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고령농어업 소외·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모니터링 및 예방관리 모델 개발· 적용 공동기획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세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사업목표 및 추진전략] ◦ (사업목표) 고령* 농어업인*의 소외/우울/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배제 요소를 파악, 모니터링하고,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모델/기술을 개발하여 시범 적용 후 확산 인프라 조성 ※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시행령」제2조(고령자 및 준고령자의 정의)에 의하면 고령자는 55세 이상인사람, 준고령자는 50세이상 55세 미만인사람으로 본 사업대상연령은 55세 이상임 ※ 농어업인이란 「농업ㆍ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제3조제2호에 따른 농업인과 농촌 주민 및「수산업ㆍ어촌 발전 기본법」제3조제3호에 따른 어업인과 어촌주민을 말함. 대상 인구수는 약 1899천명(2016 농림어업조사) 이내로 추정 [사업 추진 전략] ◦ (1단계) 원인규명을 위한 자료수집 및 다부처 공동운영 플랫폼 구축 ◦ (2단계) 위험군 분류에 따른 서비스모델 개발 및 제도적 지원방안 마련 [전체 사업범위] ◦ (실태파악/원인규명) 고령 농어업인의 소외·우울·자살 등 사회적 배제 실태 파악 및 원인 규명을 위한 코호트 구축 ◦ (빅데이터분석/심리부검) 고령 농어업인의 전국민 자료를 활용한 우울 및 자살에 대한 원인분석 및 심리부검적 방법을 기반으로한 자살사망자에 대한 전수 조사 ◦ (요소기술/개선연구) 고령 농어업인 노동여건, 신체적․정신적 제한,지리적·사회적 소외 및 스트레스 등 원인에 따른 개선방안 도출 및 위험관리 요소기술 개발, 현장적용 실증 ◦ (스마트기술 적용/인프라구축) 스마트기술, 빅데이터, 딥러닝 등을 통한 개입 모델 개발 및 효과 검증, 시범적용 및 서비스 전달체계 마련 등 ◦ (안전/보건지원 확대) 고령 농어업인의 안전보건 지원 확대 ◦ (법/제도 개선방안) 농어업인의 사회적 배제로부터 벗어나 일과 생활이 균형을 이루는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도록 법과 제도적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선함으로써 농어업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복지수준을 제고 [부처별 사업내용] □ (농촌진흥청) 고령농 어업인의 소외/우울유발 노동·사회환경조사분석 및 예방기술개발·현장실증 ◦ (세부과제 1) 고령 농어업인 장기변화 모니터링을 위한 코호트 구축 운영 및 대조군 연구 - 고령 농어업인의 소외, 우울 및 자살 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규명을 위한 코호트 구축 - 고령 농어업인의 소외, 우울 및 자살 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및 결과변수 조사 - 고령 농어업인 대상 사회관계망 조사 및 분석 - 코호트 분석을 통한 분석체계 마련 - 코호트 추적조사를 통한 각 결과지표의 발생률 산출 및 기여 위험도 산출 ◦ (세부과제 2) 고령 농어가 노동(농약포함)․생활안전 관리체계 구축 적용 - 농어가의 농약 등 위험물질 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농어업인의 직무 스트레스 확인 및 원인별 완화 프로그램 연구 - 농어촌 생활안전 사각지대 발굴 및 위험관리 활동 지원 연구 - 농어가 고령자 노동실태 및 마을 인적자원 활용 통합 지원 방안 연구 - 일하는 고령농업인의 건강노동·안전생활 지원을 위한 지역 전달자 육성·활용 방안 ◦ (세부과제 3) 고령 농어업인 우울‧자살의 사회적 배제 영향력 분석 및 요인별 개선 기술 개발 - 고령 농어업인 자살‧우울의 정책적 배제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 고령 농어업인 자살‧우울의 경제적 배제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 고령 농어업인 자살‧우울의 사회적 배제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 고령 농어업인 자살‧우울 대응 건강적 배제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 고령 농어업인 자살‧우울의 관계적 배제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 (세부과제 4) 농촌지역 고령자의 대상군별 소외/우울 개선 서비스 개발 및 효과 검증 연구 - 농촌노인의 소외/우울 개선을 위한 커뮤니티 수준 서비스 개발 - 건강 취약군 노인의 소외/우울 개선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거주 유형 취약군 노인의 소외/우울 개선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연령별 취약군 노인의 소외/우울 개선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세부과제 5) 고령 농업인 우울/자살에 대한 인문사회적 이해 및 제도개선 연구 - 농어촌 사회적 배제 문제 해결방안으로서 농어촌공동체의 재구성 연구 - 농어촌공동체 구성의 역사적 배경과 소외현황에 대한 연구 - 고령 농어업인 사회적 배제문제 해결방안으로서 농어촌 한계마을 극복 방안 연구 - 고령 농어업인 사회적 배제 극복을 위한 법과 제도의 신설 및 정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 기반의 고령 농‧어업인 소외‧우울 예방 관리 및 삶의 질 도모 ◦ (세부과제 1) 건강관리 데이터 표준화 추진 - 고령 농어업인 건강관리 데이터 표준화(항목, 유형, 용어 등) - 다부처 데이터 통합관리 및 빅데이터 구축 - 고령 농어업인 개인정보 보안 및 비식별화 ◦ (세부과제 2) 개방형 MAPHIS 플랫폼 고도화 - 개방형 국제 표준 플랫폼 고도화 및 운영 - 다부처 연계를 통한 상호운용성 확보 - Cloud Platform 환경 구축 - 정신건강분야 인공지능 기술 개발 및 적용 ◦ (세부과제 3) 빅데이터기반 인공지능 우울·자살예측모델 개발 및 서비스 적용 - 우울·자살예측 모델 설계를 위한 다부처 요구사항 분석 - 인공지능기반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설계 및 개발 - 적응형 및 지식추론기반 예측 알고리즘 개발 및 고도화 - 고령 농어업인과의 대화를 통한 음성분석기술 개발 - 우울·자살예측 모델의 서비스 적용 및 성능 검증 ◦ (세부과제 4) 정신건강관리 서비스 개발 및 실증 - 인공지능 기반의 정신건강 서비스 개발 및 실증 - 정신건강관리 콘텐츠 개발 및 제공 - 정신건강관리 가이드 개발 및 배포 □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데이터 및 경찰수사기록을 토대로한 고령 농어업인 자살사망자 특성 분석 및 자살유가족지원 ◦ (세부과제 1) 전국 조사를 위한 통계 및 데이터 처리 시스템 구축 - 전국 조사를 위한 코딩항목 점검 - 전국 조사를 위한 코딩북 만들기 - 코딩항목을 토대로 eCRF 구성 ◦ (세부과제 2) 경찰청 협조 네트워크 구축 - 전국 조사를 위한 경찰청의 업무 협조가 필요 - 전국 조사 시작 전 각 광역별 경찰청과의 자문회의가 필요 ◦ (세부과제 3) 연구 조사원 선발 및 교육 후 조사진행 - 연구 조사원 선발: 중앙심리부검센터 주도 하에 선발 - 연구 조사원 교육: 중앙심리부검센터 주도 하에 조사 코딩 항목에 대한 연구 조사원 교육 실시 - 연구 조사원들의 조사 진행: 광역별, 팀별 경찰청 조사 시작 ◦ (세부과제 4) 자료 정리 및 취합, 데이터 관리 및 결과 분석 - 전산화된 자료의 정리 및 취합, 지속적인 데이터 관리결과를 토대로 통계분석 실시 ◦ (세부과제 5) 경찰수사기록 조사 자료와 국민건강보험데이터 매칭 - 경찰수사기록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고령 농, 어업인 자살사망자의 신체질환이나 정신질환 및 약물복약에 대한 정보를 매칭 - 고령 농, 어업인 자살사망자 특성을 토대로 연구 진행 ◦ (세부과제 6) 고령 농, 어업인 자살 유가족 사례 관리를 토대로 자살예방 모델 개발 - 고령 농, 어업인 자살 유가족의 발생 시 유가족 통합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및 프로세싱 모델 개발 □ (농림수산식품부/해양수산부) 농업/어업안전보건센터 기반 고위험군 추적관찰 및 예방관리 ◦ 기존 농업/어업안전보건센터 코호트 참여 농/어업인에 대한 정신적 스트레스, 우울, 소외 등에 대한 추적 조사를 통한 데이터 축적 ◦ ICT 등 첨단과학기술을 활용하여 선정된 소외/우울과 자살 위험군(또는 마을/어촌계)에 대한 방문 검증과 추적 조사 (필요 시 대조군을 선정하여 예측 알고리즘의 검증 ) ◦ 예방 시범 서비스 검증 단위 역할 수행 (기 개발 또는 개발 예정인 개인별 wearable기기 및 마을회관 등 공동이용 시설에 모니터링 기기설치 운영 및 효과 검증 [사업기간 및 소요예산] ◦ 전체 사업기간 및 소요예산: 5개년(`19년~`23년), 450억원 ◦ 농촌진흥청 : 5개년(`19년~`23년), 175억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5개년(`19년~`23년), 124억원 ◦ 보건복지부 : 5개년(`19년~`23년), 50억원 ◦ 농림축산식품부 : 5개년(`19년~`23년), 65억원 ◦ 해양수산부 : 5개년(`19년~`23년), 36억원 ( 출처: 요약본 5p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2329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