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동향 기본정보

교과부, 원자력 선진 9개국 원자력규제기관장, 서울에 모여

동향 개요

기관명, 작성자, 작성일자, 내용, 출처,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작성자 글로벌 과학기술정책 정보서비스
작성일자 2009-04-27 00:00:00.000
내용 - 교과부 주관 제24차 국제원자력규제자협의회 정기회의 개최-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주요 원자력선진국 규제기관장이 참석하는 제24차 국제원자력규제자협의회(INRA) 정기회의를 4월 27일~30일 나흘간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INRA, International Nuclear Regulators’ Association ○ 금번 회의에는 의장인 문병룡 교과부 원자력국장을 비롯 데일 클라인(Dale E. Klein)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위원장, 앙드레 라코스떼(Andre Claude Lacoste) 프랑스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등 9개국 원자력안전규제대표 등 3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 ‘97년 창설된 INRA는 미국, 일본, 프랑스 등 원자력선진 9개국 규제기관장 협의체로 국제 원자력안전 관련 주요 정책 및 여론을 주도하는 핵심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세계 수준의 원자력 안전규제 역량과 핵투명성을 인정받아 ’06년부터 신규회원으로는 처음 가입하여 활동해 오고 있다. □ 금번 24차 회의에서는 최근 세계적으로 원전에 적용되고 있는 디지털 계측제어시스템의 운영경험과 향후 과제, 방사능에 오염된 고철의 국제 수출입 대책, IAEA의 통합규제검토서비스 개선방안, INRA 발전방안 등을 주요의제로 다룬다. □ 한편, 이번 회의에 앞서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은 27일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데일 클라인 위원장의 예방을 받고 양국간 원자력 안전 협력강화 방안을 논의하기로 하였다. ○ 안 장관은 특히 금년 7월부터 워싱턴에서 개최될 예정인 한·미 원자력협력협정(2014년 만료) 개정협상과 관련하여 데일 클라인 위원장에게 1974년 체결된 동 협정을 우리의 변화된 원자력환경에 맞게 개정할 필요성을 설명하고 지원과 협조를 당부할 계획이다. □ 교과부는 그동안 국제사회에 널리 알려진 우리의 원자력산업 수준과 역량을 이번 기회를 통해 해외 규제기관장들에게 적극 홍보하여 해외수출 촉진을 지원하고 국제사회에서의 입지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위원장 등 회의 참석자는 원자력설비 제작업체인 두산중공업(주)과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을 방문한다. □ 이번 회의에서 논의되는 원전 디지털계측제어시스템과 방사능오염 고철 수출입대책의 주요내용과 배경은 다음과 같다. ○ 최근 원자력발전소가 아날로그에서 대용량 정보의 고속처리 및 자가진단 등이 가능한 디지털방식으로 바뀌고 있는 계측제어시스템에 대한 각 국의 운영경험과 안전성 증진을 위한 협력방안 등이 토의된다. - 우리나라는 2004년 울진원자력발전소 5·6호기부터 외국기술을 도입해 디지털계측시스템을 본격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내년 착공예정인 신울진1·2호기에 적용할 국산 디지털 계측제어시스템의 개발경험 등을 발표한다. ○ 지난 해 독일이 방사능에 오염된 고철을 수입해 국내 유통시켜 사회적 문제화된 사례를 통해 수출입 통제, 수출입국간의 안전대책 등 국제 공조방안이 논의된다. - 현재 우리나라는 방사능 오염고철이 수입될 경우 이를 반송조치토록 하고 있으며 특히 제정 추진 중인 “생활주변방사선안전관리법”에 따라 공·항만 및 철강업체에 방사능검출기를 설치해 방사능 오염고철의 수입을 원천봉쇄할 계획이다. ○ 한편, 우리나라는 회원국 최근 동향보고를 통해 암 진단 및 치료용 방사성동위원소인 Mo-99/Tc-99m의 국제적 수급체제 구축방안을 제안할 예정이다. - 현재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는 캐나다, 네덜란드 등 5개국에서 전 세계 수요의 대부분 생산하고 있으나 동위원소 생산용 원자로 대부분이 노후화되고 고장이 잦아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 수급상태가 매우 불안정한 상태이다. - 교과부는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 수급방안으로 단기적으로는 국내 연구용원자로를 활용하여 국내 소비량의 최대 30%까지 공급하고 장기적으로는 아시아시장을 목표로 지역거점 방사성동위원소 생산전용 원자로를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자료 문의 designtimesp=26555> ☎ 02-2100-6976, 원자력안전과장 배재웅, 사무관 김형수  
출처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TREND&cn=DT20090025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