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우주생명현상 탐색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책임자 김민선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 개발 목표 및 내용 최종목표 본 과제는 “지구 바깥의 우주에 생명체가 존재하는가?”라는 질문 에 답하기 위한 선행기획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행기획연구의 목표 는 국내에서는 아직 미개척인 본 연구 분야의 시작 및 방향성 제시를 위하여 기존 연구의 심층 리뷰 수행 및 리뷰를 바탕으로 주요 연구 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전체 내용 우주생명현상 탐색 연구 분야를 탐색 도구(거주가능성, 생명징후, 기술문명징후), 대상 천체 (태양계 천체, 성간 천체, 외계행성), 분석 도구(빅데이터, 인공지능)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심층 리뷰를 수행했다. 심층 리뷰 및 내부 검증 단계를 거쳐 태양계 내의 생명 탐사, 항성/은하/우주의 거주가능성, 성간 천체의 생명현상 탐사, 전파 대역의 기술문명징후 등 4개 분야에서 주요 연구 주제를 도출하였고, 중장기 전망을 제시했다. 이 중 항성/은하/우주의 거주 가능성 분야를 제외한 3개 분야의 장기 전망은 우주탐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연구개발성과 심충 리뷰 (1) 동적 거주가능성의 연구 및 행성, 은하, 우주의 거주가능성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 생명징후의 정의 및 신뢰도 연구, 원격, 직접(화성 착륙 및 금성 대기), 샘플 리턴(Hayabusa 2 및 OSIRIS-REx 등)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차세대 임무들도 계획 중이다. (3) 기술문명징후 탐사는 전파, 적외선, 광학 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Breakthrough Listen 등이 수행 중이다. (4) 태양계의 생명 탐사는 원격 및 직접 탐사가 수행되고 있으며, 앞으로 얼음과 바다로 덮인 행성의 위성이 주목할 연구 대상이다. (5) 최초의 성간 천체 오우무아무아의 성질과 기원에 연구, 앞으로 발견될 성간 천체에 대한 직접 탐사 제안 등이 시작되었다. (6) Kepler 등을 통해 ~4,500개의 외계행성이 발견되었으며, GMT/TMT, JWST, HabEx와 LUVOIR 등을 통한 외계행성 대기의 분광 및 직접 관측 연구를 준비하고 있다. (7) 천문 관측자료의 비약적 증가로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였고, 기계학습 등 인공지능을 적용한 연구 방법이 생명징후 모델링, 외계행성 탐색, 기술문명징후 검출 등의 다양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주요 연구 주제 도출 (1) 태양계의 생명현상 탐색을 위한 극지 실험실과 행성의 위성 탐사 가능성 (2) 항성 및 은하와 우주의 거주가능성에 대한 관측 및 이론 연구 가능성 (3) 성간 천제의 관측 및 이론 연구, 새로운 발견 방법 및 수행, 직접 탐사 가능성 (4)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SKA, 달뒷면의 기술문명 징 후 탐색 가능성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1) 본격적 연구 시작 및 도약을 위해 다음 단계의 연구 과제화 준비 (2) 국내 다학제간 연구자 그룹과의 네트워크 설정 및 교류 기대 (3) 국외 전문가 그룹과 공동 연구 기대 (5) 국내 학문 후속세대의 미래 도전 연구 분야 인식의 확장 기대 (6) 심우주 탐사 수반으로 인한 학계 및 산업계 등 긍정적 파급 효과 기대 (7) 우주생명현상 탐색의 중요성 인식 확산을 통한 대국민 과학 문화 파급 효과 기대 (출처 : 요약문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0477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