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살아있는 세포에서 세포막 단백질 회전을 관찰하기 위한 단일 분자수준의 플라즈모닉 나노각도기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연구책임자 서대하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본 연구는 살아있는 세포를 이용, 세포막 단백질(membrane protein)의 분산(diffusion) 및 회전운동을 단 분자 수준으로 (single molecule level) 실시간(real-time) 관찰하고, 나아가 단백질이 활성화 될 때나타나는 이합체(dimer) 또는 다량체(multimer)로의 형태 변화시, 병진·회전 운동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단백질의 활성화 매카니즘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이용해 몇 가지 대표적인 세포막 단백질 (e.g. EGFR, Trk)을 살아있는 세포에서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특히 활성화 단계에서의 병진·회전 운동의 변화를 최초로 관찰, 그 물리 화학적 의미와 함께, 단백질의 변이와 질병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당초 연구 목표의 실현을 위해 실현하기 위한 이미징 탐침(imaging probe)은, i) 광학적-탈색 (photo-bleaching)이나 깜빡임 (photo-blinking)이 없이 광학 안정도가 확보되어야하고, ii) 단일 기능기를 가져서(mono-functionalized) 주변 단백질과의 1:1 화학양론을 따라 기능화되어야한다. 또한 iii) 전·자기장의 편광방향에 의존하는 탐침을 구현해서 그 방향성 (orientation)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광학적으로 안정한 금 나노입자를 이용해 탐침 물질을 합성하고자 하며, 2. 프아송 분포를 극복할 수 있는 표면화학을 이용해 세포막 단백질을 기능화하고자 한다. 동시에 3. 비대칭성(asymmetric) 금 나노입자를 전략적으로 구현해서 4. 편광 방향에 의존하는 암시야 현미경 개발을 계획하였다. 3 년간의 연구를 통해 (2017.03 – 2020.02), 살아있는 세포에서 EGFR의 측면 분산 및 회전 운동을 단분자 수준으로, 실시간 관찰함으로써 세포가 외부 환경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단백질이 활성화될 때 나타나는 분자수준의 현상을 관찰, 이해하였다. 1-3. 프아송 분포를 극복하기위해 금 나노입자의 표면화학 및 DNA origami를 이용, 비대칭(선형) 탐침 및 4. 편광 암시야 현미경을 개발하였으며, 5. 살아있는 세포에서 단일 단백질 (EGFR,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의 측면 및 회전 분산을 실시간 관찰, 이를 통해 이합체(dimer)로의 변화와 구조적 형태 변화(단백질-지질 인력에 의한)의 동시 해석이 가능하였다. (출판 논문 : Nat. Protoc. 2017, J. Am. Chem. Soc. 2018, Angew. Chem. Int. Ed. 2019)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세포막 단백질의 동적 연구, 또는 나노막대 (nanorod)를 이용한 입자의 방향성 측정 등은 일부 이루어 진 바 있으나, 표면 기능화, 표면화학 등의 제안 때문에 실제 살아있는 세포 표면에서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유·무기 합성 화학을 이용,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생명 현상을 해석하는 융·복합 성격의 연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하고자 하는 물리량은 아직 연구된 바 없어 독창성 및 선도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본 연구자의 예비 실험 및 이전 연구에서의 합성·표면화학 기술은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원천 기술로 사용될 수 있어 실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향후 많은 생물학 및 생물리학 분야의 연구에 좋은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기반기술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나아가 단백질 활성 메커니즘 규명, 약품개발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어 의약 산업 및 질병 치료에 기반기술이 될 수 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415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