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고서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지역농산물 활용 신선 간편식 개발 및 기반기술 개발(지역 II)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단국대학교
연구책임자 신영재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 충남 및 천안 지역 고부가가치 특화작물과 지역농산물을 활용한 신선 간편식 개발 및 기반기술 개발 ○ 충남 및 천안 지역 신선 간편식 식재료 선발 및 해당 식재료의 재배현황 조사 ○ 신선 간편식 식재료 특화작물 및 지역농산물에 대한 품질특성 분석법 확립 ○ 신선 간편식 식재료 특화작물 및 지역농산물에 대한 전주기적 물리적, 화학적 성분변화 구명 ○ 식재료 적합 품질특성 인자와 수확기간의 관련인자 구명 ○ 용도 별 반가공 식재료 전처리 적정 가공 방법 설정 ○ 식재료 원물특성 유지를 위한 가공기술 개발 ○ 지역별 신선 간편식 식재료 블랜딩 조건 설정 ○ 충남 농산물종합가공센터 설비 적합 식재료 선별 ○ 시제품 개발 전 제품에 대한 수요와 시장조사 ○ 지역특색 반영 신선 간편식 제품 컨셉 개발 ○ 지역농산물 주요 식재료 품질관리를 위한 전처리 기술 개발 ○ 전체 내용 ■ 주관(제1공동)연구과제(단국대학교/신영재) ○ 신선 간편식용 지역농산물 및 특화작물의 일반품질 및 기능성 성분 분석 - 신선 간편식용 지역농산물 및 특화작물의 전주기적 물리적, 화학적 성분 변화 구명 - 식재료 적합 품질특성 인자와 수확기간의 관련인자 구명 - 품질특성 최적 수확기 확립 및 수확처리 기술 개발 ■ 제2공동연구과제(단국대학교/김상순) ○ 신선 간편식용 충남 농산물의 향미 품질 영향 인자 구명 - 신선 간편식 식재료 특화작물 및 지역농산물에 대한 전주기적 향미 특성 분석 - 신선 간편식 식재료 특화작물 및 지역농산물 수확 시기와 향미 특성, 품질 특성 간의 관련 인자 구명 및 최적 수확기 확립 ■ 제3공동연구과제(공주대학교/김학연) ○ 용도 맞춤형 반가공 재료 제조 기술 개발 - 용도별 식재료 적합 가공 기술 선정 - 식재료 원물특성 유지를 위한 가공 기술 개발 - 규모 생산을 위한 가공기술 조건 설정 ○ 신선 간편식 제품화 기술 개발 - 지역특색 반영 간편식 제품 컨셉 개발 - 간편식 메뉴 구성 및 소비상황별 품질 특성 평가 - 간편식 메뉴 적합 환경친화적 포장법 및 유통기한 설정 ■ 제4공동연구과제((주)에스에프씨바이오/김철진) ○ 충남 및 천안 지역 신선 간편식 식재료 선발, 계약재배를 통한 재배 및 해당 식재료의 재배현황 조사, DB 구축 - 기능성 고부가가치 특화작물 2종인 차조기 안티스페릴 및 라이코펜고함유 수박 선발 및 계약재배를 통한 재배 수행 및 현황 조사 -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경영체 등록정보 조회 서비스 조사를 통한 수박 및 천안 지역농산물 재배 현황 조사 ○ 식재료 적합 품질특성 인자와 수확기간의 관련인자 구명 - 차조기 지표성분 분석을 바탕으로 최적의 수확기 확립 - 수박으로부터 lycopene의 전주기적 물리화학적 성분의 변화 구명 ○ 식재료 원물특성 유지를 위한 가공기술 개발 - 차조기 안티스페릴과 라이코펜 고함유 수박의 식자재의 품질 특성과 원물 유지를 위해 각 재료의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적정 가공 방법 비교 및 최적의 조건 확립 ○ 농산물종합가공센터 또는 소규모 농가공 설비 적합 식재료 활용 및 공정 최적화 - 충남 천안 농업기술센터에서 공정의 최적화 및 공정단계 확립을 위한 장비 활용 ○ 신선 간편식 식재료 위생 생산 공정 개발 - 소규모 농가공 설비에서의 간편 식재료 위생 생산 공정 개발 ○ 신선 간편식 재료 블랜딩 조건 설정 - 기능성 작물과 천안 지역 특화 작물의 배합 조건 설정 ○ 지역특색 반영 신선 간편식 제품 컨셉 및 시제품 개발 - 지역 특화 작물인 차조기 안티스페릴을 활용한 샐러드 개발 및 밀키트에 들어갈 나물용 제품 개발과 라이코펜 고함유 수박을 활용한 컵과일 개발 - 수박과 차조기 활용 지역특색 반영 가능한 기타 시제품 개발 ○ 지역농산물 활용 따른 경제적, 사회적, 정책적 파급효과 분석 ■ 제5공동연구과제(대전충남양돈농협/장진수) ○ 시제품 개발 전 제품에 대한 수요와 시장조사 - 각종 판매처별 매출현황 및 시장조사 추진 ○ 시제품 마케팅 및 홍보 - 온라인몰, 라이브커머스, 하나로마트, 축산물직매장 등 구매고객 시제품 증정행사 ○ HMR 간편식 연구개발 홍보 마케팅 추진 - 연구개발 상품명: 맛있는 머리고기(냉장), 매콤한오도독구이(냉동), 마늘떡갈비&궁중떡볶이(냉동), 표고버섯만두(냉동), 방울토마토소시지 볼카츠(냉동) ■ 제6공동연구과제(국립농업과학원/황영) ○ 지역 농산물(조미채소 중심) 전처리 조건 설정 - 물리적·화학적 전처리 방법별 미생물 및 품질평가 : 마늘, 달래 ○ 마늘의 녹변 억제를 위한 전처리 방법 비교 - 마이크로웨이브, 유기산, 컨디셔닝 등 처리별 녹변 비교 ○ 지역 농산물(엽채류 중심) 전처리 조건 설정 - 물리적·화학적 전처리 방법별 미생물 및 품질평가 : 차조기, 표고버섯 ○ 전처리 기술 적용 1차 가공 농산물의 품질 평가 - 저장기간별 신선농산물 평가 : 미생물 생육, 색, 조직감, 영양성분 등 □ 연구개발성과 ○ 지역농산물(달래, 방울토마토, 마늘 및 표고버섯) 및 특화작물(‘리코후레쉬 1호’, ‘차조기 안티스페릴’)의 품종, 수확시기, 성숙 단계, 성장 단계에 따른 향미 특성, 이화학적 품질 및 기능성 성분 분석 ○ 가공 식품 개발 시 향미 특성, 이화학적 품질 및 기능성 성분을 고려하여 원료를 선정할 수 있는 제품의 품질 지표 설정 ○ 마늘의 물리적 및 화학적 처리로 미생물 저감, 조직감 및 색 유지를 위한 전처리 조건과 마늘 본연의 맛을 유지하면서 녹변 방지를 위한 ascorbic acid 첨가량 설정 ○ 달래의 물리적 및 화학적 전처리로 미생물 저감, 조직감 및 색 유지를 위한 전처리 조건 설정과 저장기간중 전처리에 따른 영양성분 변화 분석 ○ 차조기 및 표고버섯의 물리적 세척과 화학적 전처리 방법에 따른 미생물 저감 효과비교 및 조직감, 색등의 품질 유지 비교 ○ 소규모 농가공 수준에서 농산물 활용 제품 생산을 위한 연구개발 매뉴얼 구축에 기여 ○ 충남지역 농축산물을 이용하여 HMR 간편식 신제품 개발 출시와 더불어 향후 매출활성화를 통한 농가 소득 증대에 기여 ○ 특화작물 및 충남 농산물 식재료의 재배현황 DB를 구축하여 대량화 및 산업화를 위한 핵심/원천기술 확보에 기여 ○ 차조기 안티스페릴과 리코후레쉬 계약 재배를 통해 작물 적합 재배 기술 개발 및 재배 매뉴얼 보급을 통해 기능성 작물 재배 농가 확대에 기여 ○ 판매처별 제품구매고객의 시제품 무료증정 행사 등 프로모션 추진을 통한 자사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데에 기여 ○ 직영 대리점뿐만 아니라 온라인 쇼핑몰, 라이브 커머스 등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자사 제품의 접근성 증대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신선 간편식 식재료 특화작물 및 지역농산물의 품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공식품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 제공 ○ 마늘의 전처리 기술 개발(컨디셔닝, 비타민 C 처리)을 통해 유통 기간 중 또는 녹변방지 등 품질 안정성 확보와 농산 자원의 이용성 제고를 통해 폐기되는 자원 감소 ○ 전처리를 실시한 달래의 저장기간별 미생물 저감과 품질 유지 효과가 우수한 전처리 방법의 적용으로 유통기간 중 달래의 안정적인 이용성 제고 ○ 충남 지역 농가와의 계약 재배를 통한 기능성 작물 재배 기술 개발 ○ 중간 제품 생산 공장과의 협업을 통한 소규모 가공 공정 및 제품 개발 ○ 예산 농협과 MOU 체결을 통해 지역 특산품을 개발하여, 예산 방울토마토 페이스트 소스 제조 및 방울토마토 소시지 및 관련 제품 MOU 생산라인 구축 ○ 소가족을 대상으로 한 간편식 제품출시로 지속 판매가 가능한 선호제품 판매전략을 통한 매출 활성화 ○ 충남 지역농산물을 이용한 제품을 통해 지역농산물의 안정된 선순환 소비를 촉진하고 충남 지역의 자원 활용 극대화 ○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에 발맞추어 온라인과 오프라인 충남지역 농축산물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제품 판매를 위한 기틀 마련 ○ 지역 농·축산물을 이용한 HMR 간편식 제품개발 출시에 따른 고부가가치 제품출시 홍보판매 확대를 통한 지역농가 소득 증대 기대효과 ○ 2차년 연구 성과 중 일부는 향후 비SCIE 및 SCIE 논문으로 게재하여 과학적 기초자료로서 활용 예정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0939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