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일본「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제도개혁」추진현황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8-06-04 00:00:00.000
내용 1. 개 요 ○ 일본 종합과학기술회의에서는 과학기술 진흥 및 성과의 환원에 있어 제도적 저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각종 문제의해결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 (06.12.25) ○ 각 제안의 추진현황 점검을 실시하여 결과를 정리 #8228;보고 2. 주요 내용 #983729; 우수한 외국인연구자의 유입 ○ 일본의 외국인연구자 유입은 지속적으로 정체 상태 구 분 2005년 2006년 2007년 국립대학법인에서의 외국인교원수 비율 1545명 (2.54%) 1503명 (2.48%) 1579명 (2.59%) 주요독립행정법인의 외국인 상근연구자수 비율 396명 (4.34%) 380명 (4.14%) 432명 (3.34%) ○ 관련 제도개선 ① 연구자의 체류허가 기한을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연장(법무성) - 현재 동경대학, 이화학연구소 등 161개 기관을 체류 5년이 인정되는 기관으로 지정 - 추후 지정기관 범위를 최대한 확대할 필요 ② 연구자의 체류자격에 관련되는 절차의 간소화(법무성 ) - 현재 신청중개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며, '09년 전자신청제도 도입을 검토 중 ③ 외국인유학생의 대학 #8228;대학원 '전공'과 취직 시 '직종'의 일치요건 완화(법무성) - 현재 IT 관련 산업에 대해서는 학문영역의 학제화 및 기업활동의 다양화에 기초하여 일치요건을 완화 - 추후 타 업종에 대해서도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출입국관리국 등에 주지시킬 필요 ④ 학위취득자의 취직활동을 위한 체류기간 연장(법무성) - 일본에서 석 #8228;박사 학위를 취득한 유학생 중 소행에 문제가 없고 학업성적이 우수하며, 일본에서의 취직을 희망하는 자에 대하여 체류기간을 현재 180일에서 최대 1년으로 연장 ⑤ 연구자의 영주허가요건 완화(법무성) - 세계 최정상급의 연구거점에 초빙되는 우수한 외국인 연구자나 세계적인 상을 수상한 연구자에 대하여 독립생계유지에 문제가 없을 경우 체류기간 3년으로도 영주를 인정 ⑥ 연구자의 부모에 대한 체류자격 부여(법무성) - '07년 법무성 고시로 실현 ⑦ 연구자에 대한 수차유효(數次有效)단기체재사증 발급(외무성) - 일본의 대학, 독립법인, 기업 등 연구기관의 신청이 있고 업적 #8228;직무상 요건을 충족하는 우수한 연구자 #8228;기술자에 대해 수차유효한 단기체제사증 발급 - 현재 대학강사 이상의 직위를 요건으로 하고 있으나, 박사후과정연구자(Post-Doctoral Fellow)일지라도 일정한업적이 있으면 발급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개선 추진 ⑧ 체류자격 활동범위 등의 완화(법무성) - 체류자격 중 '연구'에 관계되는 현행 요건을 충족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기업내 전근'의 형태로 연구활동에 종사하는 것을 가능케 하여 우수한 외국인 연구자의 일본기업 근무를 촉진 ⑨ 유학생의 자격외 활동 완화(법무성 #8228;문부과학성) - 유학생의 TA(Teaching Assistantship) 및 RA(Research Assistantship) 활동에 대해서는 시간 제한 없이 종사할 수 있도록 조치('08.4.1)하는 한편, 전자신청 등 절차완화 검토 ⑩ 외국인 연구자에 대한 사회보장제도 개선(후생노동성 #8228;외무성) - 사회보장협정체결국을 확대*하는 한편, 모든 국가와의 협정에 대응할 수 있는 포괄적인 실시특례법인 '사회보장협정의 실시에 동반되는 후생연금보험법 등의 특례 등에 관한 법률' 제정(08.3월 시행) * 현재 독일, 영국, 한국, 미국, 벨기에, 프랑스, 캐나다와의 협정 발효 완료 #983730; 연구자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한 환경정비 ○ 일본에서 인재의 유동성 진전은 아직 충분치 못한 상황 구분 2004년 2005년 2006년 년국립대학법인에서의 임기제 교원수 비율 6956명 (11.4%) 8453명 (13.9%) 8816명 (14.5%) 주요독립행정법인의 임기제 연구자수 비율 2531명 (28.8%) 2643명 (29.0%) 2910명 (31.7%) ○ 관련 제도개선 ① 이동자에게 불이익을 주지 않는 새로운 연금제도 구축(재무성 #8228;후생노동성 #8228;문부과학성 #8228;총무성) - 관민간 이동시 통산(通算)조치를 도입하는 '피고용자 연금제도의 일원화 등을 모색하기 위한 후생연금보험법 개정 법률안'이 현재 국회에 상정되어 심의 중 ② 퇴직금선지급제도의 도입 확대(대학 및 연구기관을 소관하는 각 부성) - 대학, 연구기관 및 기업에 있어 최소한 신규채용자에 대해서는 현행 퇴직금후지급제도와 더불어 퇴직금선지급제도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미 고용되어 있는 연구자로 적용범위를 확대할 필요 ※ 현재 퇴직금선지급제도는 이화학연구소,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 등 26개 기관에서 임기제 직원에 대하여만 실시되고 있어 도입이 저조 - 또한, 현재 국립대학법인 상호간, 국립대학법인과 일부 공공연구기관 간에 체결되어 있는 퇴직금통산협정을 확대할 필요 ③ 연봉제 확충(대학 및 연구기관을 소관하는 각 부성) - 우수한 인재에게 업적에 상응하는 수입이 돌아갈 수 있는 연봉제 도입을 확대 ※ 현재 신규채용하는 모든 상근연구직원에게 연봉제를 적용하고 있는 연구기관은 오키나와과학기술연구기반정비기구(내각부 소관) 및 이화학연구소(문부과학성 소관) ④ 인턴십 확충(문부과학성) - 문부과학성은 보다 실천적인 연구인재를 산학협동으로 육성한다는 관점에서 '파견형 고도인재육성협동플랜'*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립대학법인 중 53개 대학원에서 수업과목으로 인턴십 실시 * 30개의 프로그램, '08년 예산은 7.33억엔 ⑤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겸업, 파견, 연구휴가제도의 정비 및 활용(대학 및 연구기관을 소관하는 각 부성) - 대부분의 국립대학법인 및 공공연구기관에서 겸업 및 파견규정이 정비된 상태 - 연구휴가제도는 아직 많이 도입되어 있지 않으나, 이와테대학, 물질 #8228;재료연구기구 등에서 '안식연구원제도*' 등을 실시 *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우수한 연구성과를 거둔 40세 이상의 연구자를 대상으로 1~6개월간 본인이 희망하는 국내외 연구기관 또는 대학에 파견하는 제도 #983731; 연구비의 공정하고 효율적인 사용 ○ 연구비 사용에 대한 투명성 확보, 엄정한 배분 심사 및 연구비 배분기관과 연구기관의 연계를 통한 연구비 부정사용 방지노력 강화 필요 ○ 관련 제도개선 ① 이월명허비(移越明許費)제도의 활용촉진(연구자금을 배분하는 각 부성) - 연구비의 이월요건으로 자연재해 등 외부요인 뿐 아니라 '연구의 진전에 따라 당초 예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지식 획득으로 당초의 연구계획 변경 필요' 등 적절한 사례를 추가하는 한편, 요건을 명확화 - 동경대학 등에서 이월신청서작성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의 노력으로 일본 전체 연구비 이월건수는 '05년 55건에서 '06년 641건으로 대폭 증가 ② 연구비 교부시기의 조기화(연구자금을 배분하는 각 부성) - 매년 4~6월에 연구비가 교부된 과제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나, 신규과제는 여전히 초기교부 과제비율이 미흡 구 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신규과제 7개 (대상 13개) 5개 (대상 19개) 10개 (대상 18개) 10개 (대상 20개) 계속과제 18개 (대상 19개) 23개 (대상 26개) 28개 (대상 34개) 29개 (대상 34개) - 후생노동성의 경우, 사업공모 조기화 및 연구비배분사무의 외부기관으로의 이관을 통해 신규과제 연구비 4~6월 교부비율이 '06년 21%에서 '07년 87%로 대폭 상승 ③ 공정하고 투명한 자금관리체제 확립(연구자금을 배분하는 각 부성) - 연구비를 배분하는 모든 관계부성 및 공공연구기관이 '공공연구비의 부정사용 방지에 관한 지침'에서 정하는 8항목* 실시 완료 * 원칙의 정비 및 명확화, 효과적인 감사, 기관관리 철저, 부정연구자의 경쟁적자금 응모자격제한, 연구기관에 대한 지도조언, 연구기관에 대한 패널티, 연구비 중복 및 집중 배제, 정보제공 충실 - 국립대학법인의 77%가 연구비사용 부정고발창구를 설치하였으며,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등의 공공연구기관에서 '연구비 최고관리책임자'를 선정 #983732; 연구지원 강화 ○ 일본의 연구자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연구지원자수는 약간 감소하였으며, 연구자 1인당 연구지원자수는 0.27명으로 유럽의 1/3 수준 구 분 1998년 2007년 연구자수 999,600명 1,052,100명 연구지원자수 286,500명 225,500명 ○ 관련 제도개선 ① 연구지원체제 구축(대학 및 연구기관을 소관하는 각 부성) - 연구지원자의 역할을 명확히 하고 일괄적 #8228;집중적으로 관리하여 연구실 단위가 아닌 학부 횡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직화 #8228;체계화 ※ 동경공업대학의 연구지원센터, 물질 #8228;재료연구기구의 공용기반스테이션, 산업기술종합연구소의 테크니컬센터 등에서 실시 - 특히, 물질 #8228;재료연구기구에서는 연구지원직종자에 대하여 새로운 봉급표를 작성하고 연구직과 다른 승진기준을 마련하여 최종적으로 '스테이션長'까지 승진할 수 있도록 제도화 ② 간접경비 충당목표의 조기달성(연구자금을 배분하는 각 부성) - 전체 경쟁적 연구자금 37개 중 33개에 있어 직접경비의 30%를 상한으로 하여 간접경비를 계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07년 현재 평균 간접경비비율은 17%에 불과 ③ 기관간 협력 및 민간활력의 활용(대학 및 연구기관을 소관하는 각 부성) - 복수의 대학이나 공공연구기관 간에 연구지원 네트워크화를 추진하는 한편, 민간의 인재를 활용할 필요 - 과학기술진흥기구에서는 연구지원자를 포함한 연구인재의 구직정보를 수집 및 DB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제공 #983733; 여성연구자 활동을 위한 환경정비 ○ 일본의 여성연구자수 비율은 12.4%로 OECD 국가 중 한국과 함께 최하위 수준 ※ 미국 32.5%, 프랑스 27.5%, 영국 26.0% ○ 일본 제3기 과학기술기본계획(06~10)에서 여성연구자 비율을 25%까지 높이는 목표 설정 ○ 관련 제도개선 ① 육아휴직취득조건의 완화(후생노동성) - 후생노동성은 '미래 직업과 가정의 양립지원에 관한 연구회' 운영 등을 통해 관련 제도 개선을 마련 #8228;실행하고 있으나, 여전히 임기제 연구자의 육아휴직 취득이 어려운 상황 ② 육아기간 중의 근무시간 단축 등의 조치 확충(후생노동성) -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에서 육아기간 중의 여성연구자에 대해 근무시간 단축 및 재택근무제도 도입 검토 ③ 연구와 육아의 양립 지원기반 확충(대학 및 연구기관을 소관하는 각 부성) - 24시간 학내 보육원 설치(아사히카와 의과대학), 연구 #8228;실험보조자 고용비용 지원(교토대학), 일시탁아지원제도 실시(물질 #8228;재료연구기구), 여성 연구자 출장시 연구소와 계약을 맺고 있는 민간탁아소 또는 보모 이용 지원(산업기술종합연구소) 등 다양한 시책 추진 중 - 문부과학성에서는 '여성연구자 지원모델육성' 프로그램을 통해 국립대학법인 및 공공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연구환경 정비 및 의식개혁 교육 등 지원 ④ 채용 및 연구비 공모 등에 있어서 출산 및 육아기간에 대한 배려(대학 #8228;연구기관 및 연구자금 배분을 소관하는 각 부성) - 출산 #8228;육아로 부득이하게 연구활동을 중단한 우수한 연구자가 원활하게 연구현장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연구장려금을 일정기간 지급하고, 연구재개활동을 지원하는 RPD(Restart Post Doctor) 제도 창설(일본학술진흥회) - 직원채용을 연복수회(年複數回, 1년에 4회) 실시(물질 #8228;재료연구기구) ⑤ 출산 및 육아를 고려한 업적평가 및 임용기간 연장(대학 및 연구기관을 소관하는 각 부성) - 이화학연구소,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등에서 출산 및 육아로 연구활동이 불가능했던 기간을 고려하여 임용기간 연장 - 모든 국립대학법인 및 공공연구기관에 이러한 내용을 규칙으로 명문화하는 것을 검토 #983734; 치험 및 임상연구의 종합적 추진 ○ '혁신적 의약품 및 의료기기 창출을 위한 5개년 전략'에서 신약의 시장출시까지 신청전 1.5년, 신청후 1년, 합계 2.5년을 단축한다는 목표를 수립 ○ 관련 제도개선 ① 임상연구지원체제의 정비(문부과학성 #8228;후생노동성) - 문부과학성 및 후생노동성에서는 '새로운 치험 활성화 5개년계획(07~11)'을 바탕으로 고도의 치험 #8228;임상연구를 기획하여 운용할 수 있는 중추병원 10개, 거점의료기관 30개, 연구기관 6개 등을 선정('08년 총 예산 35억엔)하는 한편, 이들을 연계한 협의회 설치 ② 임상연구자 및 임상연구지원인재의 확보 및 육성(문부과학성 #8228;후생노동성) - 우수한 임상연구 및 임상실험추진능력을 갖춘 임상의를 육성하는 '임상연구자코스' 마련(아사히카와 의과대학) - '치험총론', '환자관리와 윤리', '의료통계학' 등의 강의를 개설하여 임상연구자 육성(치바대학) - 국립암센터 등에서 임상연구 및 임상실험의 실적이 있는 자를 교수 또는 조교수로 고용(홋카이도 대학) - 교원평가에 있어 임상연구 업적에 대한 평가항목을 반영(시마네대학) - 임상연구자가 진료와 연구를 병행하는 점을 고려하여 경제적 인센티브 부여(후생노동성) ③ 임상연구를 추진하기 위한 제도적 틀 정비(후생노동성) - '임상연구에 관한 윤리지침' 개정을 통해 임상연구의 피험자보호제도 등 임상연구에서 발생되는 위험 및 책임분담체제를 정비 - 임상연구의 안전성과 품질관리에 대한 감시기능을 충실히 하기 위해 임상연구에 관한 정보를 등록 #8228;검색할 수 있는 포털사이트( http://rctportal.niph.go.jp ) 구축 및 운영 개시('08.3월~) ④ 의약품 #8228;의료기기 승인심사의 신속화 및 효율화(재무성 #8228;후생노동성) - 심사인원 증원 및 심사관 수준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추진 - 제약회사 및 의료기기회사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자를 적극적으로 심사원으로 활용 - 심부전, 경구당뇨병, 신성빈혈 의약품 등의 심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의료기기 승인심사기준을 현재의 의료개발수준을 바탕으로 하여 지속적으로 개정 - 경미한 개량의 경우, 의료기기 변경승인신청 절차를 생략 - 해외치험자료의 활용 및 이미 해외에서 승인을 받은 의료기기에 대한 심사의 간소화 - 피험자의 치험 및 임상실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하여 어떤 의료기관에서 어떤 약제의 임상연구를 실시하고 있는가에 대해 공공연구기관의 인터넷 등을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광고'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 ⑤ 피험자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후생노동성) - '08년부터 약사법의 승인을 획득하지 못해 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의료기기 등을 사용하는 임상연구에 대하여 일정 요건이 충족되면 보험 이용 가능 - 임상실험 참여 정도 및 부담을 배려한 피험자의 부담경감 검토 #983735; 국민의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 증진 ○ 내각부의 '과학기술과 사회에 관한 여론조사' 결과 30세 미만의 젊은층의 경우,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76년 약 70%에서 '07년 약 60%로 감소되었으며, '06년 OECD 조사결과 과학에 대한 흥미를 느끼고 있는 학생 비율은 50%로 OECD 평균(63%)보다 낮은 수준 ○ 관련 제도개선 ① 과학기술 이해증진활동의 체계화(문부과학성) - 과학기술진흥기구의 'Science Portal'( http://scienceportal.jp )에 국내외 연구기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과학기술 이해증진활동 정보 게재하는 한편, 연구자커뮤니티의 형성 및 연구자와 시민간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이언스 아고라' 프로그램 운영 -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과학관 활동의 촉진 및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로 '전국과학관연계협의회' 설치('93년~) - '과학기술과 사회에 관한 여론조사', '유전자변형기술 관련 연구개발성과에 대한 의식조사' 등을 통해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 및 이해도 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그 결과를 피드백 ②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의 과학기술 이해증진활동 지속화(문부과학성 및 연구기관을 소관하는 각 부성) - 과학기술 이해증진 업무 전담직원('08년 6명) 배치 및 연구성과 발표에 있어 과학라이터 등 활용(이화학연구소) - 연구성과 관련 보도 실시에 있어, 보도기관에서 장기간 과학기술 관련 보도에 종사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로 하여금 간결하고 쉬운 표현으로 수정하는 등 지도 #8228;조언 실시(과학기술진흥기구) - 과학커뮤니케이터('08년 43명)를 배치하여 전시기획 등 참여(일본과학미래관) - 연구비 중 과학기술 이해증진활동비 책정 의무화 추진 ③ 연구자 커뮤니티에서의 과학기술 이해증진활동에 대한 중요성 제고(연구기관을 소관하는 각 부성) - 현재 49개 국립대학법인 및 물질 #8228;재료연구기구에서는 연구자 업적평가항목 중 과학기술 이해증진활동을 포함 - 일본학술회의는 과학기술 이해증진활동에 공헌한 회원을 표창 3. 우리나라 현황 및 시사점 ○ 일본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도 과학기술강국 실현을 위한 각종 제도개혁을 범부처적으로 추진 중 ○ 세계적 과학인재 유치 #8228;활용 - 해외 우수학자 유치를 통해 융합기술 분야 등을 집중 육성하는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추진 - 국제연구인력교류사업을 확대 추진 하여 해외 우수연구자 및 Post-Doc을 출연(연) 및 대학에 유치하여 활용 - 과학기술 전문인력을 위한 출입국/비자제도 개선을 추진하는 등 글로벌 수준의 연구 #8228;정주기반을 조성 ○ 연구자 친화적 국가R D 관리제도 개편 -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등 R D사업을 수행하는 각 부처에서 R D사업구조 및 관리규정의 통합 #8228;단순화, 연구비 집행기준 개선 및 연구비 사용의 투명성 제고 등 제도 개선 추진 ○ 대학, 출연(연)간 인력교류(고용휴직, 파견 등)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관련 법령 정비 #8228;보완 추진 중 - 교육공무원법상 교원의 휴직 사유에 '연구기관에서의 임시 고용'의 경우도 추가('08. 3. 14 개정 완료) - 파견활성화를 위한 법령정비, 학연 교류촉진을 위한 연구개발 관련 법령 보완 ※ 기초연구진흥법, 과학기술기본법 등 개정 추진 ○ '제2차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8228;지원 기본계획(09~13) '을 금년 말까지 수립하여 범부처적으로 추진 ○ 과학기술의 생활화 전개 - 학교로 가는 생활과학교실 확대, 국립과학관 확충, 창의적 인재육성기능과 과학기술교육 #8228;문화 #8228;예술 융합프로그램 개발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한국과학창의재단' 설립 등 추진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IS20080002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