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 과학기술·연구개발 국제비교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11-07-25 00:00:00.000
내용 환경-에너지, 전자-정보통신, 나노기술-재료, 생명과학, 임상의학의 5대 주요 과학기술분야를 대상으로, 국제비교가 가능한 세부 하위분야로 분류하여 전문가집단에 의한 평가-조사를 실시하였음. 일본, 미국, 유럽, 중국, 한국 등의 국가별 수준을 '연구수준', '기술개발수준', '산업기술력수준'으로 구분하고, 연구개발 동향 비교를 실시해 일본의 위상과 향후 주목해야 할 사항을 제시했으며, 국가별 기술력 현황과 함께 변화 방향에 대한 관점도 제시함 ------------------------------------------------------------------------------------------------ 1. 개요 ○ 연구개발전략센터(CRDS) * 는 일본과 주요국 에 대한 과학기술·연구개발 국제 비교조사 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 * CRDS(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y)는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의 기획역량강화를 위해 만들어진 산하조직 ○ 5대 주요 과학기술 분야 * 를 대상으로 각국 ** 의 수준 및 연구개발 동향 비교를 통해 일본의 수준을 파악 하고, 향후 주목해야할 점을 정리 * 환경·에너지, 전자·정보통신, 나노기술·재료, 생명과학, 임상의학 * 일본과 미국, 유럽, 중국, 한국을 원칙으로 하며 그 외 지역은 필요에 따라 추가 2. 조사방법 ○ 5대 분야를 하위분야로 다시 세분화하고 분야별로 전문가 집단에 의한 주관평가에 근거하여 조사 - 각 하위분야는 기술력의 국제비교가 가능한 수준으로, 보다 세세하게 분류한 세부분야 * 로 구분하여 조사 * 원문에는 세부분야를 「중강목(中綱目)」이라는 용어로 표시 - 각 세부분야별 담당 전문가는 최신 문헌, 국제학회의 동향, 관련 연구자·기술자 인터뷰 등에 근거하여 평가 5대 과학기술 하위분야 수 세부분야 수 담당전문가 수 환경·에너지 4 30 34 전자·정보통신 6 64 62 나노기술·재료 13 67 109 생명과학 8 79 133 임상의학 6 12 16 ○ 주요국의 기술력 비교는 세부분야 단위에서 세 가지 관점 * 에서 실시 * 연구수준 (대학·공공 연구기관의 연구 수준), 기술개발수준 (기업에 있어서의 연구개발의 수준), 산업기술력수준 (기업에 있어서의 생산현장 기술력 수준) - 또한, 각 국가의 기술력「현황」 과 과거에 비해 어떻게 변화해가 고 있는지에 대한 「최근 트렌드」 라는 두 관점도 병행 3. 분야별 조사 결과 (세부결과 별첨 참조) #983729; 환경·에너지 분야 ◇ 환경·에너지 분야를 4개 하위분야(에너지, 환경보전, 자원순환, 자연생태 관리)로 세분화 하고 이를 중심으로 미국, 유럽, 중국, 한국의 사례를 비교 ※ 이전까지는 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나, 올해에는 환경·에너지로 에너지를 5대 분야의 명칭으로 명시 ○ 에너지, 환경보전, 자원 순환의 3개 분야에 서 일본은 세계 상위 수준 의 연구개발과 기술력을 보유 - 반면, 자연생태 관리 분야의 연구개발은 충분치 않으며 자연 환경 변화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연구개발이 필요 ○ 최근의 주목해야 할 세계 동향으로서, 각 국가는 에너지 정책을 중요시하여 관련 기술의 연구개발을 위한 전략성을 강화 - 저탄소 사회로의 이행은 세계적 조류로 인식 - 에너지 기술이 사회·경제적 가치로 연결되는 혁신의 원동력 으로 평가됨에 따라 각국은 관련 기술개발 경쟁을 가속 - lsquo;07년 6월 G8 정상회담에서는 일본이 제창한 이니셔티브인 Cool Earth 50 * 을 채택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 * 2050년까지 현재의 온실가스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인다는 목표를 제시 ※ 일본은 최근 에너지기본계획을 개정( rsquo;10.6)하여 기존의 에너지안보, 온난화대응, 효율적 공급 외에 에너지를 활용한 경제성장과 에너지 산업구조 개혁을 새롭게 추가 #983730; 전자·정보통신 분야 ◇ 주요국(한, 미, 일, 중, 유럽 등)의 기술력에 대한 특징을 중심으로 조사·정리 ○ 일본은 기초연구부터 산업기술 전반에 있어 높은 수준 을 보이고 있으나, 국제시장 개척을 위한 전략적 대처가 미흡 - 한국은 민·관 합동으로 기술력 강화를 위해 노력 ※ 삼성 등의 민간 기업은 반도체 메모리, 디스플레이, 휴대전화를 중심으로 많은 분야에서 세계시장 점유율을 늘려가고 있음 - 미국은 모든 분야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독창적 아이디어 창출 능력과 이를 산업과 연계하는 사회적 구조 및 기업의 역량도 강한 특징 - 유럽은 전통적으로 기초영역이 강하고, 막대한 투자를 통한 국가간 협력 연구개발이 우수 - 중국은 해외 유학 후 돌아온 연구자 집단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는 등 꾸준하게 성장 #983731; 나노기술·재료 분야 ○ 최근 미국, EU를 중심으로 정부투자가 지속적으로 강화 되고 있으며 신흥국 (러시아, 중국, 중동) 의 참가 등으로 관련 투자 급증 경향 - rsquo;01년 미국 국가나노계획 * 을 시작으로 일본, 영국, 한국을 비롯해 세계 주요국가가 잇따라 나노기술관련 국가계획 발표 * 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 여러 정부부처가 참여하는 나노기술분야 연구프로그램으로 국가과학기술위원회(위원장:대통령)가 활동을 조율 - 민간을 포함한 세계의 연간 총 투자액은 rsquo;08년에 1.2조엔 (140억 달러) , lsquo;15년에는 6조엔 (700억 달러) 에 달할 전망 ※ 나노기술·재료 분야는 거의 모든 산업 영역과 관련되는 융합기술 분야이며, 최근에는 환경·에너지, 건강·의료 등 응용분야에서의 활용이 크게 기대되고 있음 ○ 일본은 재료과학, 물리학, 화학분야에서 국제 우위를 유지 하고 있으며 소재산업에서는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면서 세계를 선도 - 그러나 한국, 중국의 추격이 급속히 진행 되고 있으며 최근의 대지진 영향으로 일본의 경쟁우위를 예측하기 힘든 상황 ※ 그린나노기술 분야의 경우, 저탄소화 등 지구규모의 도전과제 해결과 시장경쟁에 있어서 일본, 미국, 유럽이 첨단기술 개발로 앞서왔다고 할수 있으나 최근 중국, 한국 등이 특정 분야에서는 산업경쟁력을 키우며 추격하고 있고 일부 분야의 경우 추월 - 또한 유럽, 미국과 비교했을 때 일본은 관련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장기 전략, 관련 인재육성, 인프라 구축 등이 취약 한 실정 #983732; 생명과학 분야 ◇ 과학의 발전, 영역 간 융합 가속 등에 따라 생명과학의 영역 확대 및 사회와의 접점 확대를 반영하여 조사 대상분야 추가 ※ 「게놈과학·융합」,「뇌신경」,「발생·재생」,「면역」,「암」및「그린테크 놀로지」와 새롭게 추가된「건강」,「생명윤리 등」의 총 8개의 하위분야로 구성 ○ 연구수준 관점에서 일부 분야는 미국에 뒤이어 유럽과 비슷한 수준 인 반면, 기술개발·산업기술력수준 은 미국에 비해 낮은 경향 - 실험적인 분야로서 발생·재생 및 면역 관련 일부 분야는 국제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임 - 기술개발·산업기술력수준 측면에서 선진국과 비교해 볼 때, 응용과 관련된 부분으로 갈수록 역량이 낮은 특징 ※ 생명과학 각 분야의 발전에 맞춰 관련 윤리적 측면의 대응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도 증가 ○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개발은 개별적·요소적인 것에서부터 통합적· 종합적인 모습으로 전개되는 경향 이 한층 강해짐 - 생명과학이 포괄하는 영역이 더욱 확대 되고 있으며, 영역 간 융합 및 타 분야와의 융합이 가속 ※ 일본은 다양한 생체정보의 계측, 분석, 관리, 공유를 중심으로 생명과학 분야 내 다른 연구 영역과의 연계, 타 분야와의 융합 등의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 존재 ○ 생명과학 연구 성과가 일본 국민의 건강 향상, 환경 다양성 유지 등에 기여해야 할 필요성 증대 - 특히 후쿠시마 원전 사고 등의 자연재해 대응에 관한 생명과학의 기여를 실현하기 위해 관련 연구개발 전략수립 필요성이 대두 #983733; 임상의학 분야 ◇ 「의약품 개발」,「의료기기 개발」,「재생 의료」,「유전자 치료」,「이미징」,「규제」의 6가지 하위분야로 분류하고 국가별로 비교 조사·정리 ○ 국민의 건강유지 및 향상은 세계적으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일본 또한 의료산업이 차세대 성장 견인 산업으로 대두 -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의약품, 의료기기 등의 의료산업이 일본의 성장견인 산업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라이프이노베이션이 중요 정책과제로 등장 ○ 일본은 임상의학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과 높은 기초연구 수준 을 보이고 있으나, 성과를 실용화로 연계하는 데는 유럽·미국에 비해 미흡 - 그간 일본은 임상관련 기초연구·중개연구 * ·임상연구의 추진이나 관련 기반정비, 치료실험환경 충실 등을 위해 집중적으로 투자 * 기초연구에서 발견된 지식을 임상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연계시켜 주는 연구 - 그러나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임상연구 진행을 위해 관련 정책 입안, 제도개선, 연구체제 개편 등에 대한 고민이 필요 4. 시사점 ○ 일본은 정성적인 평가를 포함한 주요국가의 연구개발 동향을 매년 조사하고 관련정보 및 정책제언을 과학기술정책 수립에 활용 - 일본이 평가·분석한 각 분야별 세계 연구개발 동향은 우리나라에게도 의미 있는 기술정보로 활용가능 ※ 다만,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현황·환경에 따라 분석대상과 범위가 틀려질 수 있으며, 일본의 분석결과도 그 의미가 틀려질 수 있음 ○ 우리나라는 과학기술기본법에 의해 매2년 마다 중요 분야에 대한 기술수준평가를 실시 하여 그 결과를 국가기술기획에 활용 - 전문가 설문조사를 활용한 정량적인 측면의 평가를 중심으로 진행 * rsquo;08년부터 동태적인 방법론을 도입하여 이론적인 최고기술수준 대비 세계최고수준, 국내수준을 설문조사 방식으로 평가 - 향후, 국내·외 전문가 집단을 활용하여 세계동향에 대한 정성적 평가 및 현장정보 수집을 확대 하여 기술정보의 현장성 제고방안 고민 필요 [별첨] 5대 분야별 조사결과 #983729; 환경·에너지 분야 분야 주요 내용 에너지 관련 기술을 에너지 공급, 수급조정, 소비로 분류하고 이로부터 10개의 구체적인 기술을 세부분야로 설정 #8228; (발전·전환) 미·일·유럽이 기초·개발 연구를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한· 중은 선진 기술의 도입을 통해 추격(catch-up)을 도모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는 태양광, 풍력, 바이오연료를 중심으로 각국 시장이 급속히 확대 중 #8228; (송전·배전) 한·미·일은 그리드 기술 등의 연구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나, 관련 제도 및 규제가 상이하고, 연구개발 상황도 국가마다 차이를 보임 #8228; ( 산업·민생·운수 에너지) 일본은 주택, 가전기기, 공조기기, 자동차에 대한 연 구 개발 추진 등에서 전반적으로 우위를 차지하고 있으나, 국제 경쟁은 점차 치열해 짐 환경보전 기후변화완화, 지구환경보전, 대기환경보전, 수질환경보전, 토양환 경보전, 화학물질의 환경리스크 평가·관리, 환경영향조사 등 7개 세부분야 설정 #8228; 각 세부분야에 대한 연구수준, 기술개발수준, 산업기술력수준에 있어 미·일·유럽이 세계를 선도하고 있으나, 한국과 중국이 빠르게 추격 중 #8228; 일본은 환경보전 관련 법규제의 정비, 관련 기술의 실증연구 및 국제사업 추진 필요 자원순환 자원 종류에 따른 4개의 세부분야와 폐기물 처리 1개의 세부분야로 설정 ※ 각국의 법·제도나 지리적 조건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분야 #8228; 일본의 재활용 기술수준은 높지만, 저비용의 기술공급, 기술의 시스템화 및 패키지화를 통한 세계화 추진 필요 자연생태관리 7개 세부분야 설정 #8228; 미국이 압도적 우위에 있는 반면, 일본은 가장 열위인 분야 ※ 미국은 대규모 연구비로 운영되는 민간재단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국가예산 투입 ※ 일본은 해양·위성관측, 지구 시뮬레이터 관련 분야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고 , 다른 분야에서는 중국과 큰 차이가 없음 #8228; 중국은 미국에서 귀국한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수행에 힘입어 연구개발 수준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유럽은 외래종 관리 등에서 우위에 있음 #983730; 전자·정보통신 분야 국가 주요 내용 한국 #8228;(컴퓨터 SW) 연구수준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브로드밴드 인터넷 보급률은 세계적 수준 #8228;(로봇) 로봇 산업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지능로봇을 17개의 신성장동력 중의 하나로 지정 일본 #8228; (컴퓨터 HW) 미국 다음 수준이나, 서버 설계기술은 미국을 리드하고 있으며, 차세대 슈퍼컴퓨터 관련프로젝트 등을 통해 기술력의 유지·향상 도모 #8228; (컴퓨터 SW) HW 와 일체화된 소프트웨어 분야 등 세계 리드하는 성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Google, Facebook, Twitter 등에 비해 눈에 띄는 성과 부족 #8228; (통신) FTTH(Fiber To The Home)기술 및 광주파수의 고효율 연구개발에서 우위이나, 상용화에 있어서는 지연 #8228; ( 송배전) 광학재료·광컴퍼넌트 등 산업기술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산업으로 연결시키는 부분은 미흡하여 해결 필요 #8228; ( 로봇) 산업용 로봇은 세계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는 반면, 실용화를 위한 서비스 로봇의 연구개발은 미흡 미국 #8228;(슈퍼 컴퓨터) 2010년 세계 순위를 중국에 빼앗겼던 것이 화제가 된 적도 있으나 기술력은 여전히 최고 수준 #8228; (컴퓨터 SW) 기반소프트웨어부터 응용소프트웨어까지 세계적인 우위성을 가지며, 국가안전의 관점에서 보안기술의 광범위한 연구개발 추진 #8228; (전자디바이스) 무어의 법칙 이후 시대를 향한 독창적 연구가 진행 #8228;(로봇) 인터넷시대를 뒤이을 다음시대 경제의 핵심이라고 평가하며 NRI(National Robotics Initiatives)를 개시하는 등 로봇상용화를 적극 추진 유럽 #8228; (컴퓨터 HW) 산업 경쟁력은 크게 강하지 않으나, 프로세서(ARM사, 영국) 및 휴대전화(Nokia사, 핀란드)는 각각 높은 점유율을 차지 #8228;(컴퓨터 SW) 오브젝트 지향 프로그래밍 등에서 세계를 리드, 대기업 전용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관련 SAP사(독일)는 세계 3위 #8228;( 전자 디바이스) IMEC사(벨기에)가 세계 연구개발 거점의 하나가 되고 있으며 마이크로, 나노기술 분야에서 MINATEC사(프랑스)도 우위 #8228;(로봇) Cognitive Systems and Robotics를 정보통신분야의 도전 영역으로 선정하고, 기업으로의 기술이전, 로봇의 실용화에 예산을 중점 분배 중국 #8228; ( 슈퍼 컴퓨터) 천하 1호 A가 2010년에 세계 랭킹 1위에 오르는 등 급속 성장 #8228;(산학제휴) 광통신 장치에서 화웨이(Huawei), PC에서 레노버(Lenovo)가 각각 세계적으로 높은 점유율을 차지 #983731; 나노기술·재료 분야 분야 주요 내용 그린 나노기술 #8228; ( 미국) 에너지부 소속 46개 에너지 프런티어 연구센터의 기초연구 과제 대부분이 나노기술 분야 #8228; ( 유럽) 착실한 기초연구를 통해 신산업의 기반 기술을 창출, 표준화 등에 있어 역량 발휘 #8228; ( 중국) 연구수준, 기술개발수준, 산업기술력수준이 급속히 향상 #8228; ( 한국) 최근 과학기술예산 결정기구를 바꾸고, 정부· 대기업의 집중적 투자 로 일본을 육박하고 있는 상황 #8228; (일본) 그린·라이프이노베이션을 중점분야로 선정하는 등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연구수준 · 산업기 술력수준 모두 현상 유지도 쉽지 않은 상황 나노 바이오기술 #8228; (미국) 연구수준, 기술개발수준, 산업기술력수준 모두 여전히 우위 #8228; (일본) 약물전달시스템용 재료, 재생의료용 재료의 기초 연구 분야에서만 앞서고 있으며, 산업기술력은 뒤처짐 나노전자 #8228; (일본) 대체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나노CMOS 기술에 있어서는 세계적 연구개발의 거점화와 제휴가 진행 #8228; ( 한국·중국 ) 일본이 장기적 관점에서 인재육성책이나 산학협동 체제 의 구축을 도모하지 않으면 한·중이 일본을 추월할 것 신물질· 신재료 #8228; 일본이 세계적 우위에 있고 미국과 유럽이 그 뒤를 추격하고 있으며, 한·중은 일본으로부터의 기술도입·개량을 통해 일본 위협 잠재성 지님 나노과학 #8228; (일본·미국) 최근 상승 경향이 강하고, 유럽의 발전 속도도 높음 #8228; (한국·중국) 최근 연구자수와 학술지 논문투고수가 급증하 고 있으며, 연구수준도 높아져 향후 성장력이 기대 나노가공 #8228; ( 일본 · 미국 · 유럽) 연구수준, 기술개발수준 및 산업경쟁력수준에서 우위 #8228; ( 한국 · 대만) 나노가공의 연구개발에 집중하여 양산기술에서는 미·일·유럽에 접근하였으며 한국은 나노제작 센터의 네트워크구축에 거액을 투자 계측· 평가해석 #8228; ( 미국 · 유럽) 미국은 관련 나노기술 전체를 체계적으로 강화, 유럽은 새로운 계측기술에 장기적으로 투자 #8228; ( 일 본) 새로운 계측기술 창출에서는 뒤떨어지나 특 정 분야 ( 고분해능 ·고기능 원자현미경 등) 에서 우수 기술력 보유 #8228; (한국·중국 ) 독자적인 계측기술 이 아니라는 한계가 있지만 기술력이 향상되고 있고 , 계측·위험평가기술의 국제표준화에 있어 적극적으로 대응 #983732; 생명과학 분야 분야 주요 내용 게놈과학·융합 #8228; ( 미국 ) 모든 분야에서 미국의 우위가 유지되고 있으며, 정부 외에 민간 재단·연구소의 지원 하에도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특징 #8228; ( 중국) 베이징게놈연구소의 활동, 일본 내 다국적 기업 부설 연구소의 중국 이전 등 최근 상승세가 현저 #8228; ( 일본) 융합추세에 상응하는 정도로 인재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 뇌신경 #8228; (미국) 연구수준 측면에서 다른 나라에 비해 우월 #8228; (일본) 일부 분야에서 강점을 지닌 것도 있으나 독자성 획득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기초연구결과의 산업화 연계를 위한 응용력이 낮은 수준 발생· 재생 #8228; 줄기세포와 관련하여 일본 을 비롯한 한국, 중국 도 임상 응용을 시도하고 있으나 획기적인 성공은 이루고 있지 못함 #8228; (일본) 일부 발생생물학 연구는 세계적인 수준이나, 발생·재생 관련 연구결과의 응용을 위한 중개연구는 미흡 면역 #8228;면 역 분야의 기초연구에 있어서는 미·일·유럽 이 상위3위를 차지 #8228; (일본) 기초면역학은 타 분야에 비해 우 위를 보이고 있으나 , 응용연구 및 산업화 측면에서는 뒤떨어짐 #8228; (한국·중국) 한국은 꾸준히 관련분야의 역량이 향상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 유학 귀국자의 증가 및 관련분야 투자가 비약적으로 증가추세 암 #8228; (미국) 모든 분야에서 연구수준·기술개발수준·산업기술력수준 모두 세계를 리드 #8228; (유럽) EU를 중심으로 유럽공동 연구체제가 정비되어 추후 큰 성장이 기대되며 인수·합병을 통한 거대 제약기업 탄생으로 대규모 투자도 가능해진 상황 #8228; ( 중국) 현재는 큰 격차가 있으나 우수 연구자의 귀 국으로 주목할 만한 기초연구 성과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가 차원의 대형 연구비도 지원되고 있음 #8228; ( 일본) 기초연구의 수준이 높고 독창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나, 실용화·산업화 수준은 아직 미흡 건강 #8228; ( 첨단의료) 일본은 내시경개발 및 방사선, 핵자기 공명, 초음파 등의 기술에서는 우수하나, 산업화 관점에서는 열세 #8228; (외과수술) 액츄에이터, 센서 기술 등 일본의 산업로봇 기술은 세계적 점유율을 갖고 있으나, 관련 제품화·시장 전개 측면에서 미국에 뒤짐 #8228; (신약·약물전달) 일본의 약물전달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높은 수준 #8228; (의료데이터베이스) 미국은 대규모 DB가 실제로 구축되었으며 한국, 대만은 구축 중으로, 일본은 이에 뒤지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 그런·테크놀로지 #8228; (일본) 기초연구는 세계적 수준인 반면, 응용 기술개발 및 산업기술력은 낮은 수준 #8228; (중국) 많은 분야에서 크게 약진하고 있으며 일본에 위협적인 수준 #8228; ( 브라질, 오스트리아) 광대한 국토를 활용하여 바이오 연료 분야에서 강점 생명윤리 #8228; 영국이 가장 활발한 활동을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캐나다, 미국, EU 순이며 특히 대학을 중심으로 한 활동수준이 높은 특징 #983733; 임상의학 분야 분야 주요 내용 의약품 개발 #8228;(유럽 ) 주요 의약품의 특허만료시점이 다가오고 있으나 산학관의 효과적인 제휴에 의해 기초연구 성과를 신속하게 실용화하는 구조는 여전히 우수 #8228;( 일본) 기초연구 수준은 높으나 응용연구, 임상개발 기반정비 측면 에서는 아직 미흡 #8228;(한국) 바이오텍, 신약·의약 산업기반이 여전히 발전단계 수준에 있으나 국가적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발전 도모 #8228;(중국) 국제적인 연구개발 거점 추진을 위해 정부 주도로 교육, 환경 개선, 적극적 기초연구 투자를 진행 ※ 연구개발의 국제화는 선진국에 한정되지 않고 신흥국에서도 가속화 추세 의료기기 개발 #8228; (일본) 개개의 연구에서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기초연구성과 를 실용화로 연계하는 추진력이 부족 ※ 수술로봇 등 일본의 치료용 의료기기 관련 기초연구는 높은 수준이나, 임상 연구기반 취약 #8228;(미국) 로봇에 탑재하는 다양한 치료기기를 개발 #8228; ( 한국·중국 ) 의료기기 수입시장 형성이 진행되었으며, 한국은 첨단 의료기기의 개발을 국가적 전략으로 명확히 설정 재생의료 #8228; (일본) 세포치료 연구수준이 높고, 줄기세포 등의 기초연구나 임상연구에서 국제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갖고 있으나, 개발 연구가 약함 #8228; ( 미국·유럽) 기초부터 실용화까지 학제적인 연구, 관련 벤처기업 활동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 유럽은 미국의 뒤를 잇고 있음 #8228; ( 한국·중국 ) 독창적 연구는 적으나, 신속한 기술의 도입 등 향후 동향이 주목 유전자 치료 #8228; (미국) rsquo; 90년대에 활발하게 연구개발이 진행되었으나 현재는 활동이 약해졌으며,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관점에서 볼 때 상업화는 침체상태 #8228; (일본) 제약업체의 경우 미국을 주시하면서 추종하는 형태의 연구개발을 진행해 왔으나, 최근 유전자 치료를 재평가하는 움직임 보임 영상 #8228; (일본) CT장치의 세계표준이나 최첨단기종으로 일본기업의 기술이 채용되고 있어 기술적 우위를 지님 규제 #8228; 미·일·유럽에서는 연구개발 영역의 다양성에 맞춘 사회대응형과학(Regulatory Science) * 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 * 연구 계획이나 방법을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수립하는, 과학의 새로운 개념 #8228; (일본) 아직 초기 단계이지만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향상 #8228; (미국, 유럽) 미국은 관련 예산을 크게 계상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의료기술 평가를 각국의 상황에 맞춰 강력하게 추진 #8228; (한국) 임상시험의 체제정비 수준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 본 자료는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KISTI 정보분석본부, KISTEP 정책기획실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S20110002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