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대규모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사이버공격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허리케인을 인한 재정적 파급효과와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한 전문가에 따르면 2005년 미국에서 발생한 카트리나 허리케인은 1천8십억 달러의 손실을 야기했는데, 주요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비용손실은 이를 뛰어넘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의 2018 글로벌 위험 보고서 발표행사에서 위기관리기업 Marh社의 대표이자 보안전문가인 존 드르직(John Drzik)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사이버공격으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손실비용은 5백억 달러에서 1천2백억 달러 사이로 추산되는데, 이는 카트리나 허리케인과 유사하다고 주장했다.기업과 정치계, 학계, 그리고 기타 분야 선도자들이 모여 글로벌 아젠다에 대한 논의를 위해 WEF가 분석한 이번 보고 자료에 따르면, 사이버공격이 자연재해 및 심각한 기후변화와 더불어 상위 3위의 위험으로 나타났다.2017년이 극심한 기후변화와 자연재해로 인해 심각한 금전적 손실을 기록한 한해였지만, 사이버공격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도 전 지구적으로 상당한 파급효과가 있었다.드르직은 2017년 사이버공격으로 인한 누적 손실은 1조 달러 이상인데, 반해 자연재해로 발생한 경제적 손실은 약 3천억 달러에 달한다고 말했다.그러나 사이버공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피해에도 불구하고 정부와 관련 지원 조직들은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보다 사이버 사고에 대한 대비가 훨씬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연방재난관리청(FEMA) 사이버공격 대응팀은 조직 내 다른 부서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드르직은 상대적인 규모를 보면 자연재해에 대한 대응에 중점을 두는 정부 조직과 관련 기관은 국가 사이버보안 조직에 덜 신경 쓰고 있으며, 늘어나는 위협에 대비할 충분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심각한 기후변화와 자연재해 등과 같은 이슈들도 글로벌 이슈이기는 하지만, 해킹과 침입에 대응하고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국가가 서로 협력하는데 있어 정치지형학적으로 큰 장애물이 존재한다는 점이 문제점이라고 그는 주장했다.사이버보안과 사이버전(cyberwarfare)을 관리하는데 필요하고 수용해야 할 진정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이는 심각한 도전이라고 그는 지적했다.사이버 위험으로 인해 떠오르는 이슈를 다루기 위한 국제적인 프로토콜이 존재하지 않아 이를 해결할 필요가 있지만, 우리가 처해있는 지역의 정치적 환경에 따라 다자간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은 쉽지 않다고 그는 재차 강조했다. 이러한 모든 것들이 사이버 위험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고 그는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