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사업의 필요성 - 폐암은 사망률 1위인 암종으로 다른 암종에 비해 생존율이 낮아 조기발견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함 · 폐암은 연간 24,027명이 발생하고, 17,399명이 사망하여 전체 암 사망의 22.6%를 차지 - 2015년 9월 국립암센터 주관으로 다학제 전문가들로 구성된 암검진 권고안 재개정 위원회에서 근거중심 평가 방법론으로 개발한 '7대암검진 권고안'에서 55-74세의 30갑년이상의 고위험 흡연군에서 매년 저선량 흉부 CT를 이용한 폐암 검진을 권고함 - 2016년 담뱃세가 인상된 상황에서 장기 흡연자들의 폐암 사망률 감소를 위한 국내 폐암검진 도입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2017년 폐암검진 시범사업」을 수행하기 위함 기획 및 프로토콜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 ◦ 사업의 목적 - 장기 흡연자 대상 폐암 검진 프로그램 도입을 위한 대상자 선정 및 필요한 준비사항을 검토하고, 폐암 검진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시범사업을 기획하고,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다기관 폐검지 시범사업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함 ◦ 사업의 내용 및 수행방법 - 다학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4개 분과 연구팀 구성 · 문헌고찰 수행, 관련 전문가 의견 광범위하게 수렴 ※ 4개팀 구성 ① 폐암 검진 시범사업 프로토콜 개발팀 ② 폐암 검진 진단 기준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팀 ③ 폐암 검진 대상자 위험평가 모델개발팀 ④ 폐암 검진 시범사업 평가팀 - 폐암 검진의 효과와 문제점을 평가할 시범사업 기획 · 시범사업 목적과 대상자 결정 · 검진 대상자 선정 및 모집 방법 정리 · 폐암 검진 시범사업 운영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 마련 · 검진 결과 보고 양식 개발 · 금연 지원 서비스와의 연계 방안 마련 · 검진 결과 및 금연 상담을 위한 프로토콜 개발 - 윤리적 문제 검토 · 시범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 검토 · 시범사업 참가자를 위한 안내서 및 동의서 개발 · 시범사업 계획에 대한 기관윤리위원회 승인 - 폐암 검진 대상 선정을 위한 위험도 평가 · 흡연력에 추가적인 폐암발생 위험요인 분석 · 폐암발생 위험 평가 모델 개발을 통한 폐암검진 대상장 선정 방안 마련 - 시범사업 대상자 규모와 소요 예산 추산 - 검사 질의 확보 방안 및 표준화된 판독 결과 보고 양식 마련 · 관련 연구 연계 및 영상의학 전문의 그룹과 협력을 통해 마련 · 표준화된 폐암 검진 판독 기준 마련 · 폐암 검진 판독 지원 및 질 관리를 위한 전산 프로그램 기획 ·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마련 - 사전조사(pilot test)를 통한 프로토콜 수정 보완 · 4개 이상 의료기관 참여 (수도권 및 지방 도시 병원 포함) · 개발된 시범사업 프로토콜 검토 및 보완 ◦ 주요 연구 결과 - 폐암 검진 시범사업 시 활용할 매뉴얼 개발 · 표준화된 폐암 검진 대상자 선정 방안 마련 ① 나이와 흡연력을 기반으로 한 대상자 선정 ② 폐암 발생 위험 예측 모델을 적용한 대상자 선정 방법 검토 · 2가지의 경로로 표준화된 폐암 검진 대상자 모집 및 수행 절차 마련 ① 국가검진수검자 대상 ② 금연클리닉 방문자 대상 · 폐암 검진 대상자 선정을 위한 문진표 및 보고양식 개발 · 폐암 검진 시범사업 안내 및 동의서 개발 : 기관윤리위원회승인 완료 · 표준화된 폐암 검진 판독 기준 및 사후 관리 방안 마련 ① Lung-RADs system을 이용한 판독 표준화 ② Lung-RADs 등급에 따른 표준화된 사후관리 기준 제시 ③ 표준화된 폐암 검진 결과 보고 프로토콜 제시 ④ 폐암 검진에서 발견된 이상소견자에 대한 의무기록 조사 양식 개발 · 흡연자에 대한 폐암 검진 후 금연 치료 연계 방안 마련 - 폐암 발생 위험 평가 모델 개발 및 적용 방안 마련 · 폐암 발생 위험 평가 모델 방안 및 데이터 구축 · 폐암 발생 위험 평가 모델을 이용한 대상자 선정 및 적용 방안 마련 - 폐암 검진 시범사업 결과 평가 방안 마련 · 18개 주요 성과 지표 평가 제시 ① 폐암검진의 위해 평가 : 위양성률, 확진검사 과정에서의 부작용 발생률 등 ② 폐암검진의 효과 평가 : 조기암발견율 등 · 설문조사 기반 폐암검진 참여 순응도 및 만족도 평가 ① 폐암검진 결과 통보 전: 검사 설명에 대한 이해도, 검사 과정에 대한 이해도, 검사 만족도 등 ② 폐암검진 결과 통보 후: 폐암검진 결과 이해도, 금연의지 변화 등 · 폐암검진 수행 가능성 평가 ① 시범사업 참여 전문 인력을 대상으로 프로토콜 수행가능성에 대한 평가 - 총 4개 의료기관에서 폐암검진 프로토콜 적용 및 검토를 위한 Pilot test 시행 · 4개 참여기관의 국가암검진센터 방문자 중 55세-74세 수검자수는 총 7,069명 이었으며 이중 30갑년 이상의 고위험 흡연자는 681명(9.62%)였음. · 고위험 흡연자중 281명(41.26%)가 제외대상자였으며, 검진거부자는 148명(21.73%)이었음. · 최종적으로 폐암 검진에 참여한 인원은 246명으로 36.12%였음 · 4개 기관의 폐암 검진 pilot test결과 정상범주인 Lung-RADs 1등급과 2등급은 총 225명(90.77%) 였으며, 이상 범주인Lung-RADs 3등급과 4등급은 총 21명(8.19%) 였음 ◦ 결론 - 폐암 검진 pilot test에서 매뉴얼에 따른 프로토콜 적용은 가능하였고, 수검자들의 만족도도 높았음 - 표준화된 폐암검진 판정 기준에서 양성판정자(이상소견자)는 8.2% 정도로 미국 연구에 비해 낮아 위양성률을 상당히 낮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참여 기관 진행 상황 모니터링하고, 검진의 질관리를 시행하기 어려워 향후 시범사업에서는 전산시스템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결과 보고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됨 ( 출처 : 요약문 7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