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분석자 서문 알츠하이머병 (Alzheimer rsquo;s disease)은 치매 (Dementia)의 가장 흔한 형태로서 고령화가 진행되는 선진국에서 가장 큰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본 분석에서는 현재까지 연구된 알츠하이머병의 역학적, 유전학적, 병리학적 관점을 살펴보고, 현재의 치료과정에 대해 요약하였다. 또한 전임상 단계에서 알츠하이머병의 발병과 관련한 이해를 바탕으로 발병 전 예방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치료 계획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한다. 2. 목차 1. 서론 2. 역학적 측면 (Epidemiology) 3. 병인적 측면 (Aetiology) 4. 병리학적 측면 5. 발병 기전 6. 임상 특징들 6.1. 진단 기준 7. 중요한 다른 진단들 8. 알츠하이머병 진단법 9. 치료 및 관리 10. 앞으로의 전망 11. 국내외 정책동향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차원에서 치매를 극복하고자, 2017년부터 치매국가책임제 정책을 실시하고 예산을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 연구 개발측면에서 2017년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가 발족하여 여러 기초연구분야, 임상분야 전문가들이 협업하는 시스템이 만들어졌다. 원인 규명과 예방, 혁신형 진단, 맞춤형 치료, 체감형 돌봄 등 4개 분과위원회로 구성되어 단기적으로는 치매 환자와 가족의 부담을 덜기 위한 돌봄 기술 개발과 치매 발병을 줄이기 위한 예방에 초점을 맞추고 중장기적으로는 혈액검사 등을 통한 조기진단과 원인 규명을 통한 치료제 개발 등 치매의 근본적 해결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미국의 경우 연방정부 차원에서 치매 관련 법률이 제정되고 관련 연구개발에 대해 중점적인 지원이 이뤄져왔다. 1992년 알츠하이머 질병 및 관련 치매연구법, 2011년 국가 알츠하이머 프로젝트법, 2014년 알츠하이머 책임법을 제정하여 적극적으로 연구 지원을 해왔으며, 연구비 수준도 2012년 15,600만 달러에서 2015년 알츠하이머 연구비로만 2,500만 달러를 추가로 배정하고, 2016년에 다시 5,000만 달러를 추가로 투자하였다. 프랑스의 경우 국립과학연구소, 국립보건의학연구소, 국립농학연구소, 국립전산 자동화연구소, 국립연구청 등 국내 대형연구기관들과 연구대학에 대한 정부지원으로 매년 약 4억 5천만 유로를 지원하는 것을 정책으로 명시하였다. 영국의 경우 런던에서 개최되었던 치매연구 정상회의에서 치매관련 연구개발에 2015년에 6,600만 파운드의 예산 투입을 발표하였고, 향후 5년간 치매를 비롯한 뇌질환 연구에 1억 파운드 투자 계획을 발표하였다. 세계보건기구인 WHO에서는 장관급 회의를 열고, 치매에 대한 보건 및 사회복지를 위해 각 국가에서 책정되는 치매관리비용 중 약 1 #37;를 치매극복 연구비로 투자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References 1. Lane CA, Hardy J, Schott JM. Alzheimer #39;s disease. Eur J Neurol. 2018 Jan;25(1):59-70. 2. Prince M, Albanese E, Guerchet M, et al. World Alzheimer Report 2014: Dementia and Risk Reduction an Analysis of Protective and Modifiable Factors, 2014. 3. Office of National Statistics. Deaths Registered in England and Wales, 2016; 1?15. 4. Wu Y-T, Fratiglioni L, Matthews FE, et al. Dementia in western Europe: epidemiological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policy making. Lancet Neurol 2016; 15: 116?124. 5. Verghese PB, Castellano JM, Holtzman DM. Apolipoprotein E in Alzheimer rsquo;s disease and other neurological disorders. Lancet Neurol 2011; 10: 241?252. 6. Karch CM, Goate AM. Alzheimer rsquo;s disease risk genes and mechanisms of disease pathogenesis. Biol Psychiatry 2015; 77: 43?51. 7. Schneider JA, Arvanitakis Z, Leurgans SE, Bennett DA. The neuropathology of probable Alzheimer disease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nn Neurol 2009; 66: 200?208. 8. James BD, Wilson RS, Boyle PA, Trojanowski JQ, Bennett DA, Schneider JA. TDP-43 stage, mixed pathologies, and clinical Alzheimer rsquo;s-type dementia. Brain 2016; 139: 2983?2993. 9. Selkoe DJ, Hardy J. The amyloid hypothesis of Alzheimer rsquo;s disease at 25 years. EMBO Mol Med 2016; 8: 595?608. 10. Jack CR, Knopman DS, Jagust WJ, et al. Hypothetical model of dynamic biomarkers of the Alzheimer rsquo;s pathological cascade. Lancet Neurol 2010; 9: 119?128. ※ 이 자료의 분석은 University of Cambridge의 박소정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