-1</sup>)와 N 40% (0.07M MgO)처리 구간에서는 유의차 (p<0.05)를 보이지 않았으며, 옥수수 바이오매스 생체중은 N 60% 바이오차 펠렛 처리구를 제외하고 대조구(1,123±130.0 kg 10a<sup>-1</sup>)에 비해 처리구 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므로 바이오차 펠렛 시용에 따른 옥수수 재배 시 질소 약 60%를 저감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벼 재배 시 바이오차 펠렛의 시용에 따른 논물과 토양에서 환경영향 평가를 수행하였다. 논 표면수의 질소 함량 변화는 처리와 관계없이, NH<sub>4</sub>-N 농도는 이앙 후 40일까지 그리고 NO<sub>3</sub>-N 농도는 이앙 후 15일까지 낮은 농도를 유지하였다. PO<sub>4</sub>-P 및 K의 농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바이오차 펠렛 처리구에서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토양 중에 NH<sub>4</sub>-N 농도는 벼 생육기 간이 지남에 따라 바이오차 펠렛 처리구의 농도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벼 생육에 필요한 암모늄태 질소성분이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잠재 토양 탄소격리량은 대조구에 비해 60% N(0.07M MgO) 처리구가 222 kg 10a<sup>-1</sup>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벼 정조 수량은 대조구의 650 kg 10a<sup>-1</sup>에 비해 질소 추천 시비량인 바이오차 펠렛 40% N 처리구와 60% N(0.07M MgO) 처리구 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벼 재배 시 개량한 바이오차 펠렛 가장 적절한 시용량은 60% N(0.07M MgO)로 나타났으며, 바이오차 펠렛 시용은 기후변화 대응 탄소격리뿐만 아니라 논 표면수 및 토양에서의 환경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완효성 비료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벼 재배기간 동안 처리 간의 토양 탄소격리량은 PBCF 50%과 PBPFN 50%사이에는 유의차 (p<0.01)를 보이지 않았으며, SRFN 50%이 62.4 tonnes ha<sup>-1</sup>로 가장 낮게 산정되었다. 누적 CH<sub>4</sub> 발생량은 PBPCF 50%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누적 N<sub>2</sub>O 발생량은 PBPFN 50%에서 가장 낮았다. CO<sub>2</sub>–equi. 발생량은 PBPCF 50% 처리구에서 7.1 tonne ha<sup>-1</sup>로 가장 낮게 산정되었다. 처리 간에 벼 생육 반응에서 SRFN 50% 처리구에서 가장 좋게 나타났으며, 특히 조곡 수량은 바이오차 팰렛 완효성 비료 처리구 보다 10a당 105kg 증수되었다. < 제2세부과제 > 농경지 N<sub>2</sub>O 측정하는 방법으로 챔버법을 가장 많이 이용하여 측정해 왔다. 지면에 상하부가 개방된 원형 또는 사각형 틀을 토양 표면에 고정한 후 상부에 캡 형태의 뚜껑을 결착하여 지면과 캡 사이를 밀폐 상태로 만든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농도의 상승률을 측정하여 단위면적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계산하는 과정이다. 가격이 저렴하고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면서도 비교적 높은 정밀도 측정이 가능하기 떄문에 지난 30년간 온실가스 측정연구의 95% 이상이 챔버법을 통해 N<sub>2</sub>O 분석을 하고 있으며,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었다. 밀페되어 있는 챔버 내부의 압력이 불안정하고 온도나 수분의 조건이 주변 환경과 다르고 강우 등 기상 환경에 의한 영향평가를 할 수 없으며, 주로 맑은 날 주간에 측정이 집중됨에 따라 주간의 측정결과에서는 과소평가 이루어진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자동으로 온실가스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각 방법별 비교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을배추 재배기간 동안 감축기술로써 바이오차를 적용한 이후 N<sub>2</sub>O 배출특성을 매뉴얼 챔버법과 자동 분석법을 활용하여 비교평가를 하였다. 매뉴얼 챔버법을 활용하였을 때, N<sub>2</sub>O는 비료 투입 직후 최대 배출을 나타냈다. 재배기간 동안 누적 N<sub>2</sub>O 배출량은 대조구와 바이오차 투입 처리구에서 각각 499.3, 159.1 mg/m<sup>2</sup>이였고, 바이오차 투입함에 따라 N<sub>2</sub>O 배출은 68.1% 저감되었다. 자동 분석을 활용하였을 때, N<sub>2</sub>O 배출은 비료 투입 2주 이내 최대 배출을 나타냈다. 재배기간 동안 누적 N<sub>2</sub>O 배출량은 대조구와 바이오차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10001007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